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역 | 나주 - |
나주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광주송정 ← 15.8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광주송정 ← 15.8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용산·광주 방면 | |||||
광주송정 ← 15.8 ㎞ | |||||
역명 표기 | |||||
호남선 | 나주 Naju 羅州 / 罗州 / [ruby(羅州, ruby=ナジュ)] | ||||
주소 | |||||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역길 56 (송월동)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목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본부) | |||||
운영 기관 | |||||
호남선 | 한국철도공사[1]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호남선 | 1913년 7월 1일[2] | |||
2004년 4월 1일 | |||||
2016년 12월 9일 | |||||
2014년 5월 12일 | |||||
2023년 9월 1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 |||
역사 구조 | |||||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2면 9선 쌍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호남선[3] 나 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철도 계획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광역철도 (계획중) | 시종착 | ||
시종착 | (계획중) | ? ㎞ → | }}}}}}}}} |
[clearfix]
1. 개요
증축 이후 현 역사(2020년 준공)[5] |
증축 전 모습(2001년~2019년) |
구 역사(1925년 준공)[6] |
대합실(3층) 내부 모습 |
나주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배와 농부를 형상화했으며, 같은 도안의 영산포역 스탬프와 함께 비치중이다. 영산포역 스탬프는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
나주 배를 상징하는 아름다운 선상역사
나주역은 1913년 7월 호남선 개통에 따라 나주시 죽림동에 처음 건축되었다. 항일운동역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의의를 간직한 채 묵묵히 자리를 지켜오다, 2001년 호남선 복선화 부분 개통으로 영산포역과 통합하면서 나주시청 앞으로 이전하였다. 2020년 광주송정과 목포를 잇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의 일환으로 나주역은 나주의 자연과 역사를 모티브로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였다. 특히 나주 배와 나이테를 형상화한 비정형 돔 형식의 선상역사로 증축하면서도 기존 역사와의 연계성을 살려 개축을 최소화하였다. 기존 역사는 업무시설로 활용되고 있고, 상부의 세련된 여객시설은 직관적이고 편리한 동선을 자랑한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호남선의 철도역.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역길 56 (송월동 294-1) 소재.나주역은 1913년 7월 호남선 개통에 따라 나주시 죽림동에 처음 건축되었다. 항일운동역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의의를 간직한 채 묵묵히 자리를 지켜오다, 2001년 호남선 복선화 부분 개통으로 영산포역과 통합하면서 나주시청 앞으로 이전하였다. 2020년 광주송정과 목포를 잇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의 일환으로 나주역은 나주의 자연과 역사를 모티브로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였다. 특히 나주 배와 나이테를 형상화한 비정형 돔 형식의 선상역사로 증축하면서도 기존 역사와의 연계성을 살려 개축을 최소화하였다. 기존 역사는 업무시설로 활용되고 있고, 상부의 세련된 여객시설은 직관적이고 편리한 동선을 자랑한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여기 또한 KTX/SRT가 정차하는 역이기 때문에 광주송정역과 함께 주변 지역의 열차 수요를 담당하며, 나주시, 영암군[7], 해남군[8], 완도군, 강진군, 무안군 북부, 함평군 서남부에서 이용한다.[9] 나주시 안쪽, 나주역 근처까지 농어촌버스가 들어오는 영암군을 제외하면 시외버스나 농어촌버스[1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광주송정역으로 가는 편이고, 나주역은 넓은 주차 공간 덕분에 버스 이용객보다 자차 이용객이 많다.
또한 빛가람혁신도시경유하는 상무~나주역간 광주나주선 광주권 광역철도가 들어설 예정이다.
2. 역 정보
2.1. 역사
호남선 개통 당시에는 구 나주읍 지역에 있던 나주역과 구 영산포읍 중심지에 있던 영산포역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그러나 호남선 복선전철화공사를 하면서 2001년 7월 10일에 두 역을 통합하여 나주시청 인근인 송월동으로 이전하였다. 역에서 나주시청까지 걸어서 약 10분 거리.구 나주역은 무궁화호 이하 열차가 정차하였고 구 영산포역은 새마을호 이하 전 열차가 정차하였으므로 신 나주역도 새마을호 이하 전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고, 2004년부터 일부 KTX도 정차하였다. 2015년 4월 호남고속선 개통 후 왕복 13편의 KTX 열차가 나주역에 정차한다. 이 역은 위치상 목포역 착발의 모든 열차가 지나가면서 정차 or 통과하게 되는데, 호남고속선 개통 전에는 목포행 KTX가 왕복 7편에서 12편까지 증가하는 동안에도 왕복 4회 가량의 정차횟수를 유지했다. 그러다가 호남고속선 개통 후 이 역을 지나는 목포행 KTX는 왕복 16편으로 33% 가량 증가하였는데, 정차횟수는 3배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기존선을 운행하던 호남선 KTX가 고속선으로 운행하게 되며, 어느 정도 표정속도를 확보하게 되어서 표정속도에 큰 영향을 안 주는 기존선에 해당하는 이 역의 정차횟수를 늘려준 것인지,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 의한 수요증가인지는 알 수 없다.[11]
2014년 2월 4일에 나주시에서는 국토교통부 관보 내용을 인용하여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노선이 나주역을 경유함을 확인하였다고 보도하였다.
