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3 10:23:05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wiki style="margin:-8px -10px"<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파일:logoHomeSc-removebg-preview (1).png '''''' }}}
급수별 배정한자
8급
50字
7급Ⅱ
100字
7급
150字
6급Ⅱ
225字
6급
300字
5급Ⅱ
400字
5급
500字
4급Ⅱ
750字
4급
1,000字
3급Ⅱ
1,500字
3급
1,817字
2급
2,355字
1급
3,500字
특급Ⅱ
4,650字
특급
5,978字
어문회에서 안내하는 준특급 배정한자 4,918字는
완성형중복 한자 268字를 중복 집계한 잘못된 수치임.
문제 유형
[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목록
2.1. 8급2.2. 준7급2.3. 7급2.4. 준6급2.5. 6급2.6. 준5급2.7. 5급2.8. 준4급2.9. 4급2.10. 준3급2.11. 3급2.12. 2급2.13. 1급2.14. 준특급2.15. 특급
3. 약자4. 동자이음자

1. 개요

원래는 한글 맞춤법에 따라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회가 띄어쓰기를 무시한 것은 훈과 음의 구별을 분명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도입니다.

답안 작성 시에는 두 가지 방법 모두 인정합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훈, 2019-04-01
Q. 안녕하세요.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의 한자 쓰기 문제가 대부분 正字로 쓸 것을 지시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대해 몇 가지 질문이 생겼습니다.
1. 한국어문회 자료에서 涼(3급II)의 약자로 凉을 제시하는데, 凉은 특급II의 배정한자이기도 합니다. 이 때 凉은 涼의 약자이니 "정자"가 아닌 것인지, 특급II의 배정한자이니 "정자"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霸-覇, 強-强, 畫-畵도 같은 경우입니다.
2. "윗누이 자", "이웃 린"에 대하여 한국어문회에서는 "姉", "隣"을 채택하였는데, 자원을 근거로 "姊", "鄰"을 정자로 보는 의견이 상당하며 교육용 한자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후자를 정자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한국어문회에서 배정한 전자("姉", "隣")만 답으로 인정되는지, 후자("姊", "鄰")도 답으로 인정되는지 궁금합니다.
(이하 관련없는 내용 생략)

A. 안녕하십니까?
1. "涼-凉, 霸-覇, 強-强, 畫-畵" 등은 "본자-속자"의 관계입니다. 그러나 이들 글자들은 대체로 본자보다는 속자가 더 널리 쓰이는 경향을 보입니다. 본회는 속자나 약자보다는 가급적 본자를 먼저 익히는 것이 한자를 공부하는 학습자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급수 배정 시 본자를 익히도록 고려하였습니다. 다만, 예시의 한자들은 이미 본자만큼이나 속자의 사용 빈도가 높은 까닭에 상위 급수에서 속자 자형을 다시 노출시킨 것입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정자/속자 구분없이 모두 정답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2. "鄰-隣, 姊-姉" 역시 "본자-속자"의 관계이며, 이 경우에는 속자가 하위 급수에 본자가 상위 급수에 배정된 예입니다.[1] 이 역시 정자/속자 구분없이 모두 정답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正字로 쓰시오 문제 및 훈음에 대한 질문 , 2024-08-08

2. 목록

[ 펼치기 · 접기 ] 8급~3급 일람
||8급
50자||
西
||
준7급
50자


7급
50자


便
준6급
75자



6급
75자

使

준5급
100자


宿

調
5급
100자




준4급
250자


滿







退

4급
250자







姿




준3급
500자

稿



祿

綿貿

簿




沿


殿






3급
317자



鹿




輿







[ 펼치기 · 접기 ] 2급~1급 일람
||2급
538자||


槿尿











耀



駿


椿



||
1급
1145자
竿










禿





歿




忿彿














漿






穿













[ 펼치기 · 접기 ] 준특급~특급 일람
||준특급
1150자||


谿

絿




























𠃗














浿





帿

||
특급
1328자
欿橿







氿




翿
罿








巿



婿







檿羿



黿



訿

覿



















觿

2.1. 8급

한자 학습 동기 부여를 위한 급수.

