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14:34:15

나주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나주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네이버 웹툰 호랑이형님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나주(호랑이형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cd00>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d7ad00>
파일:나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남평읍 공산면 금천면 노안면 다도면
다시면 동강면 문평면 반남면
봉황면 산포면 세지면 왕곡면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737476> 금남동 금계동 금성동 남내동 남외동
경현동 교동 보산동 산정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삼도동 서내동 죽림동 }}}
송월동
시청
송월동
토계동
성북동 성북동 과원동 대호동 석현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송촌동 중앙동 청동 }}}
영강동 삼영동 안창동
영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영산동 관정동 부덕동 용산동 평산동 }}}
이창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이창동 대기동 동수동
오량동 운곡동 진포동 }}}
빛가람동 빛가람동 }}}}}}}}}
전라남도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羅州市
Naju City
}}}
<colbgcolor=#d7ad00><colcolor=#fff> 시청 소재지 시청길 22 (송월동)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1 12 7
면적 608.4㎢[1]
인구 116,752명[2]
인구밀도 191.90명/㎢[3]
시장
파일:zsdkl3gasdg.svg
윤병태 (초선)
시의회
파일:zsdkl3gasdg.svg
13석[4]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5]

2석[6]
도의원
파일:zsdkl3gasdg.svg
2석[7]

1석[8]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신정훈
상징 <colbgcolor=#d7ad00><colcolor=#fff> 시화 배꽃
시목 은행나무
시조 비둘기
시가 시민의 노래
지역번호 061
(산포면 덕례리 제외)
[9]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나주시 캐릭터-배돌이.jpg
캐릭터 배돌이
파일:나주시 캐릭터-버들낭자.jpg
캐릭터 버들낭자
파일:나주시 캐릭터-홍돌이.jpg
캐릭터 홍돌이
1. 개요2. 역사3. 지리4. 인구5. 교통6. 경제
6.1. 산업6.2. 상권6.3. 금융
7. 관광8. 생활문화
8.1. 교육
8.1.1. 유치원8.1.2. 초/중/고등학교8.1.3. 대학교/전문대학8.1.4. 특수학교
8.2. 특산물8.3. 의료기관
9. 정치10. 군사11. 하위 행정구역12. 여담13. 주요 기관
13.1. 전라남도청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13.2. 전라남도교육청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13.3. 정부 부처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13.4.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관련기관
14. 우호 교류 도시 및 자매 결연 도시
14.1. 우호 교류14.2. 자매 결연
15. 출신 인물
15.1. 역사적 인물15.2. 연예계 인물15.3. 정관계 및 재계 인물15.4. 스포츠 관련 인물15.5. 기타
16. 영화 / 드라마 촬영
16.1. 영화16.2. 드라마16.3. 예능16.4. 뮤직비디오
17. 사건 사고

[clearfix]

1. 개요

파일:나주시청 본관 전경.jpg
나주시청[10]
전라남도 나주시 시청길 22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 의 명칭에서 (羅)에 해당하는 곳이 바로 나주시다.[11] 동쪽으로 화순군, 서쪽으로는 함평군, 무안군과 접하며, 남쪽으로는 영암군과 접하고 북쪽으로 광주광역시와 접한다. 광주광역시와 가까워서 광주광역시의 위성도시로도 인식된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지리

시역(市域)의 70% 이상이 평야지대로 나주평야의 중심지역이다. 영산강이 광주에서부터 내려와 시내를 관통하여 흐르며, 그 주변으로 넓은 평야지역이 펼쳐져 있어 금천면이나 노안면 일대는 100m 이상의 구릉지가 거의 없을 정도로 너른 들판이 펼쳐져 있으며, 이러한 평야지대는 영산강을 따라 영암군, 무안군 일대로 펼쳐져 있다. 과거 영산강 하구는 지금의 영암군 하구둑 근처가 아니라 지금의 동강면 남쪽 평야지역에 해당하며, 그 이남으로는 모두 바다()였다.[12]

다만 시역의 동쪽에는 나름 산지가 형성되어 있어 높이 300m가 넘는 산도 있다. 이러한 지형을 이용해서 나주댐이 건설되었다.

인문지리는 크게 나주-영산포를 중심으로 하는 서부권과 남평-빛가람을 중심으로 하는 동부권으로 나눌 수 있다.[13] 서부권은 대체로 빛가람동을 제외한 동 지역과 노안, 문평, 다시, 왕곡, 반남, 공산, 동강면 지역이고, 동부권은 빛가람동, 남평읍과 금천, 산포, 봉황, 다도면인데, 이는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의 나주군-남평군 경계와도 대부분 일치한다.[14]

단, 통합된 지도 한 세기가 넘었고, 혁신도시 조성 이전의 동부권-서부권 인구 및 영향력 차이가 너무 컸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동부권에서도 서쪽 지역인 금천면, 봉황면은 나주 원도심의 영향력이 짙게 남아 있으며, 빛가람동을 제외한 동부권에서의 원도심의 영향력도 결코 작지 않다.[15] 혁신도시가 자리를 잡은 현재는 시청 등 관공서 수요를 제외하면 서서히 동부권에서 원도심의 영향력을 혁신도시가 흡수하는 중.[16]

4. 인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역사 문서
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인구추이
~1895년 6월 22일 조선 전라도 나주목, 남평면
1895년 6월 23일 23부제 실시, 나주부 나주군(1등군), 남평군(3등군)
1896년 8월 4일
23부제 폐지 및 13도제 실시
전라남도 나주군 도서지역 →지도군 이관
나주군 원정면(元正面), 금마면(金磨面), 비음면(非音面), 종남면(終南面) → 영암군 편입
나주군 장본면(章本面), 적량면(赤良面), 여항면(閭項面), 오산면(烏山面), 대화면(大化面) → 함평군 편입
나주군 삼향면(三鄕面) → 무안군 편입
최종 행정구역: 전라남도 나주군(28면), 남평군(12면)
1911년 100,861명[1911나주시]
1914년 4월 1일 전라남도 나주군 + 남평군 + 함평군 일부 → 나주군 통폐합(부군면 통폐합)[상세내용][舊나주군][舊남평군,함평군]
1915년 120,015명
1920년 134,608명
1925년 146,686명
1930년 157,268명
1935년 167,853명
1940년 174,156명
1943년 194,672명
1949년 220,570명
1949년 8월 14일 [[나주군|{{{#52ad34 나주군}}}]] 삼도면·평동면·본량면광산군 편입
1955년 193,190명
1960년 222,808명
1966년 245,162명
1970년 222,452명
1975년 212,246명
1980년 186,005명
1981년 7월 1일 [[나주군|{{{#52ad34 나주군}}}]] 나주읍 + 영산포읍 → 전라남도 금성시 승격 분리
1985년 166,927명[1985나주시]
1986년 1월 1일 전라남도 금성시나주시 개칭
1990년 158,634명[1990나주시]
1995년 1월 1일 전라남도 나주시 + 나주군나주시로 통합
1995년 116,715명
2000년 108,807명
2005년 99,459명
2010년 90,118명
2014년 2월 24일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입주 시작
2015년 98,182명[2015빛가람동]
2020년 115,613명[2020빛가람동]
2024년 11월 116,704명[현재빛가람동]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2015년부터 빛가람동(혁신도시) 인구 비율 표시
읍면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빛가람동 40,359명
남평읍 11,728명
성북동 8,220명
송월동 7,931명
금천면 6,857명
금남동 4,403명
노안면 4,217명
봉황면 3,847명
다시면 3,331명
이창동 3,205명
산포면 3,105명
영산동 2,775명
영강동 2,611명
왕곡면 2,584명
세지면 2,336명
동강면 2,253명
공산면 2,135명
다도면 1,781명
문평면 1,767명
반남면 1,259명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산업화와 함께 인구가 감소하였으며, 한때 인구 8만명 선이 무너질 정도로 쇠락한 시골로 전락하였다가,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가 빛가람동 일대에 조성되면서 다시 인구 10만명 선을 돌파한 상태. 다만 혁신도시 조성에도 불구하고 전국 시군구 인구소멸위험지수 현황(2022년 3월 기준)에서 전남 5대 도시에서 (0.465)로 나와 27만명대의 여수시와 나란히 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되었다.

