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검찰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11C21,#e3dde3 | 대검찰청 | |
서울고등검찰청 | <colbgcolor=#fff,#191919>서울중앙지방검찰청 · 서울동부지방검찰청 · 서울남부지방검찰청 · 서울북부지방검찰청 · 서울서부지방검찰청 · 춘천지방검찰청 (강릉지청 · 속초지청 · 원주지청 · 영월지청) ·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 남양주지청) · 인천지방검찰청 (부천지청 · | |
수원고등검찰청 |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 · 안양지청 · 안산지청 · 평택지청 · 여주지청) | |
부산고등검찰청 |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 서부지청) · 울산지방검찰청 ·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 · 진주지청 · 밀양지청 · 통영지청 · 거창지청) | |
대구고등검찰청 | 대구지방검찰청 (서부지청 · 안동지청 · 경주지청 · 영덕지청 · 상주지청 · 의성지청 · 포항지청 · 김천지청) | |
대전고등검찰청 | 대전지방검찰청 (홍성지청 · 공주지청 · 논산지청 · 서산지청 · 천안지청) ·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지청 · 영동지청 · 제천지청) · | |
광주고등검찰청 |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 · 장흥지청 · 순천지청 · 해남지청) · 전주지방검찰청 (군산지청 · 정읍지청 · 남원지청) · 제주지방검찰청 | |
<colbgcolor=#fff,#191919> ※ | ||
국방부 관할 | ||
국방부 검찰단 · 육군검찰단 · 해군검찰단 · 공군검찰단 | ||
대한민국 법원 관련 틀 |
| |
의정부지방검찰청 |
의정부지방검찰청 議政府西部地方檢察廳 Uijeongbu District Prosecutor's Office | ||
| ||
설립일 | 1962년 9월 1일 | |
검사장 | 24대 김성훈 (사법연수원 30기) | |
소재지 | 의정부지방검찰청 경기도 의정부시 녹양로34번길 23 (가능동) | |
상급기관 | 서울고등검찰청 |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1. 개요
경기도 의정부시·포천시·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을 관할하는 지방검찰청.2. 관할
3. 주요활동/업무
관할구역의 검찰사무 수행4. 소재지
현재 계획중인 의정부 고산 법조타운 공공주택지구 조성에 맞춰 의정부 법조타운 지구내로 이전이 예정되어 있다.
4.1. 교통
녹양역에서 도보 1.2km, 가능역에서 도보 1.4km로 전철을 통한 접근은 어려운 편이다.4.1.1. 승용차 이용 시
서울동부 : 동부간선도로 → 동두천 방향 → 의정부 종합운동장 방향 → 신천병원 → 검찰청서울서부 : 불광동 → 구파발 → 송추,일영 방향 → 송추검문소 → 경민대학 → 의정부고교 → 검찰청
양주·동두천·연천 : 3번 국도 → 전곡 → 소요산 → 동두천 → 양주 → 양주시청 → 주내검문소 → 39번 국도 → 검찰청
포천·철원 : 철원 → 운천 → 포천공설운동장 → 건화휴게소 → 대진대 → 축석검문소 → 43번 국도 → 3번 국도 → 39번 국도 → 검찰청
남양주·구리 : 46번 국도 → 청평(남양주 방향) → 퇴계원IC(일산방향) → 호원IC → 사패터널 → 가능고가차도 → 신천병원 → 검찰청
가평 : 서울방향으로 청평검문소 우회전 → 현리 → 서파검문소 → 광릉내 입구 → 축석검문소 → 43번 국도 → 3번 국도 → 신천병원 → 검찰청
청사 내 주차는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고, 인근 공영주차장이나 민영주차장을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4.1.2. 지하철 이용 시
지하철 1호선 가능역 2번 출구 → 일반버스 23-1(가능역·성베드로병원) → 의정부지방법원·검찰청앞지하철 1호선 가능역 1번 출구 → 일반버스 8, 11, 마을버스 208(가능역) → 의정부지방법원·검찰청앞
지하철 1호선 녹양역 2번 출구 → 마을버스 208-1(녹양역남문) → 의정부지방법원·검찰청앞
지하철 1호선 녹양역 1번 출구 → 일반버스 133(휴먼시아4단지·녹양역) → 의정부고등학교·법원·검찰청
지하철 1호선 녹양역 1번 출구 → 일반버스 5(녹양역서부광장) → 의정부고등학교·법원·검찰청
4.1.3. 버스 이용 시
5번, 8번, 8-1번, 133번, 208번양주·동두천 : 36, 36-1, 39, 39-3, 136, 139, 139-1(양주 : 15, 20, 22, 25, 28, 30, 31, 34, 51, 52, 53, 55, 125, 133, 138-6, 138-7, 1018, 1019)
포천 : 30, 31, 38, 50, 51, 55, 72, 138, 138-1, 138-2, 205, 206
남양주·구리 : 1-1, 1-6(남양주 : 1-2, 138, 138-1)
서울동부 : 5, 36(평안운수), 39, 39-3, 72, 106, 107, 136, 139, 139-1, 1018, 1019, 1148, 9101
서울서부 : 34, 36(신성교통), 37(공항버스)
※ 남양주·구리·포천·연천·가평·철원 : 의정부행 시외버스 있음
5. 규모
1검사장, 1차장검사, 7부, 1국, 5과, 2지청5.1. 각 지청의 관할 구역
- (본청의 관할 구역)
의정부시, 포천시, 동두천시, 양주시, 연천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1]
- 고양지청(차치지청)
고양시, 파주시
- 남양주지청(차치지청)
남양주시, 구리시, 가평군
6. 역사
- 1962년 9월 1일 서울지방검찰청 의정부지청으로 개청하였다.
