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 문자 관련 틀 | |||||||||||||||||||||||||||||||||||||||||||||||||||||||||||||||||||||||||||||||||||||||||||||||||||||||||||||||||||||||||||||||||||||||||||||||||||||||||||||||||||||||||||||||||||||||||||||||||||||||||||||||||||||||||||||||||||||||||||||||||||||||||||||||||||||||||||||||||||||||||||||||||||||||||||||||||||||||||||||||||||||||||||||||||||
|
만한합벽체(滿漢合璧體)[1]로 쓴 자금성 건청문 판액(板額). 근고한어 발음인 Kiyan Cing Men이라고 쓰여 있다. |
1. 개요
ᠮᠠᠨᠵᡠ ᡥᡝᡵᡤᡝᠨ만주어 표기에 쓰는 문자.
앞선 금나라에서 여진어를 표현하기 위해 따로 여진 문자를 만들었지만, 한자와 마찬가지로 표어문자였기 때문에 문자의 개수가 너무 많아 실생활에서 별로 쓰이지 않았다. 금나라 멸망 이후로 여진어는 주로 구어로만 쓰였고 문자로 적어야 할 때는 몽골 문자로 적었는데, 몽골 문자로 여진어 발음 전체를 적을 수 없었기에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1599년, 누르하치의 명령을 받은 가가이와 어르더니가 몽골 문자에 자모와 부호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개량하여 만주 문자(무권점만문)를 만들었다. 이후 1632년에 신만문(유권점만문)으로 개조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2. 창시 일화
태조 수러 버일러[2]께서 몽고의 글을 바꾸어 만주 말을 쓰기를 원하자 어르더니 박시와 가가이 자르구치가, “저희는 몽고의 글을 배웠기 때문에 글을 안다고 할 것입니다. 옛날부터 내려온 글을 이제 왜 바꾸도록 하겠습니까?”하고 말렸다.태조 수러 버일러께서 말씀하시기를, “니칸 구룬의 글을 크게 읽으면 니칸의 글을 아는 사람과 알지 못하는 사람 모두 그 뜻을 이해한다. 몽고 구룬의 글을 크게 읽으면 글을 알지 못하는 사람도 모두 이해한다! 우리의 말을 몽고의 글로 써서 크게 읽으면 우리 구룬의 글 모르는 사람은 이해하지 못한다! 우리 구룬의 말로 쓴다면 왜 어렵겠는가? 한편 몽고 구룬의 말은 왜 쉬운가?”라고 말씀하셨다.
그러자 가가이 자르구치와 어르더니 박시가 대답하기를, “우리 구룬의 말로 쓴다면 정말 좋습니다. 바꾸어 쓰기를 저희가 할 수 없기에 말린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태조 수러 버일러께서 말씀하시기를, “‘아’라는 글자를 써라. ‘아’의 아래에 ‘마’를 쓴다면 ‘아마’가 아니냐? ‘어’라는 글자를 써라. ‘어’의 아래에 ‘머’를 쓴다면 ‘어머’가 아니냐? 내가 다 생각해 두었다. 너희가 써 봐라. 된다!”고 하며 홀로 버티면서 몽고의 글로 써서 크게 읽는 글을 만주 말로 바꾸게 하였다. 그때로부터 태조 수러 버일러는 만주 글을 창제하시어 만주 구룬에 널리 퍼트렸다.
-『청실록(淸實錄): 만주실록(滿洲實錄)』 권3, 110~112쪽.[3]
3. 특징
세로쓰기를 하며, 한글이나 한문과는 달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줄바꿈을 한다. 필기체와 인쇄체의 괴리가 키릴 문자 수준으로 큰 편이다.자음자와 모음자가 따로 있는 알파벳 형식이며, 아랍 문자처럼 단독/어두/어중/어미 등 위치에 따라 자형이 달라진다. 이는 만주문자가 계통상 아람 문자에서 건너고 건너서 왔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몽골 문자를 기반으로 일부 문자에 부호를 추가하여 몽골 문자를 확장한 형태이나, 일부 문자가 두 가지 서로 다른 음소에 대응하는 몽골 문자와 달리, 모든 문자가 하나의 음소에 대응하여 1자 1음의 원칙을 철저히 따른다.
4. 문자 목록
원어민 발음은 여기서 들을 수 있다.몽골 문자처럼 세로로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전산화할 때에는 세로로 된 글자를 가로로 눕혀 사용한다. 유니코드에도 가로로 눕힌 형태로 들어가 있다. 몽골 문자의 확장판이기 때문에 유니코드에는 몽골 문자의 일부로 들어가 있다.
