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d400> 역사 | 역사 | 왕사 | 병자호란 | 네르친스크 조약 | 삼번의 난 | 강건성세 | 백련교도의 난 | 아편전쟁 | 태평천국 운동 | 양무운동 | 청일전쟁 | 변법자강운동 | 의화단 운동 | 신해혁명 |
상징 | 공금구 | 송룡기 | |
정치 | 틀:역대 청 황제 | 한 | 청나라 소조정 | 청 내각총리대신 | |
군사·사법 | 팔기군 | 녹영 | 흠정 헌법 대강 | 이번원 | 종인부 | 천진무비학당 | |
외교 | 청나라/대외 관계(틀:청나라의 대외관계) | 난징조약 | 톈진조약 | 베이징 조약 | 신축조약 | |
행정구역 | 만주 | 푸순시 | 랴오양 | 선양시 | 베이징시 | |
인물 | 아이신기오로 가문 | 틀:역대 청 황후 | 틀:청의 후궁 | 틀:역대 청 황태자 | 아이신기오로 도르곤 | 아담 샬 |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 임칙서 | 보르지기트 셍게린첸 | 서태후 | 공친왕 | |
문화 | 문화 | 홍루몽 | 선양고궁 | 삼궤구고두례 | 만주족 | 만주 문자 | 만주어 | 티베트 불교 | 대승불교 | |
경제 | 청전 | 은자 | 청나라 채권 | |
기타 | 명청시대 | 명말청초 | 입관 | 청말 4대 기안 | 틀:청나라의 대외전쟁 | |
수나라&당나라 · 오대십국 · 송나라 · 명나라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 }}}}}}}}} |
1. 개요
청나라 황제의 용보. 용보 상단에 해 문양이 붙어있다.
청나라를 통치한 역대 황제와 추존 황제 및 왕실 계보도.
2. 목록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cd21, #f9d83e 20%, #f9d83e 80%, #fecd21); color: #00386a;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386a>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천명제 | 숭덕제 | 순치제 | 강희제 | |
<rowcolor=#00386a>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옹정제 | 건륭제 | 가경제 | 도광제 | |
<rowcolor=#00386a>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함풍제 | 동치제 | 광서제 | 선통제 | |
}}}}}}}}} |
- 추존 황제는 제외된다.
- 시호는 각주로 병기하되 만주식과 중국식의 순서로 한다.
- 한호는 만주식 군주 칭호, 칸호는 몽골식 군주 칭호이며 연호는 00제로 알려진 중국식을 먼저 쓰고 만주식을 뒤에 쓴다. 세조 때부터는 한호가 연호 + 한(ex: 순치제는 이지스훈 다산 한, 강희제는 얼허 타이핀 한)의 형태로 나타나므로 생략한다.
- 국성인 아이신기오로(愛新覺羅: 애신각라)는 생략한다.
2.1. 국호가 후금이었던 시기
대수 | 묘호 | 연호 | 시호 | 한호 | 칸호 | 휘 | 즉위년일 | 퇴위년일 | 재위 기간 | 능호 |
01 | 태조 (太祖) | 천명(天命)[1] 1616년 ~ 1626년 | [2] | [3] | - | 누르하치 (努爾合赤) | 1616년 2월 17일 | 1626년 9월 30일 | 10년 225일 | 복릉 (福陵) |
02 | 태종 (太宗) | 천총(天總)[4] 1627년 ~ 1636년 3월 | [5] | [6] | [7] | 홍타이지 (皇太極) | 1626년 10월 20일 | 1636년 5월 15일 | 9년 208일 | 소릉 (昭陵) |
2.2. 국호를 청으로 변경한 이후
대수 | 묘호 | 연호 | 시호 | 칸호 | 휘 | 즉위년일 | 퇴위년일 | 재위 기간 | 능호 |