2024년 11월 기준 동 지역 인구 자체는 69,504명으로 7만 명에 육박하지만, 그 중에서 원도심 지역의 인구는 29,145명밖에 되지 않는다.[26] 혁신도시가 있는 빛가람동의 인구는 40,359명으로, 원도심과 빛가람동의 인구 격차가 1만 명 이상 벌어진 상태이다. 1981년 금성시 분리 승격 당시, 시내에 6만에 달하는 인구가 살았던 것과 비교하면 원도심 지역이 얼마나 쇠퇴했는지 알 수 있다. [27] 원도심 지역의 인구를 자세히 살펴보면, 옛 나주읍 지역(성북동, 송월동, 금남동)은 읍 승격 기준을 겨우 넘는 20,554명이며, 옛 영산포읍 지역(영강동, 영산동, 이창동)은 남평읍보다도 적은 8,591명에 불과하다. 오죽했으면 지역구 국회의원이 동 지역을 다시 읍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의 지방자치법 개정안을 제출한 상태.

===# 읍면동별 인구 #===
파일:나주시 CI.svg 남평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024명
1970년 15,598명
1975년 14,976명
1980년 13,197명
1985년 12,321명
1990년 12,396명
1995년 10,183명
2000년 9,436명
2005년 8,719명
2010년 7,838명
2015년 8,011명
2020년 12,044명
2024년 11월 11,72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세지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263명
1970년 10,092명
1975년 9,819명
1980년 8,288명
1985년 7,020명
1990년 6,519명
1995년 5,132명
2000년 4,428명
2005년 3,944명
2010년 3,545명
2015년 3,285명
2020년 2,664명
2024년 11월 2,33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왕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505명
1970년 10,876명
1975년 10,205명
1980년 8,388명
1985년 7,454명
1990년 6,915명
1995년 5,417명
2000년 4,709명
2005년 4,340명
2010년 3,916명
2015년 3,561명
2020년 2,933명
2024년 11월 2,58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반남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474명
1970년 7,918명
1975년 6,670명
1980년 6,334명
1985년 4,977명
1990년 4,941명
1995년 3,047명
2000년 2,573명
2005년 2,236명
2010년 1,930명
2015년 1,740명
2020년 1,452명
2024년 11월 1,25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나주시 CI.svg 공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690명
1970년 11,530명
1975년 10,908명
1980년 8,594명
1985년 6,800명
1990년 6,661명
1995년 4,417명
2000년 3,924명
2005년 3,433명
2010년 3,023명
2015년 2,736명
2020년 2,334명
2024년 11월 2,13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동강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357명
1970년 12,547명
1975년 12,098명
1980년 9,447명
1985년 7,705명
1990년 7,424명
1995년 5,424명
2000년 4,566명
2005년 3,985명
2010년 3,371명
2015년 3,042명
2020년 2,507명
2024년 11월 2,2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다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265명
1970년 15,126명
1975년 13,782명
1980년 10,843명
1983년 2월 15일 문평면 청정리·운봉리·신광리 전역, 옥당리 일부 → 다시면 편입
1985년 10,009명
1990년 9,533명
1995년 7,036명
2000년 5,931명
2005년 5,127명
2010년 4,463명
2015년 4,183명
2020년 3,585명
2024년 11월 3,3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문평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173명
1970년 13,630명
1975년 12,666명
1980년 9,943명
1983년 2월 15일 문평면 청정리·운봉리·신광리 전역, 옥당리 일부 → 다시면 편입
1985년 6,019명
1990년 5,893명
1995년 4,006명
2000년 3,509명
2005년 2,996명
2010년 2,449명
2015년 2,211명
2020년 1,971명
2024년 11월 1,76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노안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668명
1970년 15,877명
1975년 15,143명
1980년 12,290명
1985년 10,127명
1990년 9,770명
1995년 7,586명
2000년 6,867명
2005년 6,258명
2010년 5,652명
2015년 5,428명
2020년 4,688명
2024년 11월 4,2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금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382명
1970년 13,955명
1975년 13,031명
1980년 12,111명
1985년 11,375명
1990년 10,979명
1995년 8,451명
2000년 7,354명
2005년 6,533명
2010년 5,397명
2014년 2월 24일 나주시 금천면 일부[금] + 산포면 일부[산] → 빛가람동 신설
2015년 5,193명
2020년 4,343명
2024년 11월 6,85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산포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350명
1970년 10,239명
1975년 10,568명
1980년 9,015명
1985년 7,864명
1990년 7,161명
1995년 6,091명
2000년 5,243명
2005년 4,728명
2010년 4,201명
2014년 2월 24일 나주시 금천면 일부[금] + 산포면 일부[산] → 빛가람동 신설
2015년 4,023명
2020년 3,435명
2024년 11월 3,10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다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906명
1970년 10,856명
1975년 8,480명
1980년 5,954명
1985년 4,445명
1990년 4,005명
1995년 3,130명
2000년 2,690명
2005년 2,481명
2010년 2,291명
2015년 2,222명
2020년 1,899명
2024년 11월 1,78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봉황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9,971명
1970년 17,732명
1975년 17,051명
1980년 14,171명
1985년 11,914명
1990년 11,131명
1995년 8,168명
2000년 7,018명
2005년 6,024명
2010년 5,307명
2015년 4,946명
2020년 4,286명
2024년 11월 3,84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송월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1년 7월 1일
나주군 나주읍 + 영산포읍 → 전라남도 금성시 승격 분리
나주읍 토계리 + 송월리 → 송월동 신설
영산포읍 안창리 + 삼영리 → 영강동 신설
나주읍 서내리 + 교리 + 산정리 + 경현리 + 보산리 → 향교동 신설
나주읍 금계리 + 남내리 + 금성리 → 금남동 신설
나주읍 과원리 + 성북리 + 중앙리 → 성북동 신설
나주읍 대호리 + 송촌리 + 석현리 + 청동리 → 송현동 신설
나주읍 죽림리 + 남외리 + 삼도리 → 남산동 신설
영산포읍 산정리[32] + 영산리 → 영산동 신설
영산포읍 관정리 + 평산리 + 부덕리 → 부덕동 신설
영산포읍 이창리 + 대기리 → 이창동 신설
영산포읍 운곡리 + 동수리 + 오량리 + 진포리 → 가야동 신설
1985년 4,391명
1990년 4,413명
1995년 3,183명
2000년 7,873명
