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01:03:17

만요가나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간체자 논쟁)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 일본어 훈독의 한자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한문(교과)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한자문화권의 문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지역 현재 사용되는 문자 사라진 문자
대한민국 한글 구결 · 옛한글
한자 정자(정체자, 번체자)
약자(대한민국)
주음부호(대만) · 한어병음(대륙) · 통용병음(대만) · 대라병음(대만) · 객가어병음(대만)
월어병음(홍콩, 마카오)
한글 전 한국어 표기
대만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예일식 관화 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예일식 광동어 병음
홍콩 · 마카오
중국 대륙 간체자 · 한어병음 · 몽골 문자(내몽골) · 고장자(광시) · 신장자(광시) · 티베트 문자(티베트) · 위구르 문자(위구르) · 동파 문자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싱가포르 간체자 · 번체자 · 한어병음 502 간체자
일본 신자체 만요가나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헨타이가나
베트남 쯔꾸옥응으 쯔놈 }}}}}}}}}


1. 개요2. 역사3. 만요가나의 특징4. 만요가나의 예

1. 개요

만요가나(万葉仮名)는 고대 일본어에서 한자를 차용해,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당대의 일본어를 표기하던 방식이다. 만요슈(萬葉集)를 비롯해 고사기(古事記) 등의 일본어 고전 문헌에서 주로 쓰여서 만요가나(만엽가나)라는 이름이 붙었다.

일반적으로 가나의 기원을 만요가나로 보고 있다. 만요가나가 점차 변형되어 글자의 형태를 간략하게 만들거나 획수를 생략하는 식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로 히라가나가타카나이다.

2. 역사

고대 시대의 일본에는 히라가나가타카나 같은 문자가 없었으므로, 당시 일본에서는 한자를 이용해서 각종 문서를 집필했다.[1] 그러나 당대의 일본인들은 한문을 그대로 가져다 쓰지 않고 한자 자체의 음과 뜻의 포맷만 빌려 써서 당대 일본어를 표기하려는 시도를 했는데, 이를 만요가나라고 한다.

만요가나가 정확히 언제 성립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미 고사기나 일본서기, 만요슈 등에서 완성된 만요가나가 쓰이므로, 최소한 만요슈가 집필되었다고 추정되는 7세기 말경에는 이미 널리 사용된 듯하다. 현재 확인되는 만요가나가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은, 1968년 사이타마현에서 발굴된 금석명철검(金錯銘鉄剣)에 쓰인 문구이다. 금석명철검은 471년(혹은 531년)[2]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일부 학자들은 중국의 사서 삼국지 위지 왜인전[3]에 나온 야마타이국의 지명들과 인명 등을 근거로 들면서 이미 이 시기에 만요가나가 쓰이고 있었다고 주장하지만, 주류 학설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

런던 대학교 존 벤틀리(John R. Bentley)교수는 만요가나가 백제에서 유래하였다는 견해를 표하였다.[4] 영어 위키백과의 Japanese language 항목에도 만요가나의 백제 유래설에 대해 간략히 적혀 있다.

3. 만요가나의 특징

만요가나의 큰 특징은 역시 한자를 사용하지만 한자의 음과 뜻을 동시에 사용해서 읽으므로, 그 의미가 액면상의 한문과는 전혀 다른 데에 있다.

예를 들어 此岳尓라고 쓰고, 此의 뜻을 빌려 この, 岳의 뜻을 빌려 おか, 尓의 음을 빌려 に라고 읽어서 'このおかに(이 언덕에)'라고 읽는 식이다. 대략적으로, 실질 형태소는 한자의 뜻을 빌려 표기하고 형식 형태소는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한다.

만요가나는 꼭 1문자씩 읽어야 한다는 법이 없어서, 神楽声라고 쓰고 ささ라고 읽는 등 변칙적인 독음법도 꽤 있다.

한자의 음 뿐만이 아니라 그 한자의 뜻을 자기 나라 말로 읽어서 표현한다는 점이 신라향찰과 매우 유사하다. 일제강점기 시절 오구라 신페이 같은 일본인 문학자들이 만요가나와 향찰 사이의 이러한 유사점을 발견하고 초기 향찰 해독의 실마리를 찾은 바가 있었다.

껍데기만 한자를 빌려 쓴 한문이고 내용물은 고전 일본어이기 때문에, 고전 한문 읽듯이 한자의 뜻으로만 해석하려고 하면 전혀 해석할 수 없다. 또한 그 내용물도 현대 일본인들마저도 따로 교육을 받지 않으면 해석이 불가능한 고문(古文)이므로, 만요가나로 쓰여진 문헌들을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학습이 필요하다.

