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08:09:51

오필자형수입법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자/입력기
,
,
,
,
,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간체자 논쟁)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학년별한자배당표 · 통용규범한자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일본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상고음 · 중고음 · 양안 간의 독음 · 광동어 정음 운동 · 문백이독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나라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가나(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방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주음부호
입력 · 검색
중국어/입력기 · 창힐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한자}}}}}}}}}

1. 개요2. 입력 방법3. 장점4. 단점5. 기타

[clearfix]

1. 개요

오필자형수입법(간화자: 五笔字形输入法, 정체자: 五筆字形輸入法)은 중국 발명가 왕융민(王永民; 왕영민)이 1983년에 창안한 입력 방식이다. 그의 성을 따서 왕마오필(王码五笔)이라고도 불린다. 이후에 최초 창제자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이 개량판을 개발했다.

파일:중국어 입력기 오필획수입법.gif

로마자 25자(z 제외)에 한자를 배당했다.

2. 입력 방법

3. 장점

한어병음이나 주음부호 같은 발음기호에 의존하는 입력방식보다 단연 빠르다. 한 글자가 최대 4타를 넘어가지 않고, 중복자 수가 적어 나열된 중복자의 위치를 암기하여 숫자키로 입력할 수 있어 속도로 압도할 수 있다. 드보락과 마찬가지로, 속도가 중시되는 작업 환경이라면 익혀둘 만하다.

다만 발음을 위주로 하는 중국어 입력기가 자체 학습과 빅데이터를 결합하는 식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현재에도 이 방법이 여전히 빠른지는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옛날에 中国를 입력할 때 한어병음을 이용한 경우 zhong, \[1성\],中자 고르기, guo, \[2성\], 国자 고르기 식이나 (성조를 입력하는 몇종류 입력기로) zhong, 中자 고르기, guo, 国자 고르기 식으로 했으니 당연히 느렸다. 그렇지만 지금은 zg만 쳐도 바로 후보로 中国이 뜰 정도다. 한어병음보다 중국어 표기에 더 일찍 도입된 주음부호도 마찬가지였다. 臺灣(정자), 台灣(속자)을 입력하기 위해 ㄊㄞˊ 입력, 글자 고르기, ㄨㄢ 입력, 글자 고르기를 그대로 진행해야 했으며, 요즘은 ㄊㄨ만 입력 해도 추천 단어 상위에 臺灣(정자)와 台灣(속자)이 표시된다. 자주 쓰지 않는 단어는 이 방법이 어렵겠으나, 말 그대로 자주 쓰지 않기 때문에 이런 일은 중국어 타자에서 잘 안 일어난다. 또한 이런 방식 때문에 已經이라는 두 글자를 입력하는 것이 已 한 글자만 입력하는 것보다 빠른, 붓으로 글을 쓰던 시기엔 있을 수 없는 일도 일어난다. 한어병음이라면 전자는 yj를 치면 바로 추천 단어가 나오나 후자는 yi를 치고 음 똑같은 많은 글자들 중에서 已를 찾아서 골라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도 자주 쓰이지 않는 글자는 오필자형수입법으로 더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中国이라는 자주 쓰이는 단어를 입력할 때에는 zg만으로도 입력할 수 있는 병음수입법이 단연 편하다. 하지만 자주 쓰이지 않는 단어, 예를 들어 유명하지 않은 일반인 인명을 입력할 때에는 오필자형수입법이 훨씬 더 빠르다. 만약 수백 명 중국인 인명 목록을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해 보자. 그걸 다 병음이나 주음부호 입력기로 올바른 글자를 하나하나 골라가며 입력하려면 상당한 고역이겠으나 오필자형수입법으로는 일반 문장을 입력하는 속도와 다를 바 없다.

또한 현대 중국어가 아닌 한문을 입력할 때에는 병음/주음부호와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빠르다. 병음/주음부호수입법은는 어디까지나 다음절 어휘 위주인 현대 중국어에 맞춰 최적화된 것이기 때문에 단음절 어휘 위주인 한문을 쓰려면 앞서 말한 已 한 글자를 입력하는 것처럼 상당한 글자 고르기가 요구된다. 그러나 오필자형수입법으로 입력하면 현대 중국어를 입력하는 것과 동일한 속도를 낼 수 있다.

한자는 잘 알지만 그 중국어 발음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익히기가 편하다는 것이다. 발음에 상관없이 그냥 한자를 '써서' 입력하는 것이니까. 어떻게 보면 진정 필담이나 파자 놀이라고 해도 될 듯하다. 마찬가지로 한자를 많이 입력해야 하는 작업 환경인데 중국어는 잘 모르는 한국인도 사용할 수 있다. 대만 정체자는 한국 정체자와 몇 개 빼고 거의 같으니까.

컴퓨터 성능이 딸렸던 과거에는 한어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에 비해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이점이 있었다. 한어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은 일단 독음을 입력하고 그 독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후보군으로 띄운 뒤에 선택하는 방식인데, 컴퓨터 성능이 딸렸던 과거에는 수많은 한자 후보군을 띄우고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에 비하면 오필자형수입법은 로마자 몇 글자(와 중복자 구별을 위한 숫자 하나)만 입력하면 바로 한자 하나에 대응되니 소프트웨어적 처리가 훨씬 간편했다. 물론 오늘날에는 한어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 프로세스가 크게 빨라져서 눈에 띄는 장점이 아니다.

이 때문에 대륙에서 제일 보편적인 입력 방식이었고 학교 컴퓨터 시간에서 오필자형수입법을 필수로 가르쳤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컴퓨터 용량이 커지고 입력기에 온라인 데이터베이스까지 활용되면서 병음수입법의 정확성과 속도가 빠르게 발전하며, 오필자형수입법을 사용하는 비중이 크게 줄어들었고, 현재는 병음으로 입력이 어려운 벽자나 전문용어가 많이 쓰이는 전문 분야에서나 쓰이게 되었다. 과거에 흥행했던 중국어 오필 입력기, 왜 사라졌나?

4. 단점

그 많은 한자들을 발음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파자하며 조자법을 익혀야 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매우 높다. 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을 쓰던 사람이 오필자형수입법으로 평소 자주 쓰는 你 같은 글자마저 못 치게 되어 당혹스러워 한다.

외워야 할 자근(字根, 글쇠와 짝지어진 간단한 한자나 한자의 일부분) 수가 총 250개 정도로 많다.

마이너해져서 교재를 구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

5. 기타

한국 카시오 엑스워드 전자사전에서도 잠깐 사용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
, 3~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 (이전 역사)
문서의 r1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