그리고 나주역이 신 역사로 증축 되었다. 2017년 11월 1일 착공하여, 2020년 2월 완공되었다.
2020년 3월 20일,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나주역 증축 공사를 준공하였다고 발표했다. 기사
특이하게도 KTX는 선택정차하지만[12] SRT는 필수정차하는 역이다. SRT 정차 횟수는 왕복 9회.[13]
2.2. 승강장
승강장 |
↑ 광주송정 | ||||||||||||
ㅣ | ㅣ | ㅣ | 3 | 4 | ㅣ | ㅣ | 5 | 6 | ㅣ | ㅣ | ㅣ | ㅣ |
다시 ↓ |
3·4 | 호남고속선 | | 익산·용산·수서 방면 |
호남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광주·서대전·용산 방면 | |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광주송정·진주·부전 방면 | |
5·6 | 호남고속선 호남선·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함평·일로·목포 방면 |
3. 일평균 이용객
{{{#!wiki style="word-break: keep-all"연도 | {{{#!wiki style="margin: -0px -9px"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총합 | 비고 | |||
2004년 | 218명 | 131명 | 571명 | 920명 | [14] | ||
2005년 | 303명 | 119명 | 493명 | 915명 | |||
2006년 | 353명 | 106명 | 488명 | 947명 | |||
2007년 | 245명 | 94명 | 510명 | 849명 | |||
2008년 | 340명 | 109명 | 452명 | 901명 | |||
2009년 | 340명 | 106명 | 420명 | 866명 | |||
2010년 | 386명 | 102명 | 421명 | 909명 | |||
2011년 | 387명 | 88명 | 451명 | 926명 | |||
2012년 | 373명 | 82명 | 472명 | 927명 | |||
2013년 | 347명 | 77명 | 476명 | 900명 | |||
2014년 | 428명 | 99명 | 499명 | 1,026명 | |||
2015년 | 1,099명 | 146명 | 460명 | 1,705명 | |||
2016년 | 1,553명 | 536명 | 88명 | 419명 | 2,596명 | [15] | |
2017년 | 1,559명 | 654명 | 90명 | 378명 | 2,681명 | ||
2018년 | 1,746명 | 778명 | 81명 | 364명 | 2,969명 | ||
2019년 | 1,872명 | 815명 | 76명 | 381명 | 3,144명 | ||
2020년 | 1,317명 | 647명 | 46명 | 219명 | 2,229명 | ||
2021년 | 1,503명 | 726명 | 56명 | 233명 | 2,518명 | ||
2022년 | 1,908명 | 848명 | 77명 | 282명 | 3,113명 | ||
2023년 | 2,074명 | 862명 | 104명 | 94명 | 262명 | 3,396명 | [16]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2014년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의 기업 및 아파트 입주 시작, 2015년 호남고속선 오송역 - 광주송정역 구간 개통 및 2016년 SRT 운행 개시 후 승객이 급증한 것을 볼 수 있다.[17]
4. 여담
- 이 역에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두 개나 있다. '영산포역'이라고 새겨진 초기 스탬프와 디자인은 완전히 똑같고 역명만 '나주역'으로 변경된 스탬프이다.
- LG화학 나주공장으로 들어가는 인입선이 있다. 여수국가산업단지에서 생산하는 프로필렌을 흥국사역에서 싣고 매일 1회 운행하는 화물열차 반입용이다. 선로 구조가 옛 나주역 쪽으로 갔다가 현 나주역으로 돌아오는 방식이다. 이것은 나주역이 이전하면서 인입선을 수정하려고 보니 지형상 공장 시설을 옮겨야 하기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옛 나주역 쪽으로 가는 인입선을 그대로 두고 거기서 다시 현 나주역까지 인입선을 끌고 온 것이다. 호남선 구 나주역과 현 나주역 사이의 선로가 세 가닥이고 구 나주역에 신호장 비슷한 시설이 남아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나주역을 거치지 않고 바로 본선으로 타는 것은 현 공장구조와 선로배선상 어렵다. 그러면 노안역에 화물중계 역할을 시켜야 한다.
