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5 17:38:46

대검찰청

[[대한민국 검찰청|
파일:검찰 로고 이미지.png
파일:검찰 CI (흰색).svg
파일:검찰 로고 텍스트_검은색2.png
파일:검찰 로고 텍스트_흰색.png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11C21,#e3dde3
대검찰청
서울고등검찰청 <colbgcolor=#fff,#191919>서울중앙지방검찰청 · 서울동부지방검찰청 · 서울남부지방검찰청 · 서울북부지방검찰청 · 서울서부지방검찰청 · 춘천지방검찰청 (강릉지청 · 속초지청 · 원주지청 · 영월지청) ·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 남양주지청) · 인천지방검찰청 (부천지청 · 북부지청)
수원고등검찰청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 · 안양지청 · 안산지청 · 평택지청 · 여주지청)
부산고등검찰청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 서부지청) · 울산지방검찰청 ·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 · 진주지청 · 밀양지청 · 통영지청 · 거창지청)
대구고등검찰청 대구지방검찰청 (서부지청 · 안동지청 · 경주지청 · 영덕지청 · 상주지청 · 의성지청 · 포항지청 · 김천지청)
대전고등검찰청 대전지방검찰청 (홍성지청 · 공주지청 · 논산지청 · 서산지청 · 천안지청) ·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지청 · 영동지청 · 제천지청) · 세종지방검찰청
광주고등검찰청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 · 장흥지청 · 순천지청 · 해남지청) · 전주지방검찰청 (군산지청 · 정읍지청 · 남원지청) · 제주지방검찰청
<colbgcolor=#fff,#191919> 취소선: 신설확정·건설중
국방부 관할
국방부 검찰단 · 육군검찰단 · 해군검찰단 · 공군검찰단
대한민국 법원 관련 틀
}}}}}}}}}}}} ||
<colcolor=#fff> 대검찰청
大檢察廳 | Supreme Prosecutors' Office
파일:대검찰청 CI.svg
설립일 1949년 12월 20일
검찰총장 심우정
차장검사 이진동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157
상급 기관 법무부
정원 검사 50명
직원 495명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조직 구성3. 검찰총장4. 기타5.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5.1. 영화5.2. 드라마
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검찰청법
제2조(검찰청)
② 검찰청은 대검찰청, 고등검찰청 및 지방검찰청으로 한다.

제3조(검찰청의 설치와 관할구역)
① 대검찰청은 대법원에, 고등검찰청은 고등법원에, 지방검찰청은 지방법원과 가정법원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한다.

파일:대검찰청.jpg
대검찰청

법무부 휘하로, 대한민국 대법원에 대응하는 검찰청으로서, 대한민국의 고등검찰청지방검찰청들을 통할하는 검찰 사령부 기관.

2. 조직 구성

[[대한민국 검찰청|
파일:검찰 로고 이미지.png
파일:검찰 CI (흰색).svg
파일:검찰 로고 텍스트_검은색2.png
파일:검찰 로고 텍스트_흰색.png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11C21,#e3dde3
대검찰청
서울고등검찰청 <colbgcolor=#fff,#191919>서울중앙지방검찰청 · 서울동부지방검찰청 · 서울남부지방검찰청 · 서울북부지방검찰청 · 서울서부지방검찰청 · 춘천지방검찰청 (강릉지청 · 속초지청 · 원주지청 · 영월지청) ·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 남양주지청) · 인천지방검찰청 (부천지청 · 북부지청)
수원고등검찰청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 · 안양지청 · 안산지청 · 평택지청 · 여주지청)
부산고등검찰청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 서부지청) · 울산지방검찰청 ·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 · 진주지청 · 밀양지청 · 통영지청 · 거창지청)
대구고등검찰청 대구지방검찰청 (서부지청 · 안동지청 · 경주지청 · 영덕지청 · 상주지청 · 의성지청 · 포항지청 · 김천지청)
대전고등검찰청 대전지방검찰청 (홍성지청 · 공주지청 · 논산지청 · 서산지청 · 천안지청) ·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지청 · 영동지청 · 제천지청) · 세종지방검찰청
광주고등검찰청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 · 장흥지청 · 순천지청 · 해남지청) · 전주지방검찰청 (군산지청 · 정읍지청 · 남원지청) · 제주지방검찰청
<colbgcolor=#fff,#191919> 취소선: 신설확정·건설중
국방부 관할
국방부 검찰단 · 육군검찰단 · 해군검찰단 · 공군검찰단
대한민국 법원 관련 틀
}}}}}}}}}}}} ||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92
, 5.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검찰총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찰총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다른 외청들이 청장이라고 하는 것과 달리 대검찰청만 총장이다. 높아봐야 차관급인 다른 외청의 수장들과는 다르게 검찰총장장관급이다.

