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00:05:53

TIP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서비스 제공자에 대해 자발적으로 주는 돈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팁(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서비스 제공자에 대해 자발적으로 주는 돈: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다른 뜻:
팁(동음이의어)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유니코드 문자 집합의 문자 평면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기본 보조
<rowcolor=#FFF> Plane 0
0000~FFFF
Plane 1
10000~1FFFF
Plane 2
20000~2FFFF
Plane 3
30000~3FFFF
Planes 4-13
40000~DFFFF
Plane 14
E0000~EFFFF
Planes 15-16
F0000~10FFFF
기본 다국어 평면
BMP
보조 다국어 평면
SMP
보조 표의문자 평면
SIP
3차 표의문자 평면
TIP
(사용 안 함) 보조 특수 목적 평면
SSP
사용자 자유 영역
PUA
0XXX 8XXX 10XXX 18XXX 20XXX 28XXX 30XXX 38XXX 문자 없음 E0XXX 15: PUA-A
1XXX 9XXX 11XXX 19XXX 21XXX 29XXX 31XXX 39XXX F0000-​FFFFF
2XXX AXXX 12XXX 1AXXX 22XXX 2AXXX 32XXX 3AXXX
3XXX BXXX 13XXX 1BXXX 23XXX 2BXXX 33XXX 3BXXX 16: PUA-B
4XXX CXXX 14XXX 1CXXX 24XXX 2CXXX 34XXX 3CXXX 100000-​10FFFF
5XXX DXXX 15XXX 1DXXX 25XXX 2DXXX 35XXX 3DXXX
6XXX EXXX 16XXX 1EXXX 26XXX 2EXXX 36XXX 3EXXX
7XXX FXXX 17XXX 1FXXX 27XXX 2FXXX 37XXX 3FXXX
}}}}}}}}} ||

1. 개요2. 문자3. 코드 범위

1. 개요

Tertiary Ideographic Plane

유니코드 문자 집합의 네 번째 문자 평면. 1996년 7월 2.0 버전[1]을 발표하면서 새롭게 생긴 문자 평면이다. (물론 SMP, SIP, 4~13번 평면, SSP, PUA도 이에 해당한다.) 2020년 3월 10일 유니코드 13.0이 나오면서 평면이 생긴 지 24년 만에 글자가 처음으로 할당되었다.

2. 문자

유니코드 공식 홈페이지의 TIP 계획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자들이 들어갈 예정이다. 모두 오늘날과 같은 한자 서체가 자리잡기 전 중국에서 쓰였던 문자들이다.

3. 코드 범위

시작 영역 글자수 비고
U+30000 U+3134A
(U+3134F)
확장 한자 G 4,939 (5)
U+31350 U+323AF 확장 한자 H 4,192
U+323B0 U+3347B
(U+3347F)
확장 한자 J 4,300 추가 예정
(4)
U+33480 U+37FFF (미할당) - (19,328)
U+38000 U+3AB9F 전서 - 추가 계획
(11,168)
U+3ABA0 U+3FFFD (미할당) - (21,598)
U+3FFFE U+3FFFF (비문자) -
비고에서 괄호 안은 해당 영역의 잔여 포인트 수이다.
[1] 한글 완성형 11,172자를 배정하면서 기존 한글 완성형 영역을 갈아 엎었던 버전이다.[2] 전자는 아래 부분이 长马长으로 간화된 글자이고, 후자는 아래 부분이 본래의 長馬長으로 되어 있는 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