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2:09:24

강희자전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간체자 논쟁)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한문(교과)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ecd21><tablebgcolor=#fecd21> 파일:Portrait_of_the_Kangxi_Emperor_in_Court_Dress.jpg강희제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ecd21><colcolor=#00386a> 생애 <colbgcolor=#fff,#1f2023>생애 · 강건성세
가계 가족 관계
연호 강희
능묘 경릉
기타 강희자전
}}}}}}}}} ||

1. 개요2. 특징3. 글꼴
3.1. 피휘자
4. 의의5. 여담

1. 개요

강희자전()은 중국 청나라 제4대 황제 강희제의 칙명으로 편찬한 한자사전이다. 당대 유명 학자들을 초빙해 5년에 걸쳐 저술하여 강희 55년(1716)에 완성하였다.

2. 특징

후한 시대 《설문해자》 이후의 역대 자전들을 광범위하게 참고해 편찬하였으며, 12집(集) 119부(部) 분량에 4만 7035자를 수록했다. 부수 총 214개를 나누어 각 한자들을 부수에 배속하고, 반절에 따른 발음 표기, 훈고(訓詁), 자해(字解), 속/통자(俗通字)를 병기하는 등 사실상 현대의 한자사전의 포맷을 완성한 책이다. 그 외에도 역대 중국 왕조들의 수많은 시인, 문사들의 작품들과 인용과 교차검증을 함으로서 각 한자 뜻의 변천사까지 고증하기도 했다.

(예) 木부 1획 첫페이지 보기

하지만 이렇게 철저하게 만들어졌어도 일부 오류가 존재했는데, 도광 7년(1827) 왕인지(王引之)가 《자전고증(字典考證)》을 출판해 오류를 교정함으로써 어느 정도 수정되었다.

궁금한 자형은 이 링크 또는 이 링크로 검색하길 바란다. 단, 전자는 검색하자마자 뜨는 해서체 이미지 자형은 중국과 대만 기준이며 정자가 아닐 수도 있다. 강희자전자/본자는 스크롤을 좀 더 내려야 나타난다. 후자의 링크는 조금 더 알아보기 쉽다.

3. 글꼴

또한, 강희자전은 일부 글자에서 설문해자의 소전체를 바탕으로 변환한 글꼴 등을 채용해 소위 '강희자전체'라는 글꼴로 출간되었다. 전통적인 미관 때문에 대만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데 최근에는 남용된다는 지적이 있다. 어딜 가든 강희자전체가 있다고.[1]

그 와중에 강희자전은 거의 한자 문화권 사전의 스탠다드가 되고 많은 사람들이 이 자전을 참고하는 바람에,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한자 문화권 각국에서 쓰이던 정자체의 글꼴이 강희자전체처럼 변하였다. 일본에서도 구자체(舊字體)라고 불리는 소위 '옛날 한자'들은 거의 강희자전체라고 보면 된다.

그런데 현대에 들어 대만, 홍콩[2]을 제외한 중국어권에서는 도리어 필기자형에 맞게 표준 자형을 정하거나 아예 중국처럼 간략화하였고, 일본도 신자체를 정하면서 필기자형에 맞게 표준 자형을 수정했기 때문에, 한국어 중 한자어 표기를 한자로 하지 않는 한국에서의 자형이, 오히려 한자를 주 문자로 사용하는 중국과 일본보다 강희자전체에 가장 가깝게 사용되고 있다.

정자를 쓰는 대만과 홍콩에서도 표준자형은 대개 강희자전을 근거로 한다. 다만 일부 글자들은 필기의 용이성이나 관행 등에 따라 약간 다른 자형을 택하기도 한다.[3] 한동안 대만홍콩에서도 이 강희자전체인 정자의 복잡함을 이유로 간체자 도입 주장이 가끔씩 나왔으나, 최근 중국에 대한 반감이 많이 커지면서 이런 의견은 많이 사그라 들었으며 오히려 이제는 대만과 홍콩 사람들이 정자에 대해 정체성에 가까운 자부심을 느낀다. 한편 대만에서는 아이폰에 쓰이는 한자가 강희자전체에 가까운 글꼴에서 필기 자형에 맞는 표준 자형으로 되어서 이런 불만의 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드물게 강희자전의 표제자가 현대에는 정자나 번체자가 아닌 단순한 이체자 취급되는 경우도 있는데, (두드러기 은, 강희자전 표제자는 𤻘-⿸疒㥯), (골수 수, 강희자전 표제자는 𩪦-⿰骨隓) 등이 그렇다.

3.1. 피휘자

피휘는 사전이라고 예외가 될 수 없었다. 강희자전은 강희제 때 초판되고 도광제 때 다시 편찬되었는데, 강희제와 도광제 사이에 즉위한 황제[4]의 이름에 쓰이는 글자가 전부 피휘당했다. 글자를 찾을 때에는 피휘되기 전의 획수를 따지면 된다. 막상 펴보면 御名(황제의 이름)이라고 해놓고 획이 빠진 글자를 볼 수 있다.

해당되는 글자는 다음과 같다. 글자 모양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처리되었다.
피휘자가 확장된 유니코드에 등록되기도 했다. 등록된 글자는 𤣥(玄), 𦙍(胤), 𢎞(弘), 𤥎(琰), 𣅐(旻)이다.

4. 의의

19세기 이전 한자사전 중에서는 강희자전을 능가하는 것이 없고, 19세기 이후 한자사전 중에서는 강희자전으로부터 영향을 안 받은 것이 없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현대 한자사전의 포맷(한자, 부수, 음, 뜻, 속자, 용례 등)을 정립하다시피 하였거니와[5] 분량으로도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 이렇듯 강희자전이 워낙 영향력이 컸기 때문에, 원래는 이 사전만 뜻하는 고유명사였던 '자전(字典)'이 의미가 확대되어서 지금도 중국에서는 한자사전을 뜻하는 일반명사로 '자전'이라는 단어를 쓸 정도이다.[6] 한국에서는 양(梁)나라 고야왕(顧野王)이 편찬한 옥편이 보통명사가 된 것과 같다.[7]

5. 여담



[1] 대한민국 또한 한석봉의 사자관체와 함께 남용되는 서체 중 하나이다.[2] 이들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정자를 쓰지만 일부 글자들의 경우 쓰는 방식이 조금씩 다르다. 이에 관련되어서는 해당 문서 참조.[3] 이에 관해 자세한 정보는 관련 문서 참조.[4] 4대 강희제, 5대 옹정제, 6대 건륭제, 7대 가경제, 8대 도광제[5] 하지만 강희자전에서는 한자 하나하나의 뜻풀이에 중점을 둔 나머지 숙어 설명은 넣지 않았다.[6] 그 전까지는 자서(字書), 자해(字解) 등으로 주로 불렸다.[7] 하지만 양나라 때 편찬한 '옥편'은 부수 체계도 다르기 때문에 한국의 옥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 어렵다. 한국에서 옥편이라는 이름을 쓴 최초의 예로는 조선 정조 때 편찬한 '전운옥편(全韻玉篇)'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