02 | 태종 (太宗) | 숭덕(崇德)[8] 1636년 4월 ~ 1643년 | [9] | [10] | 홍타이지 (皇太極) | 1636년 5월 15일 | 1643년 9월 21일 | 7년 129일 | 소릉 (昭陵) |
03 | 세조 (世祖) | 순치(順治)[11] 1644년 ~ 1661년 | [12] | [13] | 푸린 (福臨) | 1643년 10월 8일 | 1661년 2월 5일 | 17년 120일 | 효릉 (孝陵) |
04 | 성조 (聖祖) | 강희(康熙)[14] 1662년 ~ 1722년 | [15] | [16] | 셴예 (玄燁) | 1661년 2월 5일 | 1722년 12월 20일 | 61년 318일 | 경릉 (景陵) |
05 | 세종 (世宗) | 옹정(雍正)[17] 1723년 ~ 1735년 | [18] | [19] | 인전 (胤禛) | 1722년 12월 27일 | 1735년 10월 8일 | 12년 285일 | 태릉 (泰陵) |
06 | 고종 (高宗) | 건륭(乾隆)[20] 1735년 ~ 1796년 | [21] | [22] | 훙리 (弘曆) | 1735년 10월 8일 | 1796년 2월 9일 | 60년 124일 | 유릉 (裕陵) |
07 | 인종 (仁宗) | 가경(嘉慶)[23] 1796년 ~ 1820년 | [24] | [25] | 용얀 (顒琰)[26] | 1796년 2월 10일 | 1820년 9월 2일 | 24년 206일 | 창릉 (昌陵) |
08 | 선종 (宣宗) | 도광(道光)[27] 1821년 ~ 1850년 | [28] | [29] | 민닝 (旻寧)[30] | 1820년 10월 3일 | 1850년 2월 25일 | 29년 145일 | 모릉 (慕陵) |
09 | 문종 (文宗) | 함풍(咸豊)[31] 1851년 ~ 1861년 7월 | [32] | [33] | 이주 (奕詝) | 1850년 3월 9일 | 1861년 8월 22일 | 11년 166일 | 정릉 (定陵) |
10 | 목종 (穆宗) | 동치(同治)[34] 1862년 ~ 1874년 | [35] | [36] | 자이슌 (載淳) | 1861년 11월 11일 | 1875년 1월 12일 | 13년 62일 | 혜릉 (惠陵) |
11 | 덕종 (德宗) | 광서(光緖)[37] 1875년 ~ 1908년 | [38] | [39] | 자이티얀 (載湉) | 1875년 2월 25일 | 1908년 11월 14일 | 33년 263일 | 숭릉 (崇陵) |
12 | -[40] | 선통(宣統)[41] 1908년 ~ 1912년, 1917년 | -[42] | [43] | 푸이 (溥儀)[44] | 1908년 12월 2일 | 1912년 2월 12일 | 3년 72일 | 없음[45] |
3. 추존 황제
묘호 | 시호 | 이름 | 재위 기간[46] | 능호 | 비고 |
시조(始祖) | □ 황제(□ 皇帝) | 부쿠리용숀(布庫里雍順) | ? ~ ? | - | 태조 추숭, 황실 시조 |
조조(肇祖) | 원황제(原皇帝) | 먼터무(孟特穆) | 1405년 ~ 1433년 | - | 세조 추숭, 세조의 원조부 |
흥조(興祖) | 직황제(直皇帝) | 푸만(福滿) | 1522년 ~ 1542년 | - | 세조 추숭, 세조의 현조부 |
경조(景祖) | 익황제(翼皇帝) | 기오창가(覺昌安) | 1542년 ~ 1571년 | - | 세조 추숭, 세조의 고조부 |
현조(顯祖) | 선황제(宣皇帝) | 탁시(塔克世) | 1571년 ~ 1583년 | 흥릉(興陵) | 세조 추숭, 세조의 증조부 |
| 민입정성경의황제 (懋德修遠廣業定功安 民立政誠敬義皇帝) | 도르곤(多爾袞) | - | - | 세조 추숭, 태조의 14남 추후 삭탈 |
4. 비정통 황제
묘호 | 시호 | 봉호 | 연호 | 이름 | 재위 기간 | 능호 | 비고 |
- | - | 보국공(補國公) | | 부준(溥儁) | | - | 덕종의 대아가[47] |
5. 기타 비황족 제호 헌상자
묘호 | 시호 | 이름 | 능호 | 비고 |
- | 충의신무관성대제 (忠義神武關聖大帝) | 관우(關羽) | 관릉(關陵) | 문종 추존, 비 황족 |
충의신무령우인용위현관성대제 (忠義神武靈佑仁勇威顯開聖大帝) |