2005년 8,871명
2010년 7,272명
2015년 7,382명
2020년 7,689명
2024년 11월 7,9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나주시 CI.svg 영강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1년 7월 1일
나주군 나주읍 + 영산포읍 → 전라남도 금성시 승격 분리
나주읍 토계리 + 송월리 → 송월동 신설
영산포읍 안창리 + 삼영리 → 영강동 신설
나주읍 서내리 + 교리 + 산정리 + 경현리 + 보산리 → 향교동 신설
나주읍 금계리 + 남내리 + 금성리 → 금남동 신설
나주읍 과원리 + 성북리 + 중앙리 → 성북동 신설
나주읍 대호리 + 송촌리 + 석현리 + 청동리 → 송현동 신설
나주읍 죽림리 + 남외리 + 삼도리 → 남산동 신설
영산포읍 산정리[33] + 영산리 → 영산동 신설
영산포읍 관정리 + 평산리 + 부덕리 → 부덕동 신설
영산포읍 이창리 + 대기리 → 이창동 신설
영산포읍 운곡리 + 동수리 + 오량리 + 진포리 → 가야동 신설
1985년 5,929명
1990년 4,250명
1995년 3,281명
2000년 4,887명
2005년 4,588명
2010년 4,031명
2015년 3,817명
2020년 2,711명
2024년 11월 2,6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천 명
파일:나주시 CI.svg 금남동 인구 추이[舊1]
(1966년~현재)
1966년 29,047명
1970년 29,010명
1975년 30,848명
1980년 31,203명
1981년 7월 1일
나주군 나주읍 + 영산포읍 → 전라남도 금성시 승격 분리
나주읍 토계리 + 송월리 → 송월동 신설
영산포읍 안창리 + 삼영리 → 영강동 신설
나주읍 서내리 + 교리 + 산정리 + 경현리 + 보산리 → 향교동 신설
나주읍 금계리 + 남내리 + 금성리 → 금남동 신설
나주읍 과원리 + 성북리 + 중앙리 → 성북동 신설
나주읍 대호리 + 송촌리 + 석현리 + 청동리 → 송현동 신설
나주읍 죽림리 + 남외리 + 삼도리 → 남산동 신설
영산포읍 산정리[35] + 영산리 → 영산동 신설
영산포읍 관정리 + 평산리 + 부덕리 → 부덕동 신설
영산포읍 이창리 + 대기리 → 이창동 신설
영산포읍 운곡리 + 동수리 + 오량리 + 진포리 → 가야동 신설
1985년 17,323명[1985금남동]
1990년 15,973명[1990금남동]
1995년 10,225명[1995금남동]
1998년 10월 1일 향교동 + 금남동 + 남산동 → 금남동 합동
2000년 8,747명
2005년 8,218명
2010년 7,178명
2015년 6,384명
2020년 5,010명
2024년 11월 4,40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성북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1년 7월 1일
나주군 나주읍 + 영산포읍 → 전라남도 금성시 승격 분리
나주읍 토계리 + 송월리 → 송월동 신설
영산포읍 안창리 + 삼영리 → 영강동 신설
나주읍 서내리 + 교리 + 산정리 + 경현리 + 보산리 → 향교동 신설
나주읍 금계리 + 남내리 + 금성리 → 금남동 신설
나주읍 과원리 + 성북리 + 중앙리 → 성북동 신설
나주읍 대호리 + 송촌리 + 석현리 + 청동리 → 송현동 신설
나주읍 죽림리 + 남외리 + 삼도리 → 남산동 신설
영산포읍 산정리[39] + 영산리 → 영산동 신설
영산포읍 관정리 + 평산리 + 부덕리 → 부덕동 신설
영산포읍 이창리 + 대기리 → 이창동 신설
영산포읍 운곡리 + 동수리 + 오량리 + 진포리 → 가야동 신설
1985년 10,134명[1985성북동]
1990년 10,607명[1990성북동]
1995년 9,357명[1995성북동]
1998년 10월 1일 성북동 + 송현동 → 성북동 합동
2000년 8,057명
2005년 8,136명
2010년 9,666명
2015년 9,500명
2020년 8,925명
2024년 11월 8,2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영산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1년 7월 1일
나주군 나주읍 + 영산포읍 → 전라남도 금성시 승격 분리
나주읍 토계리 + 송월리 → 송월동 신설
영산포읍 안창리 + 삼영리 → 영강동 신설
나주읍 서내리 + 교리 + 산정리 + 경현리 + 보산리 → 향교동 신설
나주읍 금계리 + 남내리 + 금성리 → 금남동 신설
나주읍 과원리 + 성북리 + 중앙리 → 성북동 신설
나주읍 대호리 + 송촌리 + 석현리 + 청동리 → 송현동 신설
나주읍 죽림리 + 남외리 + 삼도리 → 남산동 신설
영산포읍 산정리[43] + 영산리 → 영산동 신설
영산포읍 관정리 + 평산리 + 부덕리 → 부덕동 신설
영산포읍 이창리 + 대기리 → 이창동 신설
영산포읍 운곡리 + 동수리 + 오량리 + 진포리 → 가야동 신설
1985년 10,403명[1985영산동]
1990년 9,621명[1990영산동]
1995년 6,002명[1995영산동]
1998년 10월 1일 영산동 + 부덕동 → 영산동 합동
2000년 5,789명
2005년 4,464명
2010년 4,444명
2015년 3,984명
2020년 3,350명
2024년 11월 2,77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이창동 인구 추이[舊2]
(1966년~현재)
1966년 30,076명
1970년 27,466명
1975년 25,985명
1980년 26,227명
1981년 7월 1일
나주군 나주읍 + 영산포읍 → 전라남도 금성시 승격 분리
나주읍 토계리 + 송월리 → 송월동 신설
영산포읍 안창리 + 삼영리 → 영강동 신설
나주읍 서내리 + 교리 + 산정리 + 경현리 + 보산리 → 향교동 신설
나주읍 금계리 + 남내리 + 금성리 → 금남동 신설
나주읍 과원리 + 성북리 + 중앙리 → 성북동 신설
나주읍 대호리 + 송촌리 + 석현리 + 청동리 → 송현동 신설
나주읍 죽림리 + 남외리 + 삼도리 → 남산동 신설
영산포읍 산정리[48] + 영산리 → 영산동 신설
영산포읍 관정리 + 평산리 + 부덕리 → 부덕동 신설
영산포읍 이창리 + 대기리 → 이창동 신설
영산포읍 운곡리 + 동수리 + 오량리 + 진포리 → 가야동 신설
1985년 10,717명[1985이창동]
1990년 10,442명[1990이창동]
1995년 6,579명[1995이창동]
1998년 10월 1일 이창동 + 가야동 → 이창동 합동
2000년 5,206명
2005년 4,378명
2010년 4,144명
2015년 4,082명
2020년 3,503명
2024년 11월 3,20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나주시 CI.svg 빛가람동 인구 추이
(2014년~현재)
2014년 2월 24일 나주시 금천면 일부[금] + 산포면 일부[산]빛가람동 신설
2014년 3,895명
2015년 12,452명
2016년 21,405명
2017년 28,266명
2018년 30,819명
2019년 32,478명
2020년 36,284명
2021년 39,246명
2022년 39,137명
2023년 39,903명
2024년 11월 40,35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5. 교통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교통체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철도 <colcolor=#fff> 일반철도 호남고속선 나주역
호남선 노안역 · 나주역KTX SRT · 다시역 · 고막원역
경전선 남평역 · (가칭)혁신도시역KTX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2.svg무안광주고속도로나주IC 문평IC · 파일:Expressway_kor_255.svg강진광주고속도로남나주IC 나주SA 동나주IC
국도 1번 · 13번 · 23번
지방도 49번 · 55번 · 801번 · 818번 · 820번 · 821번 · 831번
버스 시내 · 농어촌버스 나주시 시내버스나주콜버스
광주 좌석02 · 대촌170 · 진곡196
영암 110 · 111 · 112 · 113 · 114 · 116
함평 100동강 · 500명하
화순 218 · 318-1
시외 · 고속버스 터미널 나주버스터미널 · 영산포공용터미널 · 다시공영버스터미널 · 동창터미널 ·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 · 동강정류소
시외·고속버스 노선
취소선 : 여객취급중지 / 이탤릭체 : 미개통 }}}}}}}}}
전라남도의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철도 초강세 지역이다. 나주역의 위치가 좋은 편인 데다가 호남선을 통해서 KTXSRT도 다니고 있으니 소요시간이나 편수나 버스가 철도를 이길 수가 없다. 그 여파로 서울을 오가는 시외버스 역시 나주 시내에서 혁신도시로 경유지를 옮겨 버렸으며, 인천부천으로 가던 삼화고속 시외버스도 폐선되었다. 그 외 시외교통은 금호고속에서 운행하는 광주 - 나주 - 전남 서남부권 시외버스 노선에 의존하고 있으며, 광주행 시외버스 일부가 부산까지 운행되고 있다.

