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18:09:55

이체자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간체자 논쟁)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 일본어 훈독의 한자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한문(교과)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1. 개요2. 국가별 이체자3. 이체자의 유형
3.1. 글자의 구성 요소의 배치가 다른 경우3.2.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이 다른 경우3.3. 음을 나타내는 부분이 다른 경우3.4. 하나는 형성자이고 하나는 회의자인 경우

1. 개요

이체자()란, 한자에서 자형이 다르지만 같은 글자로 취급되는 글자들을 말한다. 여기서 '같은 글자'라는 것은 발음과 의미가 ‘같은 것’을 뜻한다. 즉 형음의(形音意)의 세 요소 중에서 형(形)만 다르고 나머지 요소가 같은 한자를 말한다.

2. 국가별 이체자

약자속자도 이체자의 일종이며, 신자체간체자도 이체자라 할 수 있다.

한국대만, 홍콩, 마카오 등은 전통적인 한자의 형태인 정체자(번체자)가 표준이지만 국가마다 조금씩 자형이 다른데, 각 나라가 자국의 사정에 따라 서로 다른 이체자를 표준으로 정했기 때문이다.

유니코드에서는 이체자에서 큰 차이가 없으면 통합하고 차이가 크면 분리했다. 그런데 이 기준은 굉장히 미묘해서, 거의 똑같이 생긴 글자를 다른 코드에 할당하거나, 똑같은 차이인데도 어떤 경우에는 통합했고 어떤 경우에는 분리했는데, 이런 게 생각보다 많다. 분명히 똑같은 차이인데 어떤 경우에는 통합돼 있고(情) 어떤 경우에는 분리돼 있다(淸/清). 그래서 뭐가 통합돼 있고 뭐가 분리돼 있는지 일일이 외울 자신이 없다면 그냥 해당 언어 입력기로 치는 게 속 편하다. 그리고 본인이 쓰는 언어에 맞는 폰트를 쓰지 않으면 기대하지 않았던 이체자가 나올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분명 다른 티가 나는 글자를 같은 코드에 통합하는 경우도 종종 일어나곤 한다. 다른 티가 나는 글자를 같은 코드에 통합한 경우, 글꼴을 제작한 국가에 따라 같은 글자가 다르게 렌더링된다. 이는 부의 모든 한자가 대표적이다. 한국어에서는 示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지만, 일본어/중국어에서는 ネ 모양으로 변형된다.

한자문화권 중에서도 일본은 유달리 이체자 사용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일본상용한자라는 자국의 한자 표준이 있지만 고유명사에서 표준 형태와는 다른 이체자를 활발히 쓰고 다른 이들에게 이를 존중해줄 것을 요구한다. 그래서 일본인의 이름에는 한국이나 중국과 다르게 이체자를 많이 볼 수 있다.

서예 작품에서는 같은 글자가 중복 사용될 때, 작품의 미적·조형적 차원에서 이체자를 활용해 모양을 조금씩 다르게 쓰는 것이 보통이다.

3. 이체자의 유형

3.1. 글자의 구성 요소의 배치가 다른 경우

3.2.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이 다른 경우

3.3. 음을 나타내는 부분이 다른 경우

3.4. 하나는 형성자이고 하나는 회의자인 경우


이외에도 많은 사례들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
[1] 음을 나타내는 부분이 다른 嶺도 있다.[2]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이 다른 炳도 있다.[3] 한국/일본에서는 阝가 빠진 형태인 楕를 쓴다.[4] 본디 '다목 방'이나, '자루 병'으로도 읽을 수 있어 추가했다.[5]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이 다른 䢨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