- 구 역사는 일제강점기 대표적 학생운동인 광주학생항일운동의 도화선이 된 장소로, 현재 지방 문화재로 지정되어 남아 있으며 옆에 나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이 위치하여 관련 내용들을 소개하고 있다.
- 구상에 그치고 광주완도고속도로건설사업으로 대체하고 말았지만 1990년대 나주-완도간 철도를 만들려 한적이 있었다.
5. 연계 교통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나주역(1187)[19] ||
급행 | |
광역 | |
시내 | |
순환 | [[나주 버스 순환1, 순환2, 순환3| 순환(남부) 순환(중부) 순환(제한) ]]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나주역(1188)[20] ||
급행 | |
광역 | |
시내 | |
순환 | [[나주 버스 순환1, 순환2, 순환3| 순환(남부) 순환(중부) 순환(제한) ]] |
-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 이전에는 영산포 방향으로 나주역을 경유하지 않는 노선이 많아서 시내버스 이용이 다소 불편했으나, 개편 이후 413번, 급행03번 등 극히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모든 노선이 나주역을 경유하도록 바뀌어서 버스 이용이 매우 용이해졌다. 현재는 영산포 방향으로 가더라도 굳이 시청 앞까지 걸어가지 않고 나주역 앞에서 버스를 타는 것이 훨씬 편리하다.[21]
- 역 앞에 광주광역시 방면으로 가는 버스(997, 998, 999, 160, 161)가 많고 자주 운행하지만, 광주 방면으로 가려면 이 역에서 내리지 말고 기차로 광주송정역까지 간 뒤 광주 시내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나주역~광주송정역 구간을 160번을 이용할 경우 40분 정도, 161번을 이용할 경우 혁신도시까지 거쳐 가서 50분 이상 걸리는 반면, 무궁화호 등의 철도로는 두 역 사이를 10분이면 오갈 수 있다. 진월동, 남광주역,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 방면도 여기에서 999번대를 타느니 광주송정역에서 광주 도시철도나 광주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22]
- 혁신도시 방면으로 가는 노선은 급행01, 7000, 7001, 7002, 700, 701, 997, 998, 161번이 있다. 혁신도시 내 주행 도로로 분류하자면 7000, 7001, 700, 998번은 남쪽 그린로, 7002, 701, 161, 997번은 북쪽 한빛로와 우정로, 급행01번은 중앙의 빛가람로로 다니며, 161번은 한빛로, 우정로 외에 호수로도 경유한다. 999번은 2023년 10월 개편 이후로 빛가람동으로 들어가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나주터미널을 비롯한 나주 시내(구 나주읍 지역)으로 들어갈 때 160번을 비롯한 대부분의 노선은 역 바로 앞 정류장에서 타야 하지만, 7000번대는 다른 나주행 노선과는 반대로 역 반대편 정류장에서 타야 나주 방향으로 갈 수 있다.[23] 7000번대는 선형상 혁신도시에서 온 차량이 나주역을 먼저 경유한 뒤에 북쪽으로 꺾어서 나주시청과 동신대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 다른 노선은 모두 영산포터미널에서 올라오면서 나주역을 경유한 뒤 나주시청으로 바로 꺾어서 나주로 들어간다.
- 남평읍 쪽으로 가려면 역 바로 앞 정류장에서 급행01번, 997번, 998번, 999번을 타면 된다. 단 이는 읍내 기준이고, 강변도시로 바로 가려면 급행01번이나 999번을 타야 한다. 997번과 998번은 강변도시로 들어가지 않고 읍내에서 바로 광주로 향한다.