6. 경제

6.1. 산업

파일:전남지역별GRDP.png
전형적인 농촌 지역으로서 2014년까지 전라남도 5개 시 중 GRDP 꼴찌 자리를 맡아놓고 있었지만,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조성 직후인 2015년에 목포시의 GRDP를 역전하여 이후로는 인구가 목포의 절반임에도 목포보다 높은 GRDP(지역내총생산)를 기록하고 있다.[54]

나주가 까지 성장하기까지는 조선 시대의 해상 운송로의 중요 항구였던 영산포항의 존재가 크게 기여했다. 영산포항이 어느정도였냐면, 일제강점기까지만 해도 내륙의 항구였지만 등대까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후 영산강하굿둑의 건설로 그 기능은 소멸되었다.[55]

이 때문에 과거 내륙 항구 영산포로 들어오던 삭힌 홍어는 하구언에 막혀 배가 못 들어오니 목포, 흑산도에서 냉동차량으로 들여와서 지역 주민들이 먹을 정도만 옛날식으로 만들고, 삭혀서 냉장 택배로 서울 등 다른 지역에 보내 파는 정도, 말 그대로 명맥만 남게 되었다.[56] 이 외의 산업시설은 LG화학 나주공장 하나 뿐이었으나 2005년 7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가 공동으로 혁신도시를 건설하기로 합의하였고, 그 해 11월 장성군, 담양군과의 경합 끝에 나주시가 혁신도시 유치에 성공했다. 그 결과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가 조성되었고 한국전력공사, 한국농어촌공사,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콘텐츠진흥원 등의 공기업과 공공기관이 대거 입주하였다. 그리고 혁신도시가 들어오면서 나주의 인구가 크게 증가하였고, 나주혁신산단에 에너지특구를 조성하면서 전기 산업을 발달시킬 예정이다. 분양률 100% 달성 눈앞…전남도, 산단 추가조성 속도낸다, '에너지신산업 거점' 나주 국가산업단지 예타 통과 이후 한국전력공사의 산학 연계 차원에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가 빛가람동에 들어서는 등 혁신도시 조성 이후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혁신도시 개발 이후 원도심과 서부 면 지역은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양상을 띄고 있다. 이에 나주시에서 구도심재생개발계획안을 내놓았는데, 그 내용에 따르면 동부 생활권인 남평읍, 산포·금천면, 빛가람동은 쾌적한 정주환경과 에너지 클러스터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게 될 것이며 서부 생활권인 동강·공산·왕곡·반남면은 마한역사문화와 기업혁신지구로 집중 육성된다. 남부 생활권인 세지·봉황·다도면은 스포츠 헬스투어 중심의 관광농업지구로, 북부 생활권인 문평·다시·노안면은 역사문화관광과 스포츠마케팅 지구로 지정해 역사와 스포츠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중부 생활권인 이창·송월·영산·영강·금남·성북동은 중심지원 기능과 역사도시 재생지구로 지정해 집중 육성된다. 또한 혁신경제, 역사문화, 생태도시 조성 등 6대 분야에 세계 최대 에너지 밸리 구축, 고대역사문화 관광자원, 나주읍성내 전통한옥마을 조성 등 33개 중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시에서는 왕곡면에 있는 나주 최대의 산업단지인 혁신산단을 더욱 밀어줄 생각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6.2. 상권

전통적인 상권으로는 3대 5일장의 영향력이 가장 큰데, 나주 목사고을시장의 나주장, 영산포농협 하나로마트 옆 영산포 풍물시장의 영산포장, 그리고 남평농협 주변에서 열리는 남평장이 있다. 도시에 살지 않고 농촌에 사는 어르신들과 조금이라도 더 신선하고 저렴한 농산물이나 농업 관련 자재를 사려는 시민들이 하나로마트를 뒤로 하고 주로 찾는다. 나주장은 끝자리 4일과 9일에 열리고, 영산포장은 0일, 5일에 열리며, 남평장은 1일, 6일에 열린다.

