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고려의 역사를 다루는 서적}}}에 대한 내용은 [[고려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고려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고려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고려의 역사를 다루는 서적: }}}[[고려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고려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고려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女士
학덕이 높고 어진 여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근래 중국에서는 영어의 Madam 또는 Lady에 대응하여, 혼인 여부에 관계없이 여자에 대한 호칭으로 이 단어를 쓴다.2. 女史
기혼인 여자 또는 사회적으로 이름 있는 여자를 높여 이르는 말이다. 주로 성명 아래 붙여 쓴다. 좀더 높여 부르는 경우에는 거기에 님을 붙여서 xxx 여사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성씨 뒤에 바로 여사를 붙이면 경우에 따라서는대한민국에서는 영부인에 대하여 여사라고 붙이는 경향이 있다. 말 그대로 경칭이므로 중립을 유지하는 위키에서는 이러한 표현은 금지된다.
일반적으로는 중년 이상의 여성에 대한 존칭으로 많이 쓰인다. 남성이 사장님으로 불리는 것과 같은 용례. 다만 고객의 입장이라면 사모님으로 불리기도 한다. 예를 들어 칠순을 맞은 성인 여성의 잔치에 가서 기념품을 받는다면 "XXX 여사 고희 기념" 같은 식으로 적혀있는 걸 볼 수 있을 것이다. 가족 호칭으로도 불린다.
아줌마 호칭[1]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거부감이 덜한 단어라서 일부 중년 여자들 중에서는 본인을 여사님이라고 부르면 만족하는 반면 아줌마라고 부르면 화내는 경우도 많으며, 갓 결혼한 새댁이나 아직 결혼한지 10년도 안 된 기혼녀들 중에서도 본인을 누가 아줌마라고 부르면 민망해하는 경우도 많다. 아줌마보다 약간 격식이 있는 '아주머니' 호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여사라는 호칭은 현대에는 사용 빈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어색해하는 경우도 많다.
할인점에서는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부인 김정숙[2]이나 김정은의 부인 리설주[3]에게만 사용하는 고급스러운(?) 호칭이다. 그 외 사회적인 명망이 높은 녀성들은 나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자신보다 직책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쓰는 호칭인 동지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김여정 동지. 시진핑의 부인 펑리위안에게도 여사라고 하는데, 최근 정상회담에서는 문재인의 부인 김정숙도 여사라고 불렸다.[4]
서브컬처 등에서 주로 나이값 못하는 중년 여캐를 츳코미할 때 쓰는 호칭으로 쓰기도 한다. 긍정적으로 부를 때는 인기 여성 작가들을 칭한다. 예를 들어 카오루 여사, 소 여사. 타카하시 루미코를 루미코 여사라고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