갖은자에 대한 내용은 參 문서 참고하십시오.
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〇(영) | 一(일) | 二(이) | 三(삼) | 四(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오) | 六(육) | 七(칠) | 八(팔) | 九(구) | |
伍 | 陸 | 柒 | 捌 | 玖 | |
十(십) | 廿(이십) | 卅(삼십) | 卌(사십) | 百(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이백) | 千(천) | 萬(만) | 億(억) | 兆(조) | |
- | 仟 | - | - | - | |
京(경) | 垓(해) | 秭(자) | 穰(양) | 溝(구) | |
- | - | - | - | - | |
澗(간) | 正(정) | 載(재) | 極(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三 석 삼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一,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3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サン, ゾウ | ||||||
일본어 훈독 | み, み-つ, みっ-つ, みい | ||||||
- | |||||||
표준 중국어 | sā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三의 획순 |
[clearfix]
1. 개요
三은 '석 삼'이라는 한자로, 숫자 3과 그 서수를 나타낸다.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석 |
음 | 삼 | |
중국어 | 표준어 | sān |
광동어 | saam1 | |
객가어 | sâm | |
민북어 | sáng | |
민동어 | săng | |
민남어 | sam[文] / saⁿ[白] | |
오어 | se (T1) | |
일본어 | 음독 | サン |
훈독 | み, み-つ, みっ-つ, みい | |
베트남어 | tam |
유니코드에는 U+4E0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MM(一一一)으로, 주음부호로는 ㄙㄢ로 입력한다.
석 삼의 부수형태는 彡가 있다. 이 부수는 강희자전에서 59번째 부수로 분류되어 있으며, 修(닦을 수), 參(석 삼), 形(형상 형), 須(모름지기 수) 등의 한자에 사용된다.
지사자인데, 선이 세 개 그어져 있는 모습을 본뜬 것이다. 一이 二 위에 있는 모양이니 '둘에 하나를 더하면 셋'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1부터 3까지는 각 숫자의 개수만큼 있는 물체의 형상을 본땄지만 그 이후의 숫자는 그렇지 않다.[3]
이체자로는 參, 参[4], 叁 弎[5], 𢦘[6], 𣬛[7]등이 있다. 參(석 삼, 참여할 참)은 갖은자인데, 이런 복잡한 한자가 三의 갖은자가 된 이유는 관공서나 공식 문서 등지에서 三에 획을 몇개 더 그어서 五 등의 한자로 조작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8] 중국대륙에서 쓰이는 간체자의 경우, '참여할 참'으로 쓰일 때는 아래쪽의 三을 비스듬히 써서 参이라고 표기하고, '석 삼'으로 쓰일 때는 똑바로 써서 叁이라고 표기하여 둘을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아무리 한자를 몰라도 3까지는 읽고 쓸 줄 아는 사람들이 많다.
그저 숫자에 따라 작대기를 긋기만 하면 되는 일이니.
3. 용례
3.1. 단어
- 고3(高三)
- 고삼병(高三病)
- 삼공(三公/三共)
- 삼교(三敎)
- 삼국(三國)
- 삼각(三角)
- 삼각대(三脚臺)
- 삼권분립(三權分立)
- 삼년상(三年喪)
- 삼대(三代)
- 삼류(三流)
- 삼복(三伏)
- 삼분법(三分法)
- 삼사(三司/三師/三使/三史/三社/三士)
- 삼원색(三原色)
- 삼월(三月)
- 삼위일체(三位一體)
- 3.1 운동(三一運動)
- 삼일절(三一節)
- 삼재(三災)
- 삼중(三重)
- 삼진(三振)
- 삼차원(三次元)
- 삼촌(三寸)
- 삼총사(三銃士)
- 삼파전(三巴戰)
- 삼팔선(三八線)
- 삼한사온(三寒四溫)
-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 재삼(再三)
- 제삼(第三)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김영삼(金泳三)
- 니카이도 미사토(二階堂 三郷)
- 미사와 사치카(三澤 紗千香)
- 미시마 진파치 (三島 仁八)
- 미시마 헤이하치 (三島 平八)
- 미시마 카즈미 (三島 一美)
- 미시마 카즈야 (三島 一八)
- 미야미즈 미츠하(宮水 三葉)
- 미모리 스즈코(三森 すずこ)
- 미츠바 무츠미(三葉 ムツミ)
- 미카미 시오리 (三上 枝織)
- 미카미 신지(三上 真司)
- 미카미 유아(三上悠亜)
- 미카미 코마타(三上 小又)
- 민영삼(閔泳三)
- 시오다 고조(塩田 剛三)
- 아베 신조(安倍晋三)
- 오부치 게이조(小渕恵三)
- 우타카네 요츠코(一二三四五)
- 이공삼(貳凌三)
- 이세미 아로(伊勢三 杏路)
- 허삼영(許三榮)
- 홍상삼(洪相三)
- Toshl(出山利三)
지석삼
3.4. 지명
- 삼정리(三井里)
- 감삼역(甘三驛)
- 삼각산동
- 삼각지역
- 삼덕동1~3가(三德洞)
- 삼산체육관역
- 삼선동1~5가
- 삼성역
- 삼성중앙역
- 삼송역
- 삼양동
- 삼양사거리역
- 삼양역
- 삼전역
- 삼지연시(三池淵市)
- 삼척시(三陟市)
- 쥬소역(十三駅)
3.5. 창작물
3.6. 기타
- 고삼동풍(高三東豊)
- 산와머니(三和머니)
- 삼모(三模/三摸), 삼평(三評): 교육청 또는 평가원에서 주관하는 수능 모의 시험의 약칭
- 삼영웅(三英雄)
- 삼적화(三適化)
- 삼전(三電): 삼성전자의 비공식 약칭
- 삼성(三星)[9]
- 삼양라면(三養-麪)
- 삼한사미(三寒四微)
- 삼한사온(三寒四溫)
- 기삼이(기三이): ‘기껏해야 3등급인 아이’의 준말로, 메가스터디의 국어 강사 김동욱이 사용하였다.
- 군삼녀(軍三女)
- 삼청태현(三靑太現)
- 하삼동커피(嚇三同커피)
- 후래자삼배(後來者三杯): 나중에 오는 사람은 술 석 잔
- 三角函数: GNZ48 팀 Z의 극장공연 세트리스트
4. 여담
- 숫자를 셀 때 한놈, 두시기, 석삼, 너구리로 세는 유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