현대 도시 관점에서 나주의 상권은 크게 원도심(1995년 이전 구 금성시 지역)과 혁신도시라는 양대 도심 상권으로 나뉜다고 볼 수 있다. 원도심은 1980년대까지 6만 명에 달하는 인구가 살던 도시였으나, 현재는 3만 명 수준도 채우지 못하면서 군 단위 지역의 읍내 수준에 불과할만큼 쇠퇴하였고, 혁신도시는 2014년 조성 시작 이후 인구의 증가에 힘입어 50대 이하의 젊은 층을 중심으로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나주 원도심은 송월동, 금남동, 성북동 지역으로 구성된 옛 나주읍과 영산동, 이창동으로 구성된 옛 영산포읍의 2개 권역으로 나누어진다. 두 지역의 시가지가 분리되어 있기도 하고, 두 지역의 성격이 다소 다르기 때문에 따지고 보면 나주를 도심, 영산포를 부도심이라고 할 수 있다.
나주 원도심의 전통적인 중심은 나주버스터미널 옆에 있는 큰 길인 중앙로이다. 대형 상점은 없지만 꽤 번화한 읍내 수준의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하나로마트가 곳곳에 자리잡고 있다. 나주종합병원과 수많은 개인의원, 약국 등이 있으며 국민은행, 광주은행, 농협중앙회 같은 금융 기관과 주요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번화가의 척도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놀거리는 거의 없으며, 2010년대 이후로는 대호동과 빛가람동에 밀려 중앙로 상권의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다.

동신대학교 앞, 대호동 일대는 혁신도시가 조정되기 이전까지는 나주에서 가장 번화했던 상권으로, 현재도 각종 술집, 프랜차이즈, 카페, PC방 등이 밀집된 지역이다. 대호동 인근에 동신대학교를 비롯하여 금성중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 나주상업고등학교 등 학생들이 많아 낮밤 가리지 않고 유동인구가 많다. 빛가람동과 더불어 젊은 사람들이 그나마 많이 보이는 곳.

시청과 롯데마트 나주점을 위시한 소규모 상권과 나주역을 중심으로 한 역세권 개발 및 택지지구 개발이 지속되고 있는 송월동 일대도 조금씩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신축된 모텔들과 나주역 자이를 비롯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있다. 각종 건물들도 계속 건설되고 있으며,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철도가 크게 강세를 보이는 나주시의 교통 중심지로서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곳. 그 다음으로 보이는 곳이 영산포터미널 일대. 20세기의 흔적이 짙게 남아있는 지역으로, 중앙로보다도 훨씬 작고 영산강 하구둑 건설 후 크게 쇠퇴한 상권이다. 터미널 중심으로 하나로마트가 비슷한 거리에 2개 있는 것이 포인트.

2010년대 이후로 나주에서 가장 핵심적인 상권은 바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즉 빛가람동이다. 웬만한 광주 외곽 택지지구보다 큰 상권을 가지고 있으며 스타벅스, 버거킹, 서브웨이 등 유명 프랜차이즈 지점이 들어와 있다.[57] 빛가람동은 좁은 곳에 4만 명의 인구가 모여 살며 남평읍을 위시한 주변 읍면과 원도심에서도 많이 찾아오고 직장인들도 굉장히 많은 곳이라 항상 수요가 받쳐주기 때문에 상권이 나주에서 가장 활발하다. 제일 큰 번화가는 주민센터 근처로, 명실상부 혁신도시의 중심가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외에 루멘하임아파트 앞과 우미린아파트 남쪽, 한전KPS 앞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 근처, 빛가람초중교 앞에도 나름의 상권이 점점이 형성되어 있다.

조성 초기에는 혁신도시 주민들이 상업과 여가 활동을 위해 시내나 남평으로 종종 나갔지만, 혁신도시의 개발이 진행되면서 혁신도시 주민들이 여가나 기타 활동을 하러 나주 원도심이나 남평으로 나가는 일도 많이 없어졌다. 혁신도시가 광주광역시와도 멀지 않은 관계로 그 쪽으로 나가는 경우도 많지만, 나주 원도심이나 남평에서 할 수 있는 일은 혁신도시에서도 거의 다 할 수 있고, 대부분의 경우 혁신도시에서 오히려 더 좋은 환경에서 할 수 있기 때문. 공공기관·공기업이 들어서면서 생긴 일자리, 영화관이나 책방같은 문화·상업시설, 공원과 같은 여가시설,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동신대학교 캠퍼스 등 새로운 시설들이 모두 혁신도시에 들어서고 있기 때문에 혁신도시 주민들은 나주 원도심으로 잘 나가지 않는다. 원도심으로 나갈 일이 있는 경우는 직장이 원도심에 있거나, 시청이나 보건소 등 관공서에 볼 일이 있거나, 나주역 혹은 나주터미널, 영산포터미널에서 열차나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 혹은 원도심에 있는 특출난 시설을 방문하는 경우 뿐이다.[58]

6.3. 금융

나주시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나주우체국 (17)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1)
특수은행
수협은행 (1) 농협은행(중앙회) (5)
시중은행
신한은행 (1) 우리은행 (1)
하나은행 (2) 국민은행 (2)
지방은행
광주은행 (4)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나주농협 (2) 금천농협 (4) 영산포농협 (3) 남평농협 (3)
마한농협 (3) 산포농협 (3) 노안농협 (2) 세지농협 (2)
다시농협 (2) 봉황농협 (2) 동강농협 (1) 공산농협 (1)
나주배원예농협 (3) 나주축산농협 (3)
새마을금고
나주새마을금고 (3) 나주동부새마을금고 (3)
영산포새마을금고 (1) 한전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나주신용협동조합 (2) 나주이화신용협동조합 (2)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신용협동조합 (1)
한국농어촌공사신용협동조합 (1)
LG화학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나주시산림조합 (1)

7.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생활문화

8.1. 교육

8.1.1. 유치원

설립구분 유치원명 주소
단설 나주이화유치원나주시 나주로 88-5(남외동)
한아름유치원 나주시 그린로 292(빛가람동, 한아름유치원)
빛누리유치원 나주시 그린로 176 (빛가람동) 빛가람초등학교 2층
병설 나주북병설유치원 나주시 청암길 47-23(청동)
영산포병설유치원 나주시 금영로 2-6(이창동)
영강병설유치원 나주시 영강길 14(삼영동)
세지병설유치원 나주시 세지면 동창로 111
양산병설유치원 나주시 왕곡면 고분로 1560
왕곡병설유치원 나주시 왕곡면 나주서부로 554
반남병설유치원 나주시 반남면 고분로 712
공산병설유치원 나주시 공산면 공산로 85
동강병설유치원 나주시 동강면 동강로 595
다시병설유치원 나주시 다시면 다시로 203
문평병설유치원 나주시 문평면 문평로 15
노안병설유치원 나주시 노안면 노안로 165
노안남병설유치원나주시 노안면 만호길 20-11
금천병설유치원 나주시 금천면 금영로 960
산포병설유치원 나주시 산포면 산포로 400
남평병설유치원 나주시 남평읍 지석로 95
다도병설유치원 나주시 다도면 다도로 636
봉황병설유치원 나주시 봉황면 죽석길 31
사립 까리다스유치원나주시 정렬사길 15-14 (대호동)
한별유치원나주시 남내1길 14 (남내동)
빛가람유치원나주시 남고문로 16-6 (송월동)
동산유치원나주시 나주로 41-17 (송월동)
자연유치원나주시 남내2길 4 (남내동)

