州 고을 주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巛,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ウ | ||||||
일본어 훈독 | す | ||||||
- | |||||||
표준 중국어 | zhōu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고을 주(州). 행정단위인 '주'를 나타내는 한자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고을 |
음 | 주 | |
중국어 | 표준어 | zhōu |
광동어 | zau1 | |
감어 | ziu1 | |
객가어 | chûg | |
진어 | zou1 | |
민북어 | ciú | |
민동어 | ciŭ | |
민남어 | chiu | |
오어 | tseu (T1) | |
장어 | zhou1 | |
일본어 | 음독 | シュウ |
훈독 | す | |
베트남어 | châu |
유니코드에는 U+5DD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ILIL(戈中戈中)로 입력한다.
강(巛)이 흐르고 그 가운데 하중도(河中島)가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다. 원래는 '하중도', '모래톱' 따위의 뜻을 가지고 있었으나, 점차 '마을'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게 되었으며, 춘추시대에 주는 지방의 군사거점이라는 의미로도 쓰였고 이후 전한시대에 들어서 행정구역중 하나인 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참고로 원래의 뜻인 하중도는 옆에 水(물 수) 변을 더한 洲(섬 주) 자가 넘겨 받게 되었다.
필기체로 적은 州를 OCR로 인식하면 卅(서른 삽)으로 오인식되는 일이 있다.[1] 卅은 잘 안 쓰이는 벽자라 쉽게 교정은 가능할 것이다.
히라가나 つ, 가타카나 ツ의 유래가 된 글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4.1. 국내
- 현존 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