여기서부터 7급까지는 한자 쓰기가 출제되지 않는다.
학교 교ː 가르칠 교ː 아홉 구 나라 국 군사 군
쇠 금 | 성 김 남녘 남 계집 녀 해 년 큰 대(ː)[2]
동녘 동 여섯 륙 일만 만ː 어미 모ː 나무 목[3]
문 문 백성 민 흰 백 아비 부 북녘 북 | 달아날 배ː[4]
넉 사ː 메 산 석 삼 날 생 西 서녘 서
먼저 선 작을 소ː 물 수 집 실 열 십
다섯 오ː 임금 왕 바깥 외ː 달 월 두 이ː
사람 인 한 일 날 일 긴 장(ː)[5] 아우 제ː
가운데 중 푸를 청 마디 촌ː 일곱 칠 흙 토
여덟 팔 배울 학 한국/나라 한(ː)[6] 형 형 불 화(ː)[7]

50자

2.2. 준7급

기초 상용한자 활용의 초급 단계.
집 가 사이 간(ː)[8] 강 강 수레 거 | 수레 차 장인 공
빌 공 기운 기 기록할 기 사내 남 안 내ː
농사 농 대답 답 길 도ː 움직일 동ː 힘 력
설 립 매양 매(ː)[9] 이름 명 물건 물 모 방
아닐 불 일 사ː 윗 상ː 성 성ː 인간 세ː
손 수(ː)[10] 때 시 저자 시ː 밥/먹을 식 편안 안
낮 오ː 오를/오른(쪽) 우ː 아들 자 스스로 자 마당 장
번개 전ː 앞 전 온전 전 바를 정(ː)[11] 발 족
왼 좌ː 곧을 직 평평할 평 아래 하ː 한수/한나라 한ː
바다 해ː 말씀 화 살 활 효도 효ː 뒤 후ː

50자

2.3. 7급

기초 상용한자 활용의 초급 단계.
노래 가 입 구(ː)[12] 기 기 한가지 동 골 동ː | 밝을 통ː
겨울 동(ː)[13] 오를 등 올 래(ː)[14][15] 늙을 로ː 마을 리ː
수풀 림 낯 면ː 목숨 명ː 글월 문 물을 문ː
일백 백 지아비 부 셈 산ː 빛 색 저녁 석
적을 소ː 바 소ː 셈 수ː[16] 심을 식 마음 심
말씀 어ː 그럴 연 있을 유ː 기를 육 고을 읍[17]
들 입 글자 자 할아비 조 살 주ː 임금/주인 주
무거울 중ː 종이 지 땅 지 일천 천 하늘 천
내 천 풀 초 마을 촌ː 가을 추 봄 춘
날 출 便 편할 편(ː) | 똥오줌 변[18] 여름 하ː 꽃 화 쉴 휴

50자

2.4. 준6급

기초 상용한자 활용의 중급 단계.

쓰기 한자는 읽기 8급까지 포함된다.
각각 각 뿔 각 지경 계ː 셀 계ː 높을 고
공평할 공 함께 공ː 공 공 열매 과ː 과목 과
빛 광 공 구 이제 금 급할 급 짧을 단(ː)[19]
집 당 대신할 대ː 대할 대ː 그림 도 읽을 독 | 구절 두
아이 동(ː)[20] 무리 등ː 즐길 락 | 노래 악 | 좋아할 요 이할 리ː 다스릴 리ː
밝을 명 들을 문(ː)[21] 반 반ː 돌이킬/돌아올 반ː 나눌 반
필 발 놓을 방(ː)[22] 떼 부 나눌 분(ː)[23] 모일 사
글 서 줄 선 눈 설 이룰 성 살필 성 | 덜 생
사라질 소 재주 술 비로소 시 몸 신 귀신 신
믿을 신ː 새 신 약할 약 약 약 업 업
날랠 용ː 쓸 용ː 옮길 운ː 소리 음 마실 음(ː)[24]
뜻 의ː 지을 작 어제 작 재주 재 싸움 전ː
뜰 정 차례 제ː 제목 제 부을 주ː 모을 집
창 창 맑을 청 몸 체 겉 표 바람 풍
다행 행ː 나타날 현ː 모양 형 화할 화 모일 회ː

75자

2.5. 6급

기초 상용한자 활용의 고급 단계.

여기서부터 동음이의어 문제가 나오며, 쓰기 한자는 읽기 7급까지 포함된다.