8.1.2. 초/중/고등학교

파일:나주시 CI_White.svg 전라남도 나주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공산초등학교 금천초등학교 나주북초등학교 나주중앙초등학교
나주초등학교 남평초등학교 노안남초등학교 노안초등학교
다도초등학교 다시초등학교 동강초등학교 라온초등학교
문평초등학교 반남초등학교 봉황초등학교 빛가람초등학교
빛누리초등학교 산포초등학교 세지초등학교 양산초등학교
영강초등학교 영산포초등학교 왕곡초등학교 한아름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나주시 CI_White.svg 전라남도 나주시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금성중학교 나주공산중학교 나주금천중학교 나주다시중학교
나주동강중학교 나주문평중학교 나주반남중학교 나주봉황중학교
나주중학교 남평중학교 남평중학교다도분교장 노안중학교
매성중학교 빛가람중학교 세지중학교 영산중학교
영산포여자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나주시 CI_White.svg 전라남도 나주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광남고등학교 금성고등학교 나주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
나주상업고등학교 매성고등학교 봉황고등학교 영산고등학교
전남과학고등학교 전남미용고등학교 전남외국어고등학교 호남원예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전남지역의 특목고전남과학고등학교전남외국어고등학교가 나주시에 위치하고 있다.

8.1.3. 대학교/전문대학

8.1.4. 특수학교

8.2. 특산물

특산물로는 (梨)가 특히 유명하며 멜론(주로 세지면에서 많이 재배)도 많이 나온다. 지역 음식으로는 맑은 쇠고기 육수에 깔끔한 맛이 일품인 나주 곰탕과 영산포 홍어가 유명하다. 나주 배는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도 등록되어 있다.

8.3. 의료기관

구도심에 나주종합병원(176병상)이 있고, 혁신도시가 조성되면서 나주동신대학교한방병원과 빛가람종합병원(192병상)이 들어섰다. 이외에도 영산포제일병원 등 소규모 의료시설이 산재해 있으며, 나주에서 해결할 수 없는 진료는 광주가 가까우니 필요하면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등으로 가면 된다.[62]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나주에는 공군부대가 주둔하고 있는데 금성산 정상에는 방공포대가 주둔했었고 근처에 133대대 본부가 별도로 주둔해 있다. 산포면에는 광주공항에 주둔하고 있는 제1전투비행단에서 관리하는 비상활주로가 있으며 1전비에서 파견된 병사들이 관리한다. 나주파견대라는 1전비 산하 파견대가 편성되어 있으며 1전비 소속 병사들이 일정 기간 파견가서 근무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끔 훈련할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비상활주로 근처는 고도 제한과 같은 규제가 있는데 인근 주민들은 잘 사용하지도 않는 활주로를 폐쇄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2019년에 훈련을 하는 등 마냥 놀리는 것은 아니며 군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997년 무등산 중봉 일대에 주둔하던 공군 133대대 본부가 금성산으로 이전해 온 뒤로 산 아래에 계속 주둔 중이다.
참고 참고 금성산 정상에 1966년부터 주둔했었던 방공포대는 전라남도에서 유일하게 방공포 무기체계를 운용하고 있는 부대이다. 보성군 벌교읍에 주둔 중인 공군부대는 레이더를 운용하기 때문이다. 1966년 무등산 정상에 방공포대가 주둔할 때 금성산 정상에도 방공포대가 주둔하기 시작했으며 광주공항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나주시는 지속적으로 금성산 정상에 주둔 중인 방공포대 이전을 추진했었다. 공군 측과 나주시 측이 정상 상시개방 협의를 진행하는 중인 2022년 11월 계룡시에 위치한 계룡대 영내로 이전하였으나, 방공포대와는 별도로 산 아래에 주둔하고 있던 133대대 본부는 금성산 인근에 계속 주둔하고 있다. 금성산 정상은 상시개방 협의를 통해 개방되었으나 금성산 정상 공군부대 부지에는 새로운 방공포대가 주둔할 예정이다. 새로 개발되어 배치되는 방공포 무기체계를 운용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공군부대 근처에 31사단 예하 육군부대도 주둔해 있다. 예비군 훈련장이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여담

13. 주요 기관

13.1. 전라남도청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

13.2. 전라남도교육청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

13.3. 정부 부처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

13.4.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관련기관

14. 우호 교류 도시 및 자매 결연 도시

14.1. 우호 교류

14.2. 자매 결연

15. 출신 인물

분류:나주시 출신 인물 항목 참조.