또한, 만요가나를 연구하면서 밝혀진 내용 중에 흥미로운 것이 있다. 현대에는 똑같은 음가가 똑같은 한자라도, 고전 문헌들에서는 단어에 따라 어떤 경우에는 어떤 그룹의 특정한 한자만 쓰이고, 또 다른 경우에는 다른 그룹의 특정한 한자만 쓰인다는 점이 밝혀졌다. 해당 내용은 상대 특수 가나 표기법 참고.

가나가 발명되면서 만요가나만을 사용한 저술은 사실상 사라졌지만, 오늘날 일본어에서도 만요가나와 유사하게 고유명사를 한자의 뜻과 관계없이 음만 빌려서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한자 하나가 한 음절에 대응하며, 한자의 뜻으로 해석하면 의미가 알쏭달쏭해진다. 규슈에 있는 지역인 佐世保(させぼ)라든가, 화폐정리사업을 단행한 일본인 경제 고문의 성씨인 目賀田(めがた)라든가. 그리고 개중에는 佐世保 근처에 있는 佐賀(さが)나, 후쿠시마현에 있는 군 이름인 耶麻(やま) 등 한자를 생각하지 않고 그냥 일본어 어휘인 것처럼 생각하면 뜻이 있는 것들도 있다. 인명, 특히 여성 인명 중에서도 이런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다.[5]

일본 신토의 축사(祝詞)를 의미하는 노리토는 만요가나로 표기된 것이 많다.

4. 만요가나의 예

아래 두 예는 만요가나 표기법의 양 극단에 있다고 해도 좋을 정도로 매우 다른 특징을 보인다.

첫 번째 시는 모든 만요가나의 뜻이 시어의 실질적인 의미와 대응된다. 즉 雷-雷, 神-神の, 小-少し, 動-響みて 등등의 식으로 모두 대응이 된다. 또 주목할 점이 하나 있는데, 君將留의 將는 君を留めむ의 む에 대응되며, 의지, 추측(~할 것이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그렇다면 일본어의 어순을 따라 만요가나를 표기한다면 君留將가 되어야 하는데, 留와 將의 순서가 뒤바뀌어 있다. 한문 어순과 일본어 어순이 혼재되어 있다.

반면 두 번째 시는 매우 단순하다. 의미와 아무 관계 없이 모든 만요가나와 시어가 한 음절씩 대응된다. 즉 余-よ, 能-の, 奈-な, 可-か, 波-は 식으로 대응이 된다. 덕분에 해독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굉장히 편하다.

[1] 옛 일본인들이 획수 많은 한자로 쓰기 어려워 초서체로 흘려 적다가, 몇몇 서체가 음절문자처럼 되고 표준화되어 오늘날의 히라가나가 되었다. 메이지 유신 전에는 히라가나가 통일되지 않고 같은 소리를 나타내는 다른 글자가 통용됐는데, 이러한 글자를 헨타이가나라고 한다.[2] 60갑자신해년에 바쳐졌다는 명문이 있어서, 정확한 제작년도에 대해 통일된 의견이 없다.[3] 일본에서도 고대사를 연구할 때 한국처럼 정사 삼국지를 많이 참고한다. 사실상 동아시아권에서 그 시기에 쓰인 역사서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것이기도 하고, 일본인 학자들이 보기에도 고사기, 일본서기 등의 문헌들을 액면 그대로 믿기에는 무리가 있다.[4] 2001년 만요가나의 기원(The origin of man'yōgana) #[5] 예를 들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세 아들은 모두 친구들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을 따 와서 만요가나로 표기한 것으로, 장남 히로시(比呂志)는 키쿠치 칸의 이름자 '寛('히로시'로 읽으며 키쿠치의 본명이기도 하다)'를 따 왔고, 차남 타카시(多加志)는 서양화가 오아나 류이치의 이름자 중 '隆'를, 3남 야스시(也寸志)는 법철학자 츠네토 쿄의 이름자 '恭'를 각각 따서 그 훈독을 만요가나로 표기한 이름이다. 장남 히로시는 배우가 되었고 차남 타카시는 아버지처럼 문학가가 되려고 도쿄외국어학교 불문학과에 진학했다가 재학 중 전사했으며 삼남 야스시는 작곡가 겸 지휘자가 되었다. 4부자가 모두 걸출한 인재들이었던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