8급~6급의 300자는 모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에 포함되어 있다.[25]
느낄 감ː 강할 강(ː)[26][27] 열 개 서울 경 옛 고ː
쓸 고 사귈 교 구분할/지경 구 고을 군ː 뿌리 근
가까울 근ː 등급 급 많을 다 기다릴 대ː 법도 도(ː) | 헤아릴 탁[28]
머리 두 법식 례ː 예도 례ː 길 로ː 푸를 록
오얏/성 리ː[29] 눈 목 아름다울 미(ː)[30] 쌀 미 성 박
차례 번 다를/나눌 별 병 병ː 옷 복 근본 본
使 하여금/부릴 사ː 죽을 사ː 자리 석 돌 석 빠를 속
손자 손(ː)[31] 나무 수 익힐 습 이길 승 법 식
잃을 실 사랑 애(ː)[32] 밤 야ː 들 야ː 볕 양
큰바다 양 말씀 언 꽃부리 영 길 영ː 따뜻할 온
동산 원 멀 원ː 말미암을 유 기름 유 은 은
의원 의 옷 의 놈 자 글 장 있을 재ː
정할 정ː 아침 조 겨레 족 낮 주 친할 친
클 태 통할 통 특별할 특 합할 합 다닐 행(ː) | 항렬 항[33]
향할 향ː 이름 호(ː)[34] 그림 화ː | 그을 획[35] 누를 황 가르칠 훈ː

75자

2.6. 준5급

중급 상용한자 활용의 초급 단계.

쓰기 한자는 준6급까지 포함된다.
값 가 손 객 격식 격 볼 견ː | 뵈올 현ː 맺을 결
결단할 결 공경 경ː 고할 고ː 공부할/과정 과(ː)[36] 지날 과ː
볼 관 관계할 관 넓을 광ː 갖출 구(ː)[37] 예 구ː
판 국 터 기 몸 기 생각 념ː 능할 능
둥글 단 마땅 당 큰 덕 이를 도ː 홀로 독
밝을 랑ː 어질 량 나그네 려 지날 력 익힐 련ː
일할 로 흐를 류 무리 류(ː)[38] 뭍 륙 바랄 망ː
법 법 변할 변 병사 병ː 복 복 받들 봉ː
사기 사ː 선비 사ː 섬길 사(ː)[39] [40] 낳을 산ː 장사 상
서로 상 고울 선 신선 선 말씀 설 | 달랠 세ː[41] 성품 성ː
씻을 세ː 해 세ː 묶을 속 머리 수 宿 잘 숙 | 별자리 수ː[42]
순할 순[43]ː 알 식 신하 신 열매 실[44] 아이 아
악할 악 | 미워할 오 맺을 약 기를 양ː 요긴할 요(ː)[45] 벗 우ː
비 우ː 구름 운 으뜸 원 클 위 써 이ː
맡길 임(ː)[46] 재물 재 재목 재 과녁 적 전할 전
법 전ː 펼 전ː 마디 절 끊을 절 | 온통 체 가게 점ː
뜻 정 調 고를 조 마칠 졸 씨 종(ː)[47] 주일 주
고을 주 알 지 바탕 질 붙을 착 참여할 참
꾸짖을 책 채울 충 집 택 물건 품ː 반드시 필
붓 필 해할 해ː 될 화(ː)[48] 본받을 효ː 흉할 흉
100자

2.7. 5급

중급 상용한자 활용의 초급 단계.

쓰기 한자는 6급까지 포함된다.
더할 가 옳을 가ː 고칠 개(ː)[49] 들 거ː 갈 거ː
물건 건 세울 건ː 굳셀 건ː 가벼울 경 다툴 경ː
볕 경(ː)[50][51] 생각할 고(ː)[52] 굳을 고(ː)[53] 굽을 곡 다리 교
구원할 구ː 귀할 귀ː 법 규 줄 급 물끓는김 기
기약할 기 재주 기 길할 길 단 단 말씀 담
도읍 도 섬 도 떨어질 락 찰 랭ː 헤아릴 량
거느릴 령 하여금 령(ː)[54] 헤아릴 료(ː)[55] 말 마ː 끝 말
망할 망 살 매ː 팔 매(ː)[56] 없을 무 곱 배(ː)[57]
견줄 비ː 쓸 비ː 코 비ː 얼음 빙 베낄 사
생각 사(ː)[58] 조사할 사 상줄 상 차례 서ː 착할 선ː
가릴 선ː 배 선 보일 시ː 책상 안ː 고기잡을 어
고기/물고기 어 억 억 더울 열 잎 엽 집 옥
완전할 완 빛날 요ː 목욕할 욕 소 우 수컷 웅
언덕 원 집 원 원할 원ː 자리 위 귀 이ː
인할 인 재앙 재 두 재ː 다툴 쟁 쌓을 저ː
붉을 적 머물 정 잡을 조(ː)[59] 마칠 종 허물 죄ː
그칠 지 부를 창ː 쇠 철 처음 초 가장 최ː
빌 축 이를 치ː 법칙 칙 다를 타 칠 타ː
높을 탁 숯 탄ː 널 판 패할 패ː 물 하
찰 한 허락할 허 호수 호 근심 환ː 검을 흑

