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21:44:33

메 산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山, 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3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サン, セン
일본어 훈독
やま
-
표준 중국어
sh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100px-山-order.gif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역명5. 다리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여담

[clearfix]

1. 개요

山은 '메 산'이라는 한자로, '(山)' 혹은 '무덤'을 뜻한다. 그래서 '뫼 산'[1]이라고도 한다. '산 산'이라고 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메, 뫼
중국어 표준어 shān
광동어 saan1
감어 san1
객가어 sân
진어 san1
민북어 súing
민동어 săng
민남어 san[文] / soaⁿ[白]
오어 se (T1)
장어 san1
일본어 음독 サン, セン
훈독 やま
베트남어 sơn

의 모양을 형상화한 상형자이다. 상형자의 원형은 삼각형 모양의 큰 산 하나와 그 좌우에 작은 산 하나씩 그려져 있는 모습이며, 강원도에서 파는 희석식 소주의 술병에도 비슷하게 그려져 있다. 대략 아래와 같다.



이 모양에서 산기슭 부분이 가로획으로, 봉우리 부분이 세로획으로 변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뜻인 ''[4]는 산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현대에는 한자어인 '산'에 밀려 잘 쓰이지 않는 말이나 상표명, 회사명 등에서는 자주 쓰이고 있다.

이 한자가 부수로 쓰이는 한자는 이나 고개 등과 관련된 뜻이 많다.

파일:attachment/山/FUCK.jpg
산을 뜻하는 한국 수어가 위와 같이 한자 山의 모양을 본뜬 손가락 모양이다. 하필 수어통역사의 표정이 기가 막히게 찍혀서(...) 가끔 이 사진이 합성된 사진이라고 아는 사람이 있는데, 실제로 산을 나타내는 수어는 저 동작이 맞다.[5]

3. 용례

3.1. 부수

#!wiki style="margin:5px -10px -5px;
'''[[강희자전]]의 [[부수]] 목록'''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1획<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201 202 203 204 15획<colbgcolor=#fff,#1f2023>211
13획205 206 207 208 16획212 213
14획209 210 17획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위치별 주요 부수  ]
||<:><table align=center>
파일:chineseleft.png<colbgcolor=#fff,#1f2023> · · · · · · · · · · · · · · 月/⺼ · · · · · · ⻞/飠 · · · · · · · ⺬/礻 · · · · · · · · · · · · · · ·
파일:chineseright.png · · · · · · · · · · · · · · · · ·
머리파일:chinesetop.png⺿/艹 · · · · · 𠆢 · 爫/⺥ · · · · ·
파일:chinesebottom.png · · · · · · · · · · · · ·
받침파일:chinesepartialsur2.png⻍/⻌ · · · ·
파일:chinesepartialsur1.png广 · · · · · · 파일:chinesepartialsur3.png<colbgcolor=#fff,#1f2023> ·
파일:chinesesurrounding.png파일:chinesepartialsur5.png ·
파일:chinesepartialsur6.png파일:chinesepartialsur7.png
그외파일:chinesebetween.png{{{#!wiki style="margin:-16px -11px"파일:chinesetopbottom.png}}}파일:chineseleftright.png
[  수록자 보기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201 202 203 204 15획<colbgcolor=#fff,#1f2023>211
13획205 206 207 208 16획212 213
14획209 210 17획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


주로 변이나 머리에 위치하며, 부수로써 붙을 때는 주로 산이나 언덕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한자로 (고개 령), (높을 준), (봉우리 봉), (바위 암), (고개 점) 등이 있다.

