士 선비 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士,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3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 | ||||||
일본어 훈독 | さむらい | ||||||
- | |||||||
표준 중국어 | sh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士자는 고대 중국에선 권력을 쥔 남성을 의미했고,[1] 처음에는 무예를 연마한 지휘관의 의미가 강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식자층 내지는 학예(學藝)가 뛰어난 지식인을 의미하게 되었다. 벼슬로서의 士는 이미 춘추시대부터 그 지위가 점점 낮아졌으며, 전한 시대에는 대부의 아래에서 업무를 보조하는 직책이 되었다. 또는 정치 혁신의 꿈을 품은 '정치 꿈나무' 정도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공자는 '열을 미루어 하나를 더하는 것이 선비다(推十合一爲士)'라고 풀이했고, 설문해자에서는 '수는 하나에서 시작해서 열에서 끝난다(數始於一, 終於十)'고 하여 一과 十로 이루어진 회의자로 보았지만, 갑골문을 보면 병기(도끼)의 상형으로 무기를 들고 전장에 나서는 병사가 본뜻이다.
직업의 이름 중 '사' 자가 붙는 한자가 달라 혼동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 士 (선비 사) - 변호사(辯護士), 회계사(會計士), 무사(武士)
- 事 (일 사) - 판사(判事), 검사(檢事), 집사(執事)
- 師 (스승 사) - 교사(敎師), 의사(醫師), 간호사(看護師)
유니코드는 58EB에 배당되었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선비 |
음 | 사 | |
중국어 | 표준어 | shì |
광동어 | si6 |
3. 자형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4. 용례
4.1. 단어
- 건축사(建築士)
- 계리사(計理士)
- 관세사(關稅士)
- 군사(軍士)
- 기관사(機關士)
- 기능사(技能士)
- 기사(技士/騎士)
- 기술사(技術士)
- 도사(道士)
- 모사(謀士)
- 무사(武士)
- 박사(博士)
- 명예박사(名譽博士)
- 방사선사(放射線士)
- 법무사(法務士)
- 변리사(辨理士)
- 변호사(辯護士)
- 병사(兵士)
- 사관(士官)
- 사기(士氣)
- 사대부(士大夫)
- 사림(士林)
- 사법서사(司法書士)
- 사병(士兵)
- 사사기(士師記)
- 사족(士族)
- 사화(士禍)
- 상사(上士)
- 석사(碩士)
- 설계사(設計士)
- 수사(修士)
- 신사(紳士)
- 여사(女士)
- 역사(力士)[2]
- 열사(烈士)
- 영양사(營養士)
- 용사(勇士)
- 운전사(運轉士)
- 원사(元士)
- 의사(義士)[3]
- 인사(人士)
- 각계인사(各界人士)
- 임상병리사(臨床病理士)
- 장사(壯士/將士)
- 장학사(奬學士)
- 전사(戰士)
- 조종사(操縱士)
- 중사(中士)
- 지사(志士)
- 진사(進士)
- 책사(策士)
- 치과기공사(齒科技工士)
- 치과위생사(齒科衛生士)
- 투사(鬪士)
- 하사(下士)
- 학사(學士)
- 회계사(會計士)
- 흥사단(興士團)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 김사복(金士福)
- 노사연(盧士燕)
- 량스이(梁士诒)
- 메이타 이시로(鳴田 射士郎)
- 묘가 레이지(冥加 玲士)
- 산사기(山士奇)
- 시라즈 긴시(不知 吟士)
- 신시 미키야스(進士 幹泰)
- 야부사와 에이지(藪沢 鋭士)
- 왕스전(王士珍)
- 오시타리 유시(忍足 侑士)
- 이카루가 시몬(斑鳩 士門)
- 주사행(朱士行)
- 키미즈키 시호(君月 士方)
- 후쿠시 소타(福士 蒼汰)
4.4. 지명
4.5. 창작물
4.6. 기타
5.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명칭: 선비사부
강희자전 안에 33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24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남성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흙 토(土)도 부수로 쓰이기는 하지만 차이가 있는데 土가 부수로 쓰일 적에는 글자의 왼쪽이나 아래쪽에 붙고 士가 부수로 쓰일 적에는 글자의 오른쪽이나 위에 붙는다. 다만 예외도 있는데 士가 부수로 쓰인 글자 중 북방 임(壬)은 아래쪽에 붙어 있고 사위 서(壻)는 왼쪽에 붙어 있다. 또 하나의 예외로 춤 너풀거려 출 준(壿)도 있으나 이 글자는 잘 쓰이지 않는다.
중국에서는 흙 토 부수에 통합되었다.
5.1. 부수 예
추가 획 | 한자 |
기본자 | 士 |
1획 | 壬 |
6획 | 壱 |
10획 | 壼 |
11획 | 壽 |
5.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선비사부
- 중국: [ruby(士部, ruby=shìbù)]
- 일본: さむらい, さむらいかんむり
- 미국: Radical scholar
6. 유의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土(흙 토) - 위쪽 가로획이 더 짧으면 土(흙 토), 아래쪽 가로획이 더 짧으면 士(선비 사)가 된다. 서체에 따라서는 가운데 가로획이 아래로 약간 내려가 있는 경우도 있다. 土는 가운데 가로획이 세로획의 한가운데와 교차한다.
8. 여담
士를 세 개 합치면 壵(장할 장)이 된다.儒(선비 유)와 彦(선비 언)과는 뜻이 같으나 세부적으로는 살짝 다르다. 士는 젊은 선비를 말하고, 儒는 학문과 정치에 두루 원숙한 경지의 선비, 彦은 의관정제를 갖추고 예의를 숭상하는 선비 행세를 지칭한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