100자

2.8. 준4급

중급 상용한자 활용의 중급 단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준4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9. 4급

중급 상용한자 활용의 고급 단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4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0. 준3급

고급 상용한자 활용의 초급 단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준3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 3급

고급 상용한자 활용의 중급 단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3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 2급

상용한자를 활용하는 것은 물론 인명지명용 기초한자 활용 단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2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 1급

국한혼용 고전을 불편 없이 읽고, 연구할 수 있는 수준 초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1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4. 준특급

국한혼용 고전을 불편 없이 읽고, 연구할 수 있는 수준 중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준특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5. 특급

국한혼용 고전을 불편 없이 읽고, 연구할 수 있는 수준 고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특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약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문회/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약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略字. 원래 한자를 쓰기 쉽게 줄인 것으로 간체자와는 다른 개념이다.[60]

4. 동자이음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자이음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同字異音字. 한 글자의 소리가 둘 이상인 것. 1급 이상의 시험(1급~특급)에서 주로 출제된다.[61]


[1] 어문회의 실수이다. 속자가 하위 급수에 본자가 상위 급수에 배정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각 한자 쌍에서 왼쪽의 것(본자)은 아예 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2] 大邱(대구), 大田(대전), 大口(대구), 大宗孫(대종손)(단, 국립국어원에서는 대종손은 장음이다.), 大斗(대두), 大文(대문), 大佛(대불) 빼고는 모두 장음이다.[3] 木瓜(모:과)는 장음이고 나머지는 모두 단음이다.[4] 사실 '배' 음은 장음인데 이 음으로 시작하는 한자가 없어 단음 처리 되었다. 한국어 어문 규정에 따르면 합성어 등을 제외하면 장음은 무조건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나올 수 있기 때문에.[5] 長官(장관) 같이 어른, 우두머리 뜻이면 장음이고 나머지는 단음이다.[6] 韓國(한:국), 韓服(한:복)처럼 나라와 관련 있으면 장음, 성씨나 지명 관련은 모두 단음이다.[7] 火曜日(화요일)만 단음이다.[8] 공간을 의미하면 단음, 나머지는 장음이다.[9] 每日(매일) 빼고 다 장음이다.[10] 手巾(수:건) 빼고 다 단음이다.[11] 그냥 바르다란 뜻이면 장음, 정월이란 뜻이면 단음이다.[12] 口文(구문), 口錢(구전)은 단음. 나머지는 장음이다.[13] 冬衣(동의), 冬至(동지), 冬胞子(동포자), 冬灰(동회), 冬芽(동아) 冬瓜(동과), 冬葵(동규), 冬臘月, 冬柏(동백), 冬白蝦(동백하) 빼고는 모두 장음이다. 밑줄 친부분은 2급 1급 한자가 포함된 단어다.[14] '다음, 돌아오는'이란 뜻이면 장음이지만 그 중에서 來年(내년)과 來日(내일)은 단음이다.[15] 來客, 來貢, 來到, 來訪, 來賓, 來聘, 來社, 來孫, 來襲, 來信, 來謁, 來演, 來往, 來遊, 來電, 來店, 來朝, 來住, 來着, 來聽, 來便, 來韓, 來航, 來現, 來會는 모두 장음이고 나머지는 단음이다..으아아아[16] '자주 삭', 또는 '촘촘할 촉'이라 읽을 때는 단음이다.