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한덕수"><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한덕수(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덕수(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덕수(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한덕수(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덕수(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덕수(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김문수-한덕수 간의 단일화론: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 정치권에서 비화된 해당 인물의 대망론: 한덕수 대망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5BA6,#FFC224> 기호 | 정당 | 이름 | 비고 |
- | 더불어민주당 | 이재명 | ||
- | 국민의힘 | 김문수 | ||
- | 개혁신당 | 이준석 | ||
- | 진보당 | 김재연 | ||
- | 기본소득당 | 대의원대회 예정 | ||
- | 거지당 | 박종구 | 예비후보 미등록 | |
- | 국민연합 | 염안섭 | 예비후보 미등록 | |
- | 민주노동당 | 권영국 | ||
- | 새미래민주당 | 이낙연 | 예비후보 미등록 | |
- | 자유통일당 | 전당대회 예정 | ||
- | 한반도미래당 | 김정선 | ||
- | 무소속 | 김광종 | 예비후보 미등록 | |
- | 무소속 | 박정일 | ||
- | 무소속 | 송진호 | ||
- | 무소속 | 정태순 | ||
- | 무소속 | 차기원 | ||
- | 무소속 | 한덕수 | ||
- | 무소속 | 허은아 | ||
- | 무소속 | 황교안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24f 0%, #003478 20%, #003478 80%, #00224f); color:#C393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rowcolor=#003478,#C39335>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이범석 | 장면 | 장택상 | 백두진 | 변영태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허정 | 장면 | 최두선 | 정일권 | 백두진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김종필 | 최규하 | 신현확 | 남덕우 | 유창순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김상협 | 진의종 | 노신영 | 김정렬 | 이현재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강영훈 | 노재봉 | 정원식 | 현승종 | 황인성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이회창 | 이영덕 | 이홍구 | 이수성 | 고건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
김종필 | 박태준 | 이한동 | 김석수 | 고건 | |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이해찬 | 한명숙 | 한덕수 | 한승수 | 정운찬 |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
김황식 | 정홍원 | 이완구 | 황교안 | 이낙연 | |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
정세균 | 김부겸 | 한덕수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무소속 제21대 대통령 후보 한덕수 韓悳洙 | Han Duck-soo | |
| |
출생 | 1949년 6월 18일[음력] ([age(1949-06-18)]세) |
전라북도 전주부 진북동 (現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 |
거주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2가[2] |
본관 | 청주 한씨[3] |
현직 | 무소속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4] |
재임기간 |
제38대 국무총리 (참여정부) |
2007년 4월 3일 ~ 2008년 2월 28일 |
제48대 국무총리 (윤석열 정부) | |||
2022년 5월 21일 ~ 2025년 5월 1일[5] | |||
대통령 권한대행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 |||
2024년 12월 14일 ~ 2024년 12월 27일 (1기) 2025년 3월 24일 ~ 2025년 5월 1일 (2기) | |||
서명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한병호, 어머니 최다복 | |
배우자 | 최아영 | ||
학력 | 서울재동국민학교 (졸업)[7] 경기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63회 / 졸업)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 67 / 학사)[8]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석사 · 박사[9]) | ||
병역 | 육군 병장 만기전역 (육군본부 행정병) (1971년 5월 27일 ~ 1974년 3월 28일) | ||
종교 | 개신교 (감리회)[10] | ||
신체 | 180cm[11], O형[12] | ||
소속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13] | ||
경력 | 제8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경제기획원 정책조정과장 상공부 미주통상과장 상공부 산업정책국장 대통령비서실 통상산업비서관 상공자원부 기획관리실장 통상자원부 통상무역실장 제11대 특허청장 제4대 통상산업부차관 초대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제3대 주OECD 특명전권대사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수석비서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제15대 산업연구원장 제8대 국무조정실장 제5대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 제38대 국무총리 제23대 주미합중국 특명전권대사 제28대 한국무역협회 회장 제48대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 | ||
서훈 | 홍조근정훈장 황조근정훈장 칠레 대십자훈장 벤플리트상 청조근정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 }}}}}}}}} |
1. 개요
대한민국의 제38·48대 국무총리.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태 이후 두 차례의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수행하였으며 2025년 5월 1일 24시를 기해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서 사퇴하겠다고 밝혔고,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함을 선언하였다.
한덕수는 캠프 측 인사를 통해 21대 대선 후보 등록 전날인 2025년 5월 9일까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단일화를 마무리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며 단일화 룰과 관련해서는 국민의힘에서 제시하는 방안을 따를 것임을 피력했다. 향후 대선후보 단일화 결과가 한덕수로 확정될 경우 국민의힘에 입당할 가능성이 높다.