6. 건주여진 추장
대수 | 묘호 | 시호 | 연호 | 칸호 | 휘 | 재위 기간 | 능호 | |
1 | 시조(始祖) | □ 황제(□ 皇帝) | - | - | 부쿠리용숀 (布庫哩雍順) | ? ~ ? | - | |
계보 불명 | ||||||||
? | - | - | - | - | 범차의 부친 | 13세기 전후 | - | |
? | - | - | - | - | 범차(范嗏) | 14세기 초반 | - | |
? | - | - | - | - | 동휘호(童揮護) | ? ~ ? | - | |
? | 조조(肇祖) | 원황제(原皇帝) | - | - | 먼터무(孟特穆) | 1405 ~ 1433 | 영릉(永陵) | |
? | - | - | - | - | 범찰(凡察) | 1433 ~ ? | - | |
? | - | - | - | - | 충샨(充善) | 1433 ~ 1467 | - | |
? | - | - | - | - | 톨로(妥羅) | 1469 ~ 1506 | - | |
? | - | - | - | - | 탈원보(脫原保) | 1506 ~ 1524? | ||
? | 흥조(興祖) | 직황제(直皇帝) | - | - | 푸만(福滿) | 1522 ~ 1542 | 흥경릉(興景陵) | |
? | 경조(景祖) | 익황제(翼皇帝) | - | - | 각창안(覺昌安) | 1542 ~ 1571 | 영릉(永陵) | |
? | 현조(顯祖) | 선황제(宣皇帝) | - | - | 탑극세(塔克世) | 1571 ~ 1583 | 영릉(永陵) | |
말대 | 태조(太祖) | 고황제(高皇帝) | 천명(天命) | 수러겅옌한(汗) | 노이합적(努爾哈赤) | 1583 ~ 1626 | 복릉(福陵) |
7. 항렬
강희제 시대에 아들 대의 항렬자가 윤(胤: 또는 允)으로 정해졌고, 그것은 옹정제의 휘 윤진(胤禛)에서 나타난다.[48] 손자 항렬은 홍(弘: 건륭제), 증손자 항렬은 영(永) 또는 옹(顒: 가경제)로 정해졌다.[49] 건륭제 대에 와서 손자대 항렬로 면(綿) 또는 민(旻: 도광제)이, 증손자대 항렬로 혁(奕: 함풍제), 고손자대 항렬로 재(載: 동치제, 광서제)를 정하고, 도광제 대에 추가로 부(溥: 선통제), 육(毓), 항(恒), 계(啟)가, 함풍제 대에 그에 덧붙여 도(燾), 개(闓), 증(增), 기(祺)를 더했다. 1938년에 애신각라 족보를 수속(修續)함과 동시에 부의는 경지개서(敬志開瑞),석영원성(錫英源盛),정조무상(正兆懋祥) 등 12글자를 더 추가했다.청나라 종법상 항렬 하나에 황제 한 명이 원칙이라 청나라 말기에 동치제 다음으로 항렬이 부(傅)인 사람이 황위에 올라야 했지만, 서태후가 동치제와 항렬이 같은 광서제를 동치제 다음 황제로 옹립하여 이 원칙을 깨트렸다.
8. 계보도
천제 | |||
불고륜 (여성) | |||
추존 황제 시조 부쿠리용숀 | |||
(계보 불명) | |||
범차의 부친 | |||
범차 | |||
동휘호 | |||
추존 황제 조조 먼터무 | |||
충샨 | |||
시버오치피양구 | |||
추존 황제 흥조 푸만 | |||
추존 황제 경조 기오창가 | |||
추존 황제 현조 탁시 | |||
1.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 | |||
2. 아이신기오로 홍타이지 | 아이신기오로 도르곤 | ||
3. 아이신기오로 푸린 | |||
4. 아이신기오로 히오완예이 | |||
5. 아이신기오로 인전 | |||
6. 아이신기오로 훙리 | |||
7. 아이신기오로 용얀 | |||
8. 아이신기오로 민닝 | |||
9. 아이신기오로 이주 | 이후완 | 이총 | |
10. 아이신기오로 자이슌 | 11. 아이신기오로 자이티얀 | 자이펑 | 자이이 |
12. 아이신기오로 푸이 | 아이신기오로 푸쥔 |
청의 12명의 황제 중 5명[50]이 10살이 되기 전에 황제로 즉위했다.
또한 청 후기의 황제들(도광제부터)을 보면, 초기 황제들과 달리 궁중 생활만 해서 그런지 대체로 얄팍한 체형에 심지어 대부분 단명했다.