- 개청 이전에는 서울지검 소속의 1949년 개청된 개성지청(개성시, 개풍군, 장단군, 파주군)과 1955년에 개청한 철원지청(철원군, 김화군)이 있었고, 그 외 고양군, 양주군, 포천군, 가평군 등 경기 북부 지역은 서울지검이 직접 관할하였다.
- 그러다가 6.25 전쟁을 거치면서 개성지청과 철원지청은 기능을 상실했고, 서울의 확장과 더불어 당시 경기 북부의 중심으로 양주군 의정부읍이 성장하고 미군 관련 사건[2]이 늘어나면서 기존 개성과 철원지청을 폐지하고, 이를 대신할 곳을 의정부로 선택했다.
- 당시 소재지는 '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 의정부리 173-4번지'였으며, 당시 관할구역은 경기도 양주군 중 의정부읍[3], 동두천읍, 별내면, 장흥면, 백석면, 주내면, 회천면, 남면, 은현면[4]과 파주군, 연천군, 포천군 및 강원도 철원군 전 지역이었다.[5]
- 1979년에 관할구역이 조정[6]되어 서울지검 관할이던 양주군 잔여 지역 및 가평군이 관할구역에 포함되었다. 1980년에는 서울지검 관할이던 고양군이 관할구역으로 포함되었고, 기존 양주군 남부 지역이 남양주군으로 분리되었다.
- 1983년 1월 15일 청사를 현 위치인 의정부시 녹양로34번길 23(가능동 364번지)로 이전했다.
- 2003년 3월 1일 서울지방검찰청 고양지청이 개청하면서 고양시와 파주시는 별도의 검찰청을 두게 되었다.
- 2004년 2월 1일 '각급법원의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법률'(법률 제7082호)에 따라 의정부지방검찰청으로 승격되었고, 고양지청을 관할지청으로 두게 되었다.
- 2013년 1월 23일 '각급 법원의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법률(법률 제11623호)'에 따라 구리시, 남양주시, 가평군을 관할로 하는 '의정부지검 남양주지청'이 설립되어 2022년 3월 1일에 분리되었다.
종합해보면, 기존 한강 이북의 경기도 지역을 관할하다가 경의선 라인의 고양시와 파주시는 '고양지청'으로, 중앙선 및경춘선 라인의 구리시, 남양주시, 가평군은 '남양주지청'으로 분리되어 경원선 라인의 경기 북부 지역 및 생활권이 사실상 수도권인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을 담당하게 되었다.
다만, '남양주지청' 설립 때부터 기존 가능동 본청 청사의 노후화와 관할 지역 인구의 증가로 인해 청사 이전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몇 차례 진통 끝에 의정부 고산 법조타운 공공주택지구 조성에 맞춰 법조타운 지구 내로 이전이 예정되었는데, 해당 지역이 조금만 넘어가면 관할이 다른 남양주시 별내면이기 때문에, 본청까지 상당히 거리가 있는 포천, 연천, 철원 지역의 불편함은 이어질 전망이다.
7. 조직
조직은 검사장 1명과 차장검사 1명, 사무국, 형사 제1~5부, 공안부, 공판송무부, 1개의 지청으로 구성된다. 사무국에 총무과·사건과·집행과, 공판송무부에 공판송무과, 형사제5부에 수사과가 있다. 형사제1∼5부는 일반 형사사건의 수사 및 처리, 공판에 관한 사항, 검사장이 지정하는 사건의 수사 및 처리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총무과는 인사·문서·물품·도서 관리와 예산운영, 검찰 국유재산 관리, 압수금품의 보관·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사건과는 사건의 접수 및 처리, 수사 지휘, 진정내사사건의 처리, 통계, 영장, 압수금품의 접수 및 처리 업무를 맡는다. 집행과는 형의 집행, 수형통지 및 수형인 명부, 판결원본 및 사건기록의 보존·관리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로
221114_보도자료(『환경범죄_합동전문수사팀』_출범)-의정부지검.pdf
8. 역대 검사장
의정부지방검찰청 검사장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초대 선우영 | 제2대 홍경식 | 제3대 유성수 | 제4대 문효남 | 제5대 박상옥 | |
제6대 박태규 | 제7대 박기준 | 제8대 이재원 | 제9대 김병화 | 제10대 박청수 | |
제11대 김희관 | 제12대 강경필 | 제13대 이명재 | 제14대 김강욱 | 제15대 조희진 | |
제16대 김회재 | 제17대 양부남 | 제18대 구본선 | 제19대 박순철 | 제20대 이주형 | |
제21대 최경규 | 제22대 신응석 | 제23대 김선화 | 제24대 김성훈 | }}}}}}}}}}}}}}}}}} |
9.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9.1. 드라마
[1] 유일한 강원특별자치도 관할 구역이다.[2] 지금은 많이 이전했지만, 1960년대 초반 의정부와 동두천 일대에 미군 부대가 많이 주둔했다.[3] 개청 이후 1963년 1월 1일에 시 승격.[4] 이 외 다른 양주군 지역은 서울지검이 직접 관할했다.[5] 장단군은 파주군과 연천군이 분할 흡수되었고, 김화군은 철원군이 흡수했다.[6] 당시 서울지검 및 지법의 관할 범위가 넓어서 이 때 한강 이남의 경기 지역을 수원지방검찰청 및 수원지방법원으로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