15.1. 역사적 인물

15.2. 연예계 인물

15.3. 정관계 및 재계 인물

15.4. 스포츠 관련 인물

15.5. 기타

16. 영화 / 드라마 촬영

16.1. 영화

16.2. 드라마

16.3. 예능

16.4. 뮤직비디오

17. 사건 사고



[1] 경기도 여주시와 면적이 비슷하다.[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4년 10월 기준.[4] 나주시 가선거구 (남평읍, 금천면, 산포면, 다도면): 김해원, 최문환, 한형철
나주시 나선거구 (송월동, 금남동, 성북동, 노안면): 김관용, 김정숙
나주시 다선거구 (세지면, 봉황면, 영강동, 영산동, 이창동): 이재남, 홍영섭
나주시 라선거구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다시면, 문평면): 이상만
나주시 마선거구 (빛가람동): 김강정, 박성은, 박소준
나주시 비례대표: 조영미, 최정기
[5] 나주시 나선거구 (송월동, 금남동, 성북동, 노안면): 황광민[6] 나주시 라선거구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다시면, 문평면): 임성환
나주시 마선거구 (빛가람동): 김철민
[7] 나주시 제2선거구 (세지면,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다시면, 문평면, 봉황면, 영강동, 영산동, 이창동): 최명수 (재선)
나주시 제3선거구 (빛가람동): 이재태 (초선)
[8] 나주시 제1선거구 (남평읍, 노안면, 금천면, 산포면, 다도면, 송월동, 금남동, 성북동) 김호진 의원 사망으로 인한 공석[9] 산포면 덕례리는 광주광역시 통화권에 속해있다.[10] 본관동 건물이다.[11] 전라도에서 (全)에 해당하는 지역은 전북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전주시이다.[12] 영산강 하구는 남해만(南海灣)으로도 지칭하는 듯 영암신문. 목포, 무안 몽탄, 영암 시종, 나주 동강면 일대의 간척지는 전부 바닷물이 드나들던 곳이다. 간척사업으로 지금과 같은 지형이 형성된 것.[13] 주의할 점은 실제 시민들은 시역을 동부권과 서부권으로 잘 나누지 않는다는 것이다.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조성 이전에는 남평읍과 도심의 영향력 차이가 심했기 때문에 오랫동안 도심 한 곳과 부도심 한 곳(남평)이 있는 단핵도시의 면모를 보였기 때문이다. 즉, 전통, 문화적인 구분이 아니라 2010년대 이후의 지리, 통계적인 구분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14] 본래 도심인 나주, 부도심인 영산포와 남평이 지역 중심 역할을 하였고, 인구도 나주-영산포를 위시한 서부권이 더 많았다. 그러나 2014년부터 조성이 시작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즉 빛가람동의 인구가 늘어나고 영향력이 확장되면서 현재는 면적도 더 좁고 읍면동의 수도 적은 동부 지역의 인구가 더 많아졌다. 2023년 6월 기준으로 인구 분포는 서부권 50,491명, 동부권 66,607명으로 동부권이 서부권보다 16,000명가량 더 많다.[15] 물론 빛가람동 주민들에게 원도심은 기차를 타거나 학교를 가거나 직장에 가기 위해서만 이동하는 곳이고, 그 외의 상업활동이나 여가활동은 원도심에서 하지 않는다.[16] 이미 금천면, 산포면의 40대 이하 인구는 정도는 다를 수 있으나 대부분 빛가람동을 생활권으로 두고 있으며, 50대 이상 인구도 마트에서 장을 보거나 병원, 은행 등의 시설을 이용할 때는 혁신 도시로 많이 간다. 남평읍은 광주 남구와 남평읍내, 혁신 도시의 영향력이 혼재되어 있으나, 은행업무같은 간단한 일은 광주까지 나가지 않고 더 가까운 혁신도시에서 처리하는 비율이 높다. 다도면, 봉황면은 각각 남평읍, 나주 원도심의 영향이 아직까지는 더 강하다.[1911나주시] 남평군 32,611명 + 나주군 68,250명[상세내용]
나주군 동부면(東部面) 일부 + 서부면(西部面) 일부 → 나주군 나주면(羅州面)
나주군 동부면(東部面) 일부 + 서부면(西部面) 일부 + 신촌면(新村面) → 나주군 나신면(羅新面)[73]
나주군 반남면(潘南面) → 나주군 반남면(변동 없음)
나주군 지량면(知良面) + 상곡면(上谷面) → 나주군 양지면(良知面)[74]
나주군 공수면(公水面) + 오산면(吾山面) → 나주군 공산면(公山面)
나주군 두동면(豆洞面) + 곡강면(曲江面) → 나주군 동강면(洞江面)
나주군 지죽면(枝竹面) + 세화면(細花面) → 나주군 세지면(細枝面)
나주군 마산면(馬山面) + 욱곡면(郁谷面) + 전왕면(田旺面) → 나주군 왕곡면(旺谷面)
나주군 죽포면(竹浦面) + 수다면(水多面) + 시랑면(侍郞面) → 나주군 다시면(多侍面)
나주군 복암면(伏岩面) + 이로면(伊老面) + 금안면(金安面) → 나주군 노안면(老安面)
나주군 아계면(芽界面) + 용문면(用文面) + 거평면(居平面) → 나주군 문평면(文平面)
나주군 삼가면(三加面) + 도림면(道林面) → 나주군 삼도면(三道面)
나주군 평리면(坪里面) + 관동면(官洞面) → 나주군 평동면(坪洞面)
함평군 장본면(章本面) + 적량면(赤良面) + 여항면(閭項面) → 나주군 본량면(本良面)
남평군 군내면(郡內面) + 동촌면(東村面) + 저포면(猪浦面) → 나주군 남평면(南平面)
남평군 등포면(等浦面) + 두산면(頭山面) → 나주군 산포면(山浦面)
남평군 금마산면(金馬山面) + 어천면(魚川面) → 나주군 금천면(金川面)
남평군 덕곡면(德谷面) + 욱곡면(郁谷面) + 죽곡면(竹谷面) → 나주군 봉황면(鳳凰面)
남평군 다소면(茶所面) + 도천면(道川面) → 나주군 다도면(茶道面)
[舊나주군]
각 면별 관할지는 현재 나주시 소속인 경우 '나주시' 명칭은 누락시켜두었음.
동부면: 과원동, 남내동, 남외동, 중앙동, 성북동, 죽림동, 삼도동, 송월동(일부), 토계동
서부면: 금계동, 금성동, 산정동, 서내동, 교동, 경현동, 대호동, 보산동, 석현동, 송촌동, 청동
신촌면: 송월동(일부), 삼영동, 안창동
반남면: 반남면 전역(변동 없음)
지량면: 관정동, 대기동, 부덕동, 용산동, 영산동, 이창동, 평산동
상곡면: 동수동, 오량동, 운곡동, 진포동
공수면: 공산면 금곡리, 남창리, 동촌리, 복룡리, 상방리, 화성리
오산면: 가송리, 백사리, 신곡리, 중포리
두동면: 동강면 대전리, 옥정리, 월량리, 장동리, 진천리
곡강면: 동강면 곡천리, 대지리, 양지리, 운산리, 월송리, 인동리
지죽면: 세지면 내정리, 대산리, 동곡리, 오봉리, 죽동리
세화면: 세지면 교산리, 벽산리, 성산리, 송제리
마산면: 왕곡면 송죽리, 신포리, 화정리
욱곡면: 왕곡면 본양리, 옥곡리, 월천리
전왕면: 왕곡면 덕산리, 신가리, 신원리, 양산리, 장산리, 행전리
죽포면: 다시면 동당리, 복암리, 신석리, 죽산리
수다면: 다시면 가흥리, 동곡리, 문동리, 송촌리, 영동리, 월태리
시랑면: 다시면 가운리, 회진리
복암면: 노안면 도산리, 유곡리, 장동리, 학산리
이로면: 노안면 계림리, 금동리, 양천리, 오정리
금안면: 노안면 구정리, 금안리, 안산리, 영평리, 용산리
아계면: 문평면 오룡리, 옥당리, 학동리, 다시면 운봉리
용문면: 문평면 계로리, 국동리, 학교리, 문평면 신광리, 청정리
거평면: 문평면 대도리, 동원리, 북동리, 산호리, 송산리, 안곡리
삼거면: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덕동, 삼거동, 송산동, 오운동, 지평동
도림면: 광주광역시 광산구 내산동, 대산동, 삼도동, 송학동, 신동, 양동
평리면: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촌동, 연산동, 옥동, 월전동, 장록동, 지죽동