3.2. 단어

3.3. 고사성어/숙어

3.4. 인명

3.5. 지명

3.6. 창작물

3.7. 기타

4. 역명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加山디지털團地驛), 도봉산역(道峰山驛), 독산역(禿山驛), 보산역(保山驛), 소요산역(逍遙山驛), 아산역(牙山驛), 오산역(烏山驛), 오산대역(烏山大驛), 용산역(龍山驛), 직산역(稷山驛), 청산역(靑山驛)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당산역(堂山驛)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지하철 3호선 정발산역(鼎鉢山驛)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지하철 4호선 산본역(山本驛), 수리산역(修理山驛), 신용산역(新龍山驛), 안산역(安山驛)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까치산역(까치山驛), 개화산역(開花山驛), 발산역(鉢山驛), 아차산역(峨嵯山驛), 우장산역(雨裝山驛), 하남검단산역(河南黔丹山驛), 하남풍산역(河南豊山驛)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구산역(龜山驛), 봉화산역(烽火山驛), 증산역(繒山驛)
파일:Seoulmetro7_icon.svg 수도권 지하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加山디지털團地驛), 도봉산역(道峰山驛), 산곡역(山谷驛), 삼산체육관역(三山體育館驛), 수락산역(水落山驛), 용마산역(龍馬山驛), 철산역(鐵山驛)
파일:Seoulmetro8_icon.svg 수도권 지하철 8호선 남한산성입구역(南漢山城入口驛), 다산역(茶山驛), 산성역(山城驛)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당산역(堂山驛)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곡산역(谷山驛), 도라산역(都羅山驛), 문산역(文山驛), 용산역(龍山驛), 운길산역(雲吉山驛), 일산역(一山驛), 풍산역(楓山驛)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굴봉산역(屈峰山驛), 천마산역(天摩山驛)
파일:GoldLine_icon.svg 김포 골드라인 마산역(麻山驛)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곡산역(谷山驛), 일산역(一山驛), 풍산역(楓山驛)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대모산입구역(大母山入口驛), 안산역(安山驛)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신림선 관악산역(冠岳山驛)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청계산입구역(淸溪山入口驛)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보국문역(北漢山輔國門驛), 북한산우이역(北漢山牛耳驛)
파일:ULine_icon.svg 의정부 경전철 송산역(松山驛)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갈산역(葛山驛), 계산역(桂山驛)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남산역(南山驛), 부산역(釜山驛), 부산대역(釜山大驛), 부산진역(釜山鎮驛), 연산역(蓮山驛)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國際金融센터·釜山銀行驛), 금련산역(金蓮山驛), 남양산역(南梁山驛), 부산대양산캠퍼스역(釜山大梁山Campus驛), 양산역(梁山驛), 장산역(萇山驛), 증산역(甑山驛)
파일:Busan3.svg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배산역(盃山驛), 연산역(蓮山驛)
파일:Busan4.svg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영산대역(靈山大驛)
파일:BGL_logo.svg 부산김해경전철 서부산유통지구역(西釜山流通地區驛)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원동역(釜山院洞驛)
파일:Daegu1.svg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각산역(角山驛)
파일:Daegu2.svg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고산역(孤山驛), 용산역(龍山驛)
파일:Daegu3.sv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남산역(南山驛), 지산역(池山驛)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도산역(道山驛)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파일:ITX-청춘 BI.svg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고속열차, 일반열차, 기차 정차역 마산역(馬山驛), 민둥산역(민둥山驛), 부산역(釜山驛), 북울산역(北蔚山驛), 연산역(連山驛), 오산역(烏山驛), 용산역(龍山驛), 울산역(蔚山驛), 익산역(益山驛), 천안아산역(天安牙山驛)
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png 북한 철도역 고산역(高山驛), 남산역(南山驛), 송산역(松山驛), 증산역(曾山驛), 풍산역(豊山驛)

5. 다리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1] ''가 중세 한국어 '뫼'에서 유래한 단어인 것은 맞지만, 산을 뜻하는 '뫼'는 고유명사에서의 쓰임을 제외하면 사실상 사어화되었으며 현대 한국 표준어 기준으로 '메'와 '뫼'는 엄연히 전혀 다른 뜻이다. '메'는 "산을 예스럽게 이르는 표현"인 반면 현대어의 '뫼'는 "사람의 무덤"을 의미한다.[文] 문독[白] 백독[4] '메아리'와 '두메산골'의 '메'가 이것이다.[5] 한편 미국 수어(ASL)에서는 산을 이렇게 표현하고, 일본수어(JSL)에선 이렇게 표현한다.[6] 한라산 주변에 있는 규모가 작은 화산들[7] 후지산이 이 곳과 시즈오카 후지시에 걸쳐있다.[8] (날 출)의 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