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0:47:12

숫자 한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廿(이십) (삼십) (사십) ()
- -
1(이백)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
마흔 십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5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シュウ
일본어 훈독
よそ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卌획순.gif
卌의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卌은 '마흔 십'이라는 한자로, '마흔', '40'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34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T(廿廿)로 입력한다.

(열 십) 네 개를 합쳐 만든 회의자이다.

주로 중국에서 쓰이며 한국에서는 잘 안 쓰인다. 발음도 十과 똑같아서 헷갈리기 때문. 그래서 숫자를 한자로 써도 그냥 사십(十)이라고 두 글자로 쓰는 경우가 많다.

단 한국에서도 부여 쌍북리 출토 목간에서는 이 한자가 표기되어 있다. 七: 卌九(7×7=49)

일본어에서는 よそ로 훈독한다.

3. 용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