4. 기타

5.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5.1. 영화

5.2. 드라마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파일:서초구 CI_White.svg서울특별시 서초구
소재 관공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지방자치 파일:서초구 CI.svg 서초구청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서초구의회
법조 파일:대한민국 법원 로고.svg 대법원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서울고등법원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서울중앙지방법원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서울행정법원
파일:대검찰청 CI.svg 대검찰청 파일:대검찰청 CI.svg 서울고등검찰청 파일:대검찰청 CI.svg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서울가정법원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서울회생법원 파일:대한민국 법원 로고.svg 법원행정처 파일:대한민국 법원 로고.svg 서울중앙지방법원 등기국
치안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서울서초경찰서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서울방배경찰서
보건 파일:보건소 CI.svg 서초구보건소
소방 파일:소방청 마크.svg 서초소방서
세무 파일:정부상징.svg 반포세무서
기타 국가기관 파일:국가정보원 로고.svg 국가정보원 파일:정부상징.svg 국립외교원 파일:정부상징.svg 국립중앙도서관 파일:정부상징.svg 국립장애인도서관
파일:정부상징.svg 국립국악원 파일:정부상징.svg 서울지방조달청 파일:우정사업본부 상징.svg 서울서초우체국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인재개발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데이터센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품질시험소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데이터센터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휘장.svg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수원 }}}}}}


[1] 제89조 다음 사항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6. 검찰총장ㆍ합동참모의장ㆍ각군참모총장ㆍ국립대학교총장ㆍ대사 기타 법률이 정한 공무원과 국영기업체관리자의 임명. 여기 딱 한번 등장한다.[2] 헌법에 나오는 공직자가 다 헌법기관이라면 정부위원, 합동참모의장, 각군참모총장 등을 비롯한 군인, 군무원, 국립대학교 총장, 대사, , 경찰공무원 등도 다 헌법기관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국영기업체관리자인 한국전력공사 사장 등 공기업 사장들도 마찬가지다.[3] 문화예술계와 교육 현장의 성차별과 성폭력 문제가 불거진 후 여성가족부 주도로 관계기관 양성평등담당부서 설치가 추진되어 2019년 4월 30일 교육부,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검찰청, 경찰청, 국방부 등 8개 기관에 양성평등 전담부서(양성평등정책담당관)를 신설하는 직제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하여 설치되었다. 각 기관 양성평등전담부서 관계자들끼리 도 한다.[4] 90년대까지는 총무부였다.[5] 다만 대검찰청 기획조정부장은 기획통이 주로 앉긴 해도 특수통, 공안통 검사들도 기획조정부장에 많이 앉았다.[6] 특별수사국(서류상의 기구로 실제 기능하지 않음)→특별수사부→중앙수사부→반부패부→반부패·강력부→반부패부 순으로 개편되었다.[7] 고등검찰청 등 상위직급 기관장이 있는 곳의 감찰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어 2005년 법무부와 협의하여 감찰부장을 고등검찰청 검사장급이나 지방검찰청 검사장 중 상석 검사장(사시 기수 높은 고참 검사장급을 말하는 듯..)으로 격상시키고, 검찰총장 직속으로 개편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흐지부지되었다.[8] 훈령에는 감찰본부 하에 특별감찰단, 감찰정보반, 감찰파견관을 두도록 되어있다. 감찰파견관의 경우, 고등검찰청 쪽에서 근무하지만 대검찰청 소속이다.[9] 대검찰청 감찰위원회 운영 규정(대검찰청훈령)도 2010년 8월 개정하여 종전의 대검찰청 감찰부장을 감찰본부장으로 바꿔놓았었다. 그런데 2019년 12월 재개정시에는 다시 대검찰청 감찰부장으로 회귀했다.[10] 2001년 특별수사·감찰본부 설치·운영지침(대검찰청예규)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특별수사·감찰본부와는 다른 조직이다. 이쪽은 특별검사와 감찰본부장의 업무영역을 섞은 형태다.[11] 대검찰청 감찰본부 설치 및 운영 규정 제3조(감찰본부의 설치) 대검찰청에 감찰본부를 둔다. 이 훈령은 2018년 6월 만들어진 규정이다.[12] 검찰청 사무기구에 관한 규정 제4조(대검찰청에 둘 부와 대검찰청 검사의 직무) ① 대검찰청에 기획조정부, 반부패ㆍ강력부, 형사부, 공공수사부, 공판송무부, 과학수사부 및 감찰부를 둔다. 참고로 1983년 7월 대통령령 개정으로 대검찰청 감찰부가 신설된 후 현재까지 계속 명칭은 감찰부이며 감찰본부 현판식이 있었던 2010년을 포함하여 대통령령 조문상 감찰본부로 바뀐 적은 전혀 없다.[13] 검찰청 홈페이지 조직도상에는 감찰부라 나와있다.[14]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대통령훈령)에는 제2조(기본원칙) ① 중앙행정기관(대통령 및 국무총리 소속 기관의 장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은 훈령·예규·고시(그 명칭에 관계없이 법령의 시행 또는 행정사무처리 등과 관련하여 발령하는 규정·규칙·지시·지침·통첩 등을 포함하며, 이하 "훈령·예규등"이라 한다)를 입안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원칙에 따라 입안하여야 한다. 4. 조화성: 다른 훈령·예규등과 조화와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고, 중복·상충되는 내용이 없을 것 이라고 나와있다.[15] 2023년 12월 26일자로 사이버수사과에서 변경[16] 해당 신도는 2000년대에는 JMS 활동을 안했다고 했으나 2015년에도 정명석을 찬양하며 활동한 것이 YTN 보도로 확인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