2. 약력
- 1956. 3. 전주국민학교 입학
- 1961. 2. 서울재동국민학교 졸업
- 1964. 2. 경기중학교 졸업
- 1967. 1. 경기고등학교 졸업 (63회)
- 1967. 3.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입학
- 1970. 6. 제8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 1970. 12. ~ 1971. 4. 관세청 가격조사담당관 사무관
- 1971. 2. 서울대학교 상과대학[14] 경제학 학사 (67학번)
- 1971. 2. 대법원장상 수상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수석 졸업)
- 1971. 5. ~ 1974. 3. 육군 복무 (육군본부 행정병 근무, 병장 만기전역)
- 197?. ?.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비서관
- 197?. ?. 경제기획원 경제협력2과 사무관
- 1979. 7. 경제기획원 경제협력국 경협총괄과 사무관
- 1980. 9. 경제기획원 정책조정국 조정3과장, 서기관
- 1981. 7. 경제기획원 정책조정국 조정2과장
- 1981. 11. 한국은행 파견
- 1982. 2. 상공부 통상진흥국 미주통상과장
- 1983. 6. 미국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석사
- 1984. 6. 미국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박사
- 1984. 7. 상공부 통상진흥국 아주통상과장
- 1984. 12. 상공부 산업정책관실 산업정책담당관
- 1985. 7. 상공부 산업정책국 산업정책과장
- 1987. 2. 상공부 기계공업국 수송기계과장
- 1989. 1. 상공부 중소기업국장, 부이사관
- 1990. 4. 상공부 산업정책국장, 이사관 #
- 1992. 12. 홍조근정훈장 수훈
- 1993. 1. 상공부 전자정보공업국장
- 1993. 4. ~ 1994. 5. 대통령비서실 통상산업비서관 (문민정부)
- 1994. 5. ~ 1994. 12. 상공자원부 기획관리실장, 관리관
- 1994. 12. ~ 1996. 12. 통상산업부 통상무역실장
- 1996. 12. ~ 1997. 3. 제11대 특허청장 (문민정부)
- 1997. 3. ~ 1998. 3. 제4대 통상산업부차관 (문민정부)
- 1998. 3. ~ 2001. 2. 초대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국민의 정부)
- 2001. 2. ~ 2001. 11. 주경제협력개발기구 대한민국 대표부 특명전권대사 (국민의 정부)
- 2001. 11. ~ 2002. 1. 제6대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수석비서관 (국민의 정부)
- 2002. 1. ~ 2002. 7. 제4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국민의 정부)
- 2002. 11. ~ 2003. 7.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
- 2003. 2. 황조근정훈장 수훈
- 2003. 7. ~ 2004. 2. 제15대 산업연구원 원장 (참여정부)
- 2004. 2. ~ 2005. 3. 제8대 국무조정실장 (참여정부 / 장관급)
- 2005. 3. ~ 2006. 7. 제5대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 (참여정부)
- 2006. 8. ~ 2007. 3. 한미 FTA 체결지원위원회 위원장
- 2007. 4. 3. ~ 2008. 2. 28. 제38대 국무총리 (참여정부)
- 2007. 7. 칠레 대십자훈장 수훈
- 2008. 4. ~ 2013. 1. 2012 여수세계 박람회 조직위원회 고문
- 2009. 2. ~ 2012. 2. 제23대 주미합중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이명박 정부 / 장관급)
- 2012. 2. ~ 2015. 2. 제28대 한국무역협회 회장
- 2012. 5. ~ 2012. 12. 녹색기후기금 민간유치위원회 위원장
- 2012. 6. 청조근정훈장 수훈
- 2013. 2.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
- 2015. 6. 청소년적십자 사업후원회 고문
- 2015. 11. ~ 2017. 11. 제3대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 2016. 5. ~ 2016. 12. 청주세계무예마스터십 조직위원회 공동위원장
- 2016. 10. ~ 2018. 9. 지속가능전력정책연합 의장
- 2017. 6. 대법관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 2017. 12. ~ 2022. 3.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
- 2018. 3. ~ 2020. 2. 사단법인 서울국제포럼 영산외교인상 위원장
- 2020. 3. ~ 2022. 4. 사단법인 서울국제포럼 이사
- 2021. 3. ~ 2022. 3. S-OIL 사외이사
- 2022. 5. 21. ~ 2025. 5. 1.[직무정지기간] 제48대 국무총리 (윤석열 정부)
- 2024. 12. 14. ~ 2024. 12. 27.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제1기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 2025. 3. 24. ~ 2025. 5. 1.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제2기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 2025. 5. 2. ~ 현재. 무소속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3. 생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생애#|]][[한덕수/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970년 제8회 행정고시에 합격해 입직하면서 경제관료의 길을 걸었다. 특허청장과 국무조정실장, 통상교섭본부장,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을 역임하였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지명을 받아 참여정부의 국무총리(제38대)로 재직했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국무총리직을 퇴임했고, 약 14년이 지난 2022년 5월 2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명을 받아 윤석열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제48대)로 임명되면서 두 번째 국무총리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윤석열 정부 5개 정부에 걸쳐 보수 정부와 진보 정부를 가리지 않고 차관급 이상 고위직을 역임한 진기록을 보유한 원로급 관료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는 문민정부에서 특허청장과 통상산업부차관을, 국민의 정부에서 통상교섭본부장을, 참여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이명박 정부에서 주미대사를 역임했다.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에서는 정치 일선에서 물러났다가, 윤석열 정부 초대 국무총리로 돌아왔다. 그야말로 어마어마한 올드보이로서 내각의 경제관료 출신 각료에게 있어서는 까마득한 대선배에 해당한다.[16]
