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4:19:45

국민경제자문회의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국회 <colbgcolor=#fff,#1c1d1f> 파일:국회휘장.svg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정부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
파일:대한민국 국무총리 문장.svg · 국무위원
파일:정부상징.svg 국무회의 · 국가원로자문회의 · 국가안전보장회의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 국민경제자문회의
· 정부위원
파일:감사원 로고.svg 감사원 · 감사원장 · 감사위원
법원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 대법원장 · 대법관 · 대법관회의
각급법원 · 법관
파일:군사법원 심볼마크.png 군사법원 · 군재판관
헌법재판 파일:헌법재판소 휘장.svg ·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선거관리 파일:중앙선거관리위원회 휘장.svg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 중앙선거관리위원 · 각급선거관리위원회
지방​자치
파일: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휘장.svg
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지방의회 · 지방의회​의원
파일: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심볼.svg
교육청 · 교육감
: 헌법재판소 2004. 10. 21. 선고 2004헌마554 결정에 따른 분류 }}}}}}}}}

국민경제자문회의
國民經濟諮問會議
National Economic Advisory Council
파일:국민경제자문회의 로고.svg
<colbgcolor=#1e2b68><colcolor=#fff> 설립일 1999년 11월 20일
의장 직무대행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임)
부의장
(장관급)
서승환
간사위원 박춘섭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겸임)
지원단장 이용주
주무부처 기획재정부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 (종로1가)
광화문교보빌딩 20층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기능3. 구성
3.1. 지원단
4. 회의
4.1. 위원
5. 역대 부의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헌법 제93조
①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한 중요정책의 수립에 관하여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국민경제자문회의를 둘 수 있다.
② 국민경제자문회의의 조직·직무범위 기타 필요한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국민경제자문회의법
제1조(목적) 이 법은 「대한민국헌법」 제93조에 따라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한 중요 정책의 수립에 관하여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국민경제자문회의를 설치하고, 그 구성·직무범위와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6조(회의 등) ⑤ 이 법에서 규정하는 사항 외에 회의소집 절차 등 자문회의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대한민국 헌법상 대통령의 자문기관 중 하나. 헌법에 규정된 제도이지만 1999년 8월 31일에야 해당 법률이 제정되었으며, 그 전에는 '경제대책조정회의'라는 것이 있었다. 의무 규정이 아니기 때문에 미설치했다고 해서 위헌은 아니다.

세부적인 사항은 대통령령에 위임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국민경제자문회의 운영에 관한 규정이 제정되어 있다.

2. 기능

국민경제자문회의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의 자문에 응한다.(법 제2조)

3. 구성

자문회의는 의장 1명, 부의장 1명, 당연직위원 5명 이내, 위촉위원 30명 이내 및 지명위원으로 구성한다.(법 제3조 제1항)

자문회의의 의장은 대통령이 되고, 부의장은 의장이 위촉위원 중에서 지명한다.(같은 조 제2항 전단)

의장은 부의장으로 하여금 그 직무를 대행하게 할 수 있으며, 부의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그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위원 중 1명을 지명하여 그 직무를 대행하게 할 수 있다.(법 제5조 제2항)

3.1. 지원단

4. 회의

4.1. 위원

<rowcolor=#fff> 구분 위원 비고
의장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직무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부의장 서승환 국토교통부장관
연세대학교 총장
간사위원 박춘섭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당연직위원 최상목 ''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
성태윤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rowcolor=#fff> 거시금융분과
분과장 신관호 고려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위촉위원 김영재 부산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위촉위원 민세진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위촉위원 박정수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위촉위원 이건영 EY컨설팅 금융사업본부 파트너
위촉위원 이동식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rowcolor=#fff> 민생경제분과
분과장 조상미 중앙사회서비스원
위촉위원 이영욱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위촉위원 이찬영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위촉위원 최상미 동국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rowcolor=#fff> 혁신경제분과
분과장 이황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위촉위원 권남훈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위촉위원 박현주 시옷 대표이사
위촉위원 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위촉위원 유병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위촉위원 전현배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rowcolor=#fff> 미래경제분과
분과장 박지순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위촉위원 손원익 홍익대학교 디자인경영융합학부 교수
위촉위원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위촉위원 이호준 CJ 상무
위촉위원 정해식 한국자활복지개발원 원장
위촉위원 황옥경 서울신학대학교 아동보육학과 교수
<rowcolor=#fff> 경제안보분과
분과장 강인수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위촉위원 류예리 경상국립대학교 지식재산융합학과 교수
위촉위원 송승헌 맥킨지&컴퍼니 한국사무소 대표
위촉위원 최재영 삼일회계법인 경영연구원장
위촉위원 허염 실리콘마이터스 회장

5. 역대 부의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 파일:국민경제자문회의 로고.svg국민경제자문회의
역대 부의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2001~현재)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초대
김재철
제2대
조순
제3대
이규성
제4·5대
어윤대
제6대
김기환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7대
유장희
제8대
김인준
제9대
현정택
제10대
이영선
제11대
김광두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12·13대
이제민
제14·15대
이근
제16대
이인호
제17대
서승환
}}}}}}}}}}}}
<rowcolor=#fff> 정부 대수 이름 임기
국민의 정부 초대 김재철(金在哲) 2001년 3월 31일 ~ 2003년 6월 9일
참여정부 2대 조순(趙淳) 2003년 6월 10일 ~ 2004년 7월 13일
3대 이규성(李揆成) 2004년 7월 14일 ~ 2005년 7월 14일
4대 어윤대(魚允大) 2005년 7월 15일 ~ 2006년 7월 14일
5대 2006년 7월 15일 ~ 2008년 10월 19일
이명박 정부 6대 김기환(金基桓) 2008년 10월 20일 ~ 2010년 3월 26일
7대 유장희(柳莊熙) 2010년 3월 27일 ~ 2011년 11월 28일
8대 김인준(金仁埈) 2011년 11월 29일 ~ 2013년 5월 28일
박근혜 정부 9대 현정택(玄定澤) 2013년 5월 29일 ~ 2015년 1월 25일
10대 이영선(李榮善) 2015년 7월 24일 ~ 2017년 5월 22일
문재인 정부 11대 김광두(金光頭) 2017년 5월 22일 ~ 2018년 12월 31일
12대 이제민(李濟民) 2019년 1월 23일 ~ 2020년 1월 22일
13대 2020년 1월 23일 ~ 2021년 1월 22일
14대 이근(李根) 2021년 1월 23일 ~ 2022년 1월 22일
15대 2022년 1월 23일 ~ 2022년 3월 16일
윤석열 정부 16대 이인호(李仁鎬) 2022년 9월 1일 ~ 2024년 8월 29일
17대 서승환(徐昇煥) 2024년 8월 29일 ~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