관동면: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산동, 용동, 용곡동, 명화동, 지정동
[舊남평군,함평군]
각 면별 관할지는 현재 나주시 소속인 경우 '나주시' 명칭은 누락시켜두었음.
함평군 장본면: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 동림동, 동호동, 양산동
함평군 적량면: 광주광역시 광산구 남산동, 북산동, 명도동, 왕동
함평군 여황면: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수동, 선동, 송치동, 지산동
남평군 군내면: 남평읍 교원리, 교촌리, 남평리, 대교리, 동사리, 서산리
남평군 동촌면: 남평읍 광이리, 광촌리, 남석리, 노동리, 수원리, 평산리, 풍림리
남평군 저포면: 남평읍 상곡리, 오계리, 우산리
남평군 등포면: 산포면 등수리, 산제리, 송림리, 신도리, 화지리, 빛가람동(일부)
남평군 두산면: 산포면 내기리, 덕례리, 등정리, 매성리, 빛가람동(일부)
남평군 금마산면: 금천면 신가리, 원곡리, 촌곡리
남평군 어천면: 금천면 고동리, 광암리, 동악리, 석전리, 신천리, 오강리, 월산리, 죽촌리, 빛가람동(일부)
남평군 덕곡면: 봉황면 각동리, 유곡리, 송현리
남평군 욱곡면: 봉황면 덕곡리, 덕림리, 만봉리, 신동리, 오림리, 욱곡리, 황용리
남평군 죽곡면: 봉황면 용곡리, 용전리, 옥산리, 와우리, 운곡리, 장성리, 죽석리, 철천리
남평군 다소면: 다도면 대초리, 덕림리, 도동리, 마산리, 방산리
남평군 도천면: 다도면 궁원리, 덕동리, 송학리, 신동리, 암정리, 판촌리, 풍산리
[1985나주시] 금성시 58,897명 + 나주군 108,030명[1990나주시] 나주시 55,306명 + 나주군 103,328명[2015빛가람동] 빛가람동 12,452명[2020빛가람동] 빛가람동 36,284명[현재빛가람동] 빛가람동 40,359명[26] 언급된 인구는 2024년 11월 기준으로 현행법상 승격 인구 기준이 5만 명이고, 승격 기준이 2만 명이니 지금의 나주 원도심은 기껏해야 읍 하나 수준의 인구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실제로 같은 전라남도광양읍, 화순읍, 삼향읍보다 인구가 적다![27] 반대로 말하면 1980년대 이전에는 지금보다 훨씬 좁은 면적에 더 많은 인구가 모여 살았던 것이다. 당시 현 LG화학 공장 근처는 전부 논밭이었으며, 대호동과 송월동 시청 주변의 택지지구 모두 존재하지 않았다. 영산포는 예나 지금이나 시가지의 크기에 큰 차이가 없으나 인구는 지금보다 훨씬 많았다.[금] 금천면 석전리, 광암리, 동악리, 월산리 각 일부[산] 산포면 매성리, 신도리, 송림리 각 일부[금] [산] [32] 나주읍에 동명의 법정동이 생겨 용산동(龍山洞)으로 개칭[33] 나주읍에 동명의 법정동이 생겨 용산동(龍山洞)으로 개칭[舊1] 舊 나주읍사무소 소재지가 관내 법정동인 금계동이었음.[35] 나주읍에 동명의 법정동이 생겨 용산동(龍山洞)으로 개칭[1985금남동] 향교동 6,139명 + 금남동 5,384명 + 남산동 5,800명[1990금남동] 향교동 5,256명 + 금남동 5,149명 + 남산동 5,568명[1995금남동] 향교동 3,330명 + 금남동 3,696명 + 남산동 3,199명[39] 나주읍에 동명의 법정동이 생겨 용산동(龍山洞)으로 개칭[1985성북동] 성북동 6,093명 + 송현동 4,041명[1990성북동] 성북동 6,576명 + 송현동 4,031명[1995성북동] 성북동 5,388명 + 송현동 3,969명[43] 나주읍에 동명의 법정동이 생겨 용산동(龍山洞)으로 개칭[1985영산동] 영산동 6,938명 + 부덕동 3,465명[1990영산동] 영산동 6,517명 + 부덕동 3,104명[1995영산동] 영산동 4,545명 + 부덕동 1,457명[舊2] 舊 영산포읍사무소 소재지가 관내 법정동인 이창동이었음.[48] 나주읍에 동명의 법정동이 생겨 용산동(龍山洞)으로 개칭[1985이창동] 이창동 6,912명 + 가야동 3,805명[1990이창동] 이창동 6,878명 + 가야동 3,564명[1995이창동] 이창동 4,662명 + 가야동 1,917명[금] [산] [54] 이는 목포시 영역이 딱 시가지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는 탓에 산업 기반이 주변의 영암군, 무안군 등에까지 퍼져 있고, 따라서 목포 자체는 대구광역시와 비슷하게 소비도시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배후 산업단지가 보통 시 내에 있는 다른 도농통합시와는 다르게 목포의 배후 산업단지라고 할 만한 곳은 영암군 삼호읍의 대불산단이고, 행정이나 농업 등의 산업은 무안군에, 어업은 신안군에 더 발달해 있다. 영암군과 무안군의 GRDP가 타 군 지역에 비해 유난히 높은 것도 목포시의 영향이다. 따라서 단순 통계가 아닌 실질 도시 규모는 여전히 목포시가 나주보다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55] 이 하구둑은 영산강의 수질악화와 나주의 쇠퇴를 가속화하는 것에 크게 기여하여 주민들에게는 두고두고 원성을 듣고 있다. 광주-나주-목포로 이어지는 영산강 유역의 지역민들은 하구둑으로 인한 강의 오염을 봐왔던 터라 하구둑을 만들려는 타 지역민들에게 왜 만드냐고 반문할 정도다.[56] 현재 국내산 홍어는 흑산도 주변과 그곳에서 주문받아 납품되고 있으며, 수입 홍어는 목포시 동명동 어시장을 중심으로 유통된다.[57] 이 중 많은 수가 나주시에서 유일하게 혁신도시에만 지점을 두고 있는데, 특히 스타벅스는 나주 시내에는 단 한 곳도 없는 데에 비해 빛가람동에만 드라이브스루를 포함해 지점이 두 개나 있다.[58] 예를 들어 곰탕을 먹으려면 혁신도시 안에서 먹을 수도 있지만, 원도심의 노안집, 남평할매집 등이 훨씬 유명하고 맛도 좋기 때문에 혁신도시 주민들도 원도심으로 많이 먹으러 간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62] 대중교통으로는 997번, 998번, 999번이 두 곳에 모두 가깝게 지난다. 전남대병원은 바로 앞에 정류장이 있고, 조선대병원은 전남대병원에서 내려서 조금 걸으면 된다.[63] 기존의 포대는 이전했고 새로운 방공포대가 주둔 예정이다.[64] 비상활주로를 관리하는 파견대이다.[65] 가장 최근에 개관한 국립박물관으로 국보 제295호 마한 금동관이 메인 전시물, 대형 관람창을 설치하여 관람객들이 수장고 내부를 직접 볼 수 있는 개방형 수장고를 운영하고 있는 점이 인상적이다.[66] 인터넷우체국 운영기관이다.[67] 우연히도 김해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를 착공하는데 동의했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이다.[68] 일본에서 출생했으나 3살 무렵에 귀국하여 영산포읍 대기리(현 대기동)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69] 나주 본가에서 나주 특산물인 과수원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0]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나서 초등학교를 나주에서 다니다가 서울로 전학갔다.[71] 1973년 금호고속에 입사하여 48년간 그룹에 몸 담으면서 유스퀘어, 금호렌터카, 금호리조트 사장 등을 거쳐 그룹 부회장을 지냈으며 2020년 10월 11일 향년 74세로 사망.[72] 지역구는 나주시·화순군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