[17] 4급 이상의 한자 중 유일하게 일본에서 상용한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다.[18] 便紙(편:지) 빼고는 모두 단음이다.[19] 短距離(단거리), 短點(단점), 短縮(단축) 빼고 대개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기준으로는 短은 모두 장음이다.[20] 童蒙(동몽)을 제외하고 기타는 장음이다.[21] 聞慶(문경)을 제외하고 다 장음이다.[22] 放學(방학)은 예외고 나머지는 장음이다.[23] 지위에 맞는 한도를 의미하는 分數(분:수)나 分付(분:부), 分量(분:량)은 장음이고, 기타는 단음이다. 分福(분:복)의 경우 어문회 측에서는 장음, 국립국어원 측에서는 단음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시험에 나올 확률은 낮다.[24] 飮毒(음독), 飮料(음료)는 단음, 나머지는 장음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기준으로는 전부 장음이다.[25] 미배정 한자는 준5급(, )부터 등장한다.[26] 強氏(강:씨), 強勸(강:권) 같이 성씨, 억지로 시킨다는 의미면 장음, 기타는 단음이며, 특히 '강하다'라는 의미면 단음이다.[27] 이체자 은 준특급에 속해 있다.[28] 度外(도외) 빼고는 다 장음이고, 度支部(탁지부) 같이 '탁' 음은 단음이다.[29] 과 함께 일본에서 상용한자가 아니면서 한국에서 초급 단계에 나오는 몇 안 되는 한자이다.[30] 미국과 관련 되면 단음이고, 美濃紙(미농지), 美德島(미덕도), 美川王(미천왕)도 단음이다. 나머지는 장음.[31] 후손의 준말인 경우 빼고 단음이다.[32] 愛國(애국), 愛人(애인), 愛情(애정), 愛酒(애주) 빼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넷 모두 장음 처리되어 있다.[33] 行實(행:실)은 장음이고 나머지는 단음이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모두 단음으로 처리하였다.[34] 號角(호각)은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모두 장음으로 보았다.[35] '획'음은 단음이다.[36] 課稅(과:세) 빼고 나머지는 단음이다.[37] 성씨를 의미 할 때만 장음이다.[38] 類달리(유달리) 할 때 만 단음이다. 하지만 순우리말이 포함 된 단어가 출제되는 경우는 없으니 그냥 장음으로 보자.[39] 仕宦(사:환)만 장음이고 나머지는 단음이다. 그래서 사실상 단음이라 보면 된다.[40] 2015 한문 교육 개정에 따라 2017년부터 '產'를 정자로 삼으나 한국어문회 측은 아직 미반영 상태. 쓰기에서 產를 허용할지는 미지수.[41] '세'만 장음이다.[42] '수'만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수'도 단음으로 표시되어 있다.[43] 순천시 (남•북한 모두), 화순군이 이 한자를 쓴다.[44] 임실군이 이 한자를 쓴다.[45] 要緊(요긴), 要領(요령), 要事(요사), 要所/要素(요소), 要約(요약) 은 단음 나머지는 장음이다.[46] 성씨를 의미하면 단음, 나머지는 장음이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모두 장음 처리하였다.[47] 種子(종자), 種族(종족) 등 씨와 관련 되면 단음, 사물의 갈래의 의미를 포함해 나머지는 장음이다.[48] '化粧(화장)'만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다. 한국어문회에서는 化學도 단음으로 보고 있으나, 국립국어원에서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화학이 시험에 출제될 일은 없어 보인다.[49] 改札(개찰), 改漆(개칠) 빼고 장음이다.[50] 상서롭다, 우러르다의 뜻이나 궁궐명, 지명, 인명, 연호 등은 장음이고, 볕, 경치와 景況(경황), 景槪(경개), 景印本(경인본), 景風(경풍), 景天(경천), 景行(경행) 등은 단음이다.[51] 김연경(金軟景), 노경은(盧景銀), 문보경(文保景)이 이 한자를 쓴다.[52] '연구(硏究)'를 의미하거나 '시험'과 관련되면 장음이다.[53] 固城(고:성) 빼고 다 단음이다.[54] 令監(영:감) 빼고 다 단음이다.[55] 요리와 관련되거나 헤아린다는 의미면 단음, 돈과 관련 된 말은 장음이다.[56] 賣買(매매) 빼고 다 장음이다.[57] 倍達(배달)은 단음, 나머지는 장음이다.[58] 思想(사:상)은 장음이고 나머지는 단음이다.[59] 操練(조:련), 操鍊(조:련), 操船(조:선), 操心(조:심), 操典(조:전), 操車(조:차), 操舵(조:타)는 장음이다.[60]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어문회 약자 대부분이 일본의 신자체와 겹친다.[61] 다만 예외적으로 1급보다 하위의 급수에서도 출제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