[1] 만주어로 압카이 풀링가, 몽골어로 텡그린 술데투.[2] 더르기 황제.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睿武端毅欽安弘文定業高皇帝).[3] 거런 구룬버 우지러 겅옌 한. '모든 나라들을 이롭게 하는 지혜로운 군주'라는 의미.[4] 만주어로 압카이 수러.[5] 겅옌 수 황제. 응천흥국홍덕창무관온인성예효경민소정융도현공문황제(應天興國弘德彰武寬溫仁聖睿孝敬敏昭定隆道顯功文皇帝).[6] 언두링거 한.[7] 복다 카간.[8] 만주어로 워시훈 어르더뭉거, 몽골어로 데게데 에르뎀투.[9] 겅옌 수 황제[10] 복다 카간.[11] 만주어로 이지스훈 다산.[12] 얼덤부러 황제. 체천융운정통건극영예흠문현무대덕홍공지인순효장황제(體天隆運定統建極英睿欽文顯武大德弘功至仁純孝章皇帝).[13] 아이비어 자사크 칸.[14] 만주어로 얼허 타이핀.[15] 고신 황제. 합천홍운문무예철공검관유효경성신중화공덕대성인황제(合天弘運文武睿哲恭儉寬裕孝敬誠信中和功德大成仁皇帝).[16] 엔크 암갈란 칸.[17] 만주어로 후왈리야순 톱[18] 텀거툴러허 황제. 경천창운건중표정문무영명관인신의예성대효지성헌황제(敬天昌運建中表正文武英明寬仁信毅睿聖大孝至誠憲皇帝).[19] 나이랄트 토브 칸.[20] 만주어로 압카이 워히예허.[21] 용키양하 황제. 법천융운지성선각체원입극수문분무흠명효자신성순황제(法天隆運至誠先覺體元立極敷文奮武欽明孝慈神聖純皇帝).[22] 텡게린 테트게센 칸.[23] 만주어로 사이충가 펑션.[24] 숭옌 황제. 수천흥운수화수유숭문경무광유효공근검단민영철예황제(受天興運敷化綏猷崇文經武光裕孝恭勤儉端敏英哲睿皇帝).[25] 사이시얄투 이루겔투 칸.[26] 永琰(영염)에서 顒琰(옹염)으로 바꿨다.[27] 만주어로 도로 얼덩거.[28] 샹안 황제. 효천부운입중체정지문성무지용인자검근효민관정성황제(效天符運立中體正至文聖武智勇仁慈儉勤孝敏寬定成皇帝).[29] 터르 게렐트 칸.[30] 綿寧(면녕)에서 旻寧(민녕)으로 바꿨다.[31] 만주어로 굽치 얼기옝거.[32] 일러투 황제. 협천익운집중수모무덕진무성효연공단인관민장검현황제(協天翊運執中垂謨懋德振武聖孝淵恭端仁寬敏莊儉顯皇帝).[33] 투기멜 엘베그트 칸.[34] 만주어로 요오닝가 다산.[35] 필링가 황제. 계천개운수중거정보대정공성지성효신민공관의황제(繼天開運受中居正保大定功聖智誠孝信敏恭寬毅皇帝).[36] 부린투 자사그치 칸.[37] 만주어로 바다랑가 도로.[38] 암발링구 황제. 동천숭운대중지정경문위무인효예지단검관근경황제(同天崇運大中至正經文緯武仁孝睿智端儉寬勤景皇帝).[39] 바다라울트 투르 칸.[40] 후에 구 황실이 공종(恭宗)이라는 묘호를 올렸다.[41] 만주어로 거훙거 요소.[42] 후에 구 황실이 올린 시호로는 배천동운법고소통수문경부관예정목체인입효민황제(配天同運法古紹統粹文敬孚寬睿正穆體仁立孝愍皇帝). 하지만 중국 정부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손제(遜帝)라고 부른다. 참고로 그 의미는 겸손할/사양할 손. 혹은 말제(末帝)라고도 부른다.[43] 휴브트 요스 칸.[44] 이미 만주족이 중국에 한참 동화된 후의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라서 그런지 이름은 만주식 이름이 아닌 중국식 이름이다. 만주식 발음은 중국식 발음와 같은 푸이다. 헨리(Henry)라는 영어 이름이 있는데, 푸이의 개인 교사였던 영국인 레지널드 존스턴(Reginald Johnston)이 헨리 8세의 이름에서 따서 붙여준 이름이다. 하지만 이 이름은 1920년부터 1932년까지 서양인들과 대화할 때만 잠깐 사용되었을 뿐이며, 중국에서는 잘 쓰이지도, 알려지지도 않았다. 청나라 때는 황제의 본명을 함부로 부르는 것은 무례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당연히 본명이 불릴 일이 거의 없었고, 제위를 잃고 평민이 된 후에는 그냥 푸이 선생이라고 불렸다. 아이신기오로라는 성은 잘 쓰이지 않았다. 그의 동생 중 한 명인 푸런(溥任, 1918.8.17~2015.4.10)은 이름을 진유즈(金友之)로 바꿨다. 즉, 이름을 바꾸면서 성도 진(金)씨로 함께 바꾼건데, 현재도 많은 만주족들은 진씨 성을 사용한다.[45] 사후 베이징 바바오산 혁명공묘(北京 八宝山 革命公墓)에 묻혔다가 청서릉(淸西陵) 인근에 마련된 화룡황가능원(華龍皇家陵園)에 매장되었다.[46] 건주위 추장[47] 옹립될 예정이였으나 직전에 취소되고 무효가 됨.[48] 원래 강희제 아들 항렬자는 胤이였는데, 이후 옹정제가 즉위하면서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형제들의 이름을 允으로 바꿔버렸다. 이는 고려初 왕위 승계자의 명칭이 正胤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49] 옹정제와는 반대로 원래 건륭제의 아들 항렬자는 永이였는데, 가경제가 본인의 항렬자를 고쳤다.[50] 순치제, 강희제. 동치제, 광서제, 선통제. 이 중 광서제와 선통제의 경우 황위 계승 서열이 한참 떨어져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 실권력자인 서태후의 정치적인 목적으로 인해 즉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