鉢 바리때 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金,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미배정 | 2급 | ||||||
- | |||||||
일본어 음독 | ハチ, (ハツ) | ||||||
일본어 훈독 | - | ||||||
钵 | |||||||
표준 중국어 | bō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鉢은 '바리때 발'이라는 한자로, '바리때', '사발(沙鉢)' 등을 뜻한다. 일본에서는 살짝 확장되어 바리때와 같이 무언가를 담을 수 있는 화분과 같은 물건에도 쓰인다.[1]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바리때 |
음 | 발 | |
중국어 | 표준어 | bō |
광동어 | but3 | |
객가어 | pat | |
민북어 | buŏi | |
민동어 | buák | |
민남어 | poah | |
오어 | peq (T4) | |
일본어 | 음독 | ハチ, (ハツ) |
훈독 | - | |
베트남어 | bát |
유니코드에는 U+926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CDM(金木一)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金(쇠 금)과 소리를 나타내는 本(근본 본)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속자로는 金(쇠 금) 대신 缶(장군 부)가 붙은 缽(U+7F3D)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𧿾[⿰𧾷本](넘을 과)[2]
- 䱁(피라미 교)
- 缽(바리때 발)[3]
- 砵(석발 발)
- 𧙄[⿰衤本](오랑캐옷 발)[4]
- 䬱(거친음식 본)
- 呠(꾸짖을 본)
- 㶱(불꽃 본/발)
- 絊(신선하고깨끗한 본)
- 㤓(미련할 분)
- 泍(샘솟을 분)
- 体(용렬할 분)
- 躰/骵(몸 체)
- 𧦹[⿰言本](음/인)
- 𠄯[⿰亏本]
- 𰄱[⿰分本]
- 𡊖[⿰土本]
- 𫯐[⿰多本]
- 𰐅[⿰廋本]
- 𢫆[⿰扌本]
- 𤙃[⿰牛本]
- 𪰐[⿰日本]
- 𪱻[⿰木本]
- 𭝯[⿰念本]
- 𤱙[⿰田本]
- 𬑊[⿰目本]
- 𱱀[⿰番本]
- 𭿸[⿰矛本]
- 𬖓[⿰米本]
- 𰹍[⿰車本]
- 𲂪[⿰貝本]
- 𬬌[⿰錢本]
- 𩢕[⿰馬本]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𡀖[⿰口鉢](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