6. 둘러보기
호남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가수원† - 흑석리† - - - - 개태사† - - 부황† - - - 채운† - - 용동† - - - 황등† - - 부용† - 와룡† - - 감곡† - - 초강† - - 천원† - 노령† - - - 안평† - - - 임곡† - 하남† - 북송정† - - 노안† - - - - 고막원† - - - - - - - - | }}}}}}}}} |
호남고속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나주시 교통체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철도 | <colcolor=#fff> 일반철도 | 호남고속선 | 나주역 |
호남선 | | |||
경전선 | | |||
도로 | 고속도로 | 무안광주고속도로나주IC 문평IC · 강진광주고속도로남나주IC 나주SA 동나주IC | ||
국도 | 1번 · 13번 · 23번 | |||
지방도 | 49번 · 55번 · 801번 · 818번 · 820번 · 821번 · 831번 | |||
버스 | 시내 · 농어촌버스 | 나주시 시내버스나주콜버스 | ||
광주 | 좌석02 · 대촌170 · 진곡196 | |||
영암 | 110 · 111 · 112 · 113 · 114 · 116 | |||
함평 | 100동강 · 500명하 | |||
화순 | 218 · 318-1 | |||
시외 · 고속버스 | 터미널 | 나주버스터미널 · 영산포공용터미널 · 다시공영버스터미널 · 동창터미널 ·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 · 동강정류소 | ||
시외·고속버스 노선 | ||||
| }}}}}}}}} | |||
전라남도의 교통 |
[1] 한국철도공사에서 SRT 매표업무까지 관할한다.[2] 2001년 7월 10일부 현위치 이전.[3] 호남고속선과 공용구간 예정[4] 新 경전선의 역과는 다른 역이 될 예정이나, 추후 변경될 수 있음.[5] 2020년에 거의 재건축 급으로 대대적으로 개축하여 이전의 흔적이 거의 남지 않게 되었다.[6] 현재는 광주학생항일운동 전시관으로 쓰이고 있으며 외부가 재도색되었다.[7] 삼호, 학산, 미암, 서호 4개 읍면은 주로 목포역을 이용한다.[8] 문내, 화원, 산이, 황산 4개 면은 주로 목포역을 이용한다.[9] 무안군에는 무안역과 몽탄역이 있지만 무궁화호만 정차하고, 함평군의 함평역은 함평읍과 다소 떨어져 있는데다가 KTX와 SRT가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러 이 역까지 찾아오는 수요가 있다.[10] 함평교통 500번으로 송정 시가지의 영광통까지 갈 수 있다.[11] 한동안 역 인근에 고속철도 정차횟수를 늘려달라는 현수막이 걸려있었고 나주시에서 정차횟수를 늘려달라며 요구하였는지 고속철도 정차횟수가 증가되었다는 현수막이 걸려있었다.[12] 왕복 3회(401,412,417,421,438,482/488) 통과한다.[13] 이 역 또한 SRT가 목포역까지 운행해야 정차를 하지만 SRT가 고속선 면허이므로 55%(왕복 11회)가 광주송정역에서 시종착을 하기 때문에 필수정차라고 해도 정차 횟수 자체는 많지 않다.[14]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5] SRT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6] ITX-마음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7] 다만 기존 일반열차 이용객이 고속열차로 빠지면서 ITX-새마을과 무궁화호 이용객은 오히려 줄어들었다.[18] 강진군을 비롯해 목포시, 무안군 남부, 영암군 서부, 해남군 서부를 제외한 전남 서남부 해안 지역의 관문 철도역 역할을 하기도 하니 이상한 일은 아니다. 같은 이유로 광주송정역에도 강진군 청자가 전시되어 있다.[19] 역 건물 건너편, 나주국민체육센터 방면[20] 역 건물 앞, 나주시청 방면[21] 단, 영암군 농어촌버스 노선들은 나주 버스 개편과 관계없이 나주역 앞을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이 역에서 내려서 영암군으로 가려면 나주시청이나 나주교육지원청 정류장으로 가거나 영산포터미널까지 다른 노선을 타고 가서 영암으로 가는 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단, 나주시 시내버스와 영암군 농어촌버스는 환승할인이 되지 않으므로 버스를 갈아타면 기본요금을 두 번 내야 했으나 2024년 9월 1일부터 영암군 농어촌버스가 무료화를 선언하면서 나주시 버스요금만 지불하면 된다.[22] 사실 효천지구나 진월동의 경우에는 목포 방면에서 기차를 타고 올 때 이 역에서 999번대를 이용하나 광주송정역에서 진월75번을 이용하나 시간상으로는 별로 다를 게 없지만, 시계외요금 때문에 버스 요금도 매우 비싸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역에서 999번대를 타는 것보다는 차라리 광주송정역에서 진월75번을 타는 것이 낫다. 물론 굳이 철도를 이용할 때의 이야기이고, 유스퀘어에서 전남 남서부권으로 가는 시외버스는 어차피 대부분 진월동의 남부시외버스정류소를 경유하니 굳이굳이 기차를 탈 필요도 없다.[23] 역 바로 앞 정류장에서 타면 혁신도시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