隹 새 추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隹,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미배정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スイ | ||||||
일본어 훈독 | - | ||||||
- | |||||||
표준 중국어 | zhu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隹는 '새 추'라는 한자로, '새'를 뜻한다.2. 상세
설문해자에 따르면 꼬리가 짧은 새의 총칭으로 새를 측면에서 본 모습을 본뜬 상형자라고 한다. 그러나 고문자를 보면 隹가 꼬리가 짧은 새만을 의미하는 지는 불분명하다. 나진옥은 갑골복사에서 隹와 鳥는 왕왕 혼용되며 사실 두 글자는 같은 글자라고 주장했다. [1] 현재 학자들은 대체로 이 설을 긍정하고 있지만 다른 주장으로는 隹가 조류의 총칭이고 鳥는 특정한 새의 종류를 상형했다고 한다.唯의 본자이기도 하며, 이때는 '~이다(to be)'의 의미를 지닌다. 현재 隹를 성부로 하는 여러 한자들은 실은 성부가 唯이다.
유니코드에는 U+96B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人土(OG)로 입력한다.
아름다울 가(佳)나 살 주(住)와 모양이 너무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다. 차이점이라면 아름다울 가(佳)는 두인변(亻)과 홀 규(圭)로 분석되고 홀 규(圭)는 흙 토(土)를 위아래로 포갠 모양으로 분석되어 가로획 길이가 짝수 번째가 홀수 번째보다 조금 더 길고 획순도 亻土土 순이다. 살 주(住)도 아름다울 가(佳)와 마찬가지로 두인변과(亻) 주인 주(主)로 구성되어 있고 획순도 亻主순이다. 반면 새 추(隹)는 이쪽은 홀 규(圭)와 비슷한 부분이 두인변(亻)과 딱 붙어있고 가로획 4개의 길이도 위아래가 가운데 두 획보다 조금 더 길며 획순도 亻丿三丨一 순이라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부수도 아름다울 가(佳)는 사람인(人→亻)부 6획이지만 이쪽은 그 자체로 부수다. 아래는 세 글자의 모양 비교.
隹 | 佳 | 住 |
새 추 | 아름다울 가 | 살 주 |
한국/일본에서 쓰는 자형과 중국에서 쓰는 자형의 세 번째 획의 방향이 다르다.
3. 자형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4.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명칭: 새추부
강희자전에 172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233 자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새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推(밀 추), 誰(누구 수)와 같이 성부로 사용한 경우도 있다. 부수로 쓰인 예시로는 離(떠날 리), 雀(참새 작), 雙(두 쌍), 難(어려울 난), 雜(섞일 잡), 集(모을 집), 雄(수컷 웅) 등이 있다. 《육서심원(六書尋源)》에 의하면 꼬리가 짧은 새를 나타내므로 상대적으로 머리가 강조되어 進(나아갈 진) · 推(밀 추)에 이 의미로 들어갔다고 한다.
4.1.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새추부
- 중국: [ruby(隹部, ruby=zhuībù)]
- 일본: ふるとり
- 영미: Radical short Tailed Bird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 隹를 두 개 합치면 雔(새한쌍 수), 세 개 합치면 雥(새떼지어모일 잡) 또는 雦(모을 집)[2]이 된다.
- 隹(새 추)라는 한자가 다른 한자를 만들 때 그렇게 자주 쓰이는데도 隹(새 추) 자체는 부수를 설명하는 게 아니면 사실상 쓰지 않는다. 현대 한자어에서 용례도 없다. 그래서 일부 휴대전화에서는 한자음 '추'를 가지고도 변환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