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중국 한자음은 중국어(표준 중국어)로 한자를 읽는 소릿값이다.상고한어를 상고음으로, 중고한어를 중세음으로, 근고한어를 근대음으로 함에 대응해 현대음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2. 역사
자세한 내용은 중국어/역사 문서 참고하십시오.자세한 내용은 중고한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근고한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관화 문서 참고하십시오.
3. 특징
관련 항목: 관화3.1. 성모
3.1.1. 탁음이 소실
전탁음(유성음)이 사라지며 전청(무성무기음)과 차청(무성유기음)으로 바뀌었다.3.1.2. 疑母가 소실
한국 한자음과 같이 疑母(/ŋ/, ㆁ)가 소실되었으나, 귀화어인 상어(鯊魚), 붕어(鮒魚), 잉어(鯉魚) 등을 제외하고 疑母가 완전히 사라진 한국 한자음과 달리 운두 i, ü(/y/)가 덧붙여지거나 운복이 바뀌며 흔적이 남았다.3.1.3. 구개음화
표준중국어는 음운 i, ü 앞에 절대 g(무성 무기 연구개음 /k/), k(무성 유기 연구개음 /kʰ/), h(무성 연구개음 /x/), z(무성 무기 치경음 /t͡s/), c(무성 유기 치경음 /t͡sʰ/), s가 붙지 않는데, 이는 음운 g, k, h, z, c, s가 전부 음운 i, ü 앞에서 j(무성 무기 치경구개음 /t͡ɕ/), q(무성 유기 치경구개음 /t͡ɕʰ/), x(무성 치경구개음 /ɕ/)로 구개음화됐기 때문이다. 다만 음절 zii(/tsɪ/, 쯰~즤), cii(/tsʰɪ/, 츼), sii(/sɪ/, 씌~싀)는 발음하기 어려워 구개음화가 이뤄지기 쉽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당장 광동어에서도 이 음절을 구개음화 전인 z, c, s로 표기할 뿐 구개음화하여 j, q, x로 발음한다. 반면에 g, k, h는 구개음화되지 않았다.3.1.4. 기식 변형 또는 조음법이 변화
성모가 양순음, 설근음(연구개음)인 한자무성 유기 교설 파찰음(tʂʰ) - 무성 교설 마찰음
예: 城자 발음이 /*d͡ʑjɘŋ/, /*ɖ͡ʐɘŋ/(쪄ᇰ, ᅑᅥᇰ)에서 chéng([ʈ͡ʂʰɤ̃ŋ˨˦], 국어원 중국어 표기: 청)으로 변화
3.2. 운모
3.2.1. 입성과 운미 -m이 소실
입성은 -k(받침 ㄱ), -t(받침 ㄷ), -p(받침 ㅂ) 운미를 의미하며, 본래 중국어는 중고한어 때까지 입성이 존재했다. 그러나 이민족이 유입하며 새로운 국가가 건설되고 이민족 언어 (알타이제어) 요소로 중고한어에서 갈라져서 나온 관화에서 입성이 -h(성문음 /ʔ/)로 약화되었다. 이마저 청나라 후기에 사라져서 완전한 개음절이 되었다.근고서남관화부터 일어난, '-m' 운미와 '-n' 운미가 통합되는 변화[1]가 다른 지역어에서도 일어나, 입성이 완전 소실된 청나라 말기에 양순비운미 -m이 전부 설첨비운미 -n으로 바뀌었다.
3.2.2. 중뉴가 소실
근고한어 시절에일본 한자음도 마찬가지다.
3.2.3. 전설모음화
근고한어시절에 iei (국립국어원 중국어 표기법: 예이) 운모가 i 운모에 통합되었다.ian, üan
3.2.4. 일부 운모가 부분 통합
단운모 o의 소리가 e(비원순 후설 중고모음 /ɤ/)와양순음 뒤를 제외하고 o가 uo로
lüan(국립국어원 중국어 표기법: 뤼안)이 luan으로
1956년에 중국 본토(중화인민공화국)에서 iai(국립국어원 [[중국어 표기법: 야이) 운모가 소실되며 ia나 ai 운모로 통합되었다.
3.3. 성조
만기중고한어시절에 성모가 청탁여부이냐로 갈린 8성조(음평, 양평, 음상, 양상, 음거, 양거, 음입, 양입)에서 입성이 사라지고 음·양상성과 음·양거성이 상성과 거성으로 통합되며 현재 사성이 되었다.성조가 평성(平聲)이고 탁음인 한자는 2성(양평성, 陽平聲)이 되었고, 성조가 상성(上聲)이고 성모가 탁음인 한자는 전부 거성(舉聲)이 되었다. 이를 탁상귀거(濁上歸舉)라고 일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