모음 a, e, i, o, u, ū와 반모음 v, y, 자음 n, ŋ, s, š, l, m, j, c, k, g, h, b, p, t, d, r, f만이 만주어를 표기하는데 쓰였고 나머지는 한어를 표기하기 위한 특수문자이다.
4.1. 모음
만주 문자 | 라틴 문자 | 국제음성기호[4] |
ᠠ | A[5] | /ɑ/ |
ᡝ | E[6] | /ə/ /e/ |
ᡳ | I[7] | /i/ /j/ /ɨ/ |
ᠣ | O | /ɔ/ |
ᡠ | U | /u/ |
ᡡ | Ū | /ʊ/ |
᠊ᡟ᠊ | Y | /ɯ/ |
4.2. 자음
만주 문자 | 라틴 문자 | 국제음성기호[9] |
ᠨ | N | /n/ /ɲ̟/[10] |
ᠩ | NG | /ɴ/ /ŋ/ |
ᡴ | K | /qʰ[11]/ /kʰ/ /cʰ/ |
ᡤ | G | /q[12]/ /k/ /c/ /ŋ[13]/ |
ᡥ | H | /χ[14]/ /x/ |
ᠪ | B | /p/ |
ᡦ | P | /pʰ/ |
ᠰ | S | /s[15]/ /ɕ[16]/ |
ᡧ | Š | /ʃ/ /ʂ/ |
ᡨ᠋ | T | /tʰ/ /tʲʰ/ |
ᡩ | D | /t/ /tʲ/ |
ᠯ | L | /l/ /ʎ̟/ |
ᠮ | M | /m/ |
ᠴ | C | /[ʈ͡ʂ]ʰ/ /t͡ɕʰ[17]/ |
ᠵ | J | /[ʈ͡ʂ]/ /t͡ɕ[18]/ |
ᠶ | Y | /j/ |
ᠺ | K' | /kʰ/ |
ᡬ | G' | /k/ |
ᡭ | H' | /x/ |
ᡵ | R | /r/ |
ᡶ | F | /f/ |
ᠸ | V[19] | /v/[20] /w/ |
ᡮ | TS' | /t͡sʰ/ |
ᡯ | DZ | /t͡s/ |
ᡰ | Ř | /ɻ/ |
ᠰᡟ | SY | /sɯ/ |
ᡱᡳ | C'Y | /ʈ͡ʂʰɨ/ |
ᡷᡳ | JY | /ʈ͡ʂɨ/ |
5. 여담
본 문서에서도 따르고 있는 만주 문자의 로마자 표기법은 조선에도 오래 있었던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가 만들었다. 중국에서 만주어 관련 문서를 보면 반드시 '목인덕법'이라는 표제 하에 만주어를 로마자로 쓴 것이 나오는데 목인덕이 바로 이 사람이다.[1] 만주 문자로 된 글과 한문을 함께 쓰는 문장을 뜻한다.[2] 한을 칭하기 전까지의 누르하치를 가리키는 말로, ‘버일러’란 집단의 수령을 뜻하는 만주어[3] 구범진,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민음사, 2012, Ebook에서 번역 인용[4] 영문 위키백과[5] 후설모음으로 분류되나 중설모음인 ㅏ와 위치가 같다. 심지어 ㅏ:는 a보다 더 뒤에 있다.[6] 독립적으로 쓰일때는 /ə/로 반모음 y가 붙으면 /e/로 발음한다[7] oi와 ū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모음뒤에서는 두번 쓴다. ex) oilohonᠣᠢᠯᠣᡥᠣᠨ[8] 만주어 모음의 실제위치[9] 영문 위키백과[10] 한국어와 같이 i 앞에서 구개음화 되어 이 소리가 난다.[11] 양성모음 앞에서[12] 양성모음 앞에서[13] ng뒤에 g가 붙을경우 이렇게 발음된다.[14] 양성모음 앞에서[15] 현대 만주어에서는 ts로 파찰음화[16] i가 뒤에 붙을때만 구개음화 되어 변이음으로 난다.[17] i가 뒤에 붙을때만 구개음화되어 변이음으로 난다.[18] i가 뒤에 붙을때만 구개음화 되어 변이음으로 난다.[19] a,e에만 붙는다[20] 위의 원어민 영상에서의 발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