윤석열 정부의 국무총리로 재직하던 2023년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의 주도로 해임 건의안이 국회를 통과하였으며, 이는 헌정사상 최초의 국무총리 해임 건의안 통과 사례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해임 거부로 총리직을 유지했다.
2024년 4월 10일 치러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집권여당 국민의힘이 탄핵 저지선을 사수하는 108석에 그치며 참패하자, 국정 쇄신을 위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사퇴를 표명했으나 대통령이 사퇴를 반려하면서 유임되었다.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가 6시간여 만에 해제한 뒤 여론의 거센 반발과 역풍을 맞자, 국무위원 전원의 사퇴 표명을 반려하며 국정 운영에 매진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표결이 국회 본회의에서 무산된 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회동하고 "대통령의 직무 배제 및 질서 있는 퇴진, 정부와 여당의 주 1회 회동"을 골자로 한 총리-여당 과도체제 국정운영을 선언하였으나 위헌 논란이 일며 유야무야되었다.
2024년 12월 1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의 가결로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었다.
2024년 12월 27일,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의 가결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이듬해 3월 24일, 헌재에서 기각 결정이 나며 다시 직무에 복귀하게 되었다.
2025년 4월 4일, 윤석열이 대통령직에서 파면되면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전까지 대통령 권한대행을 수행한다.
2025년 5월 1일, 같은 날 24시를 기하여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사퇴하겠다고 밝혔다. #
2025년 5월 2일,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4. 비판 및 논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비판 및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비판 및 논란#|]][[한덕수/비판 및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제21대 대통령 선거 전후 행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대망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대망론#|]][[한덕수 대망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1.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한덕수/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 한덕수 대망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대망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대망론#|]][[한덕수 대망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3. 김문수와의 후보 단일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어록
국민을 움직이는 정치의 힘은, 모욕과 능멸에 있는 게 아닙니다!
2024년 9월 10일, 대정부질문에서 민주당 의원과 설전을 벌이던 중 분노하며 #
2024년 9월 10일, 대정부질문에서 민주당 의원과 설전을 벌이던 중 분노하며 #
왜 의석에서 답변을 못 하게 하세요? 답변을. 의석에 의원님들은 좀 가만히 계세요!
2024년 9월 12일, 의료 공백 사태 관련 질의 현장에서 야당 의원들이 답변에 항의하자 한 말 #
2024년 9월 12일, 의료 공백 사태 관련 질의 현장에서 야당 의원들이 답변에 항의하자 한 말 #
문재인 정부처럼 빚을 500조원쯤 얻고 인플레이션이 되든 말든 금리를 낮추면 된다. 하지만 절대 그렇게 하지 못하겠다.
2023년 9월 6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
2023년 9월 6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
야당에도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비상시에도 국정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정부가 제출한 예산안과 그 부수법안의 통과가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예산안이 조속히 확정되어 각 부처가 제때 집행을 준비해야만 어려운 시기, 민생 경제를 적기에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외국 모든 나라가, 모든 경제 주체가 대한민국을 쳐다보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8일, 한덕수·한동훈 공동 대국민담화문에서 총리의 발언 #
2024년 12월 8일, 한덕수·한동훈 공동 대국민담화문에서 총리의 발언 #
과거 우리 곁에는 언제나 진영의 유불리를 넘어 나라 전체를 볼 줄 아는 정치인, 정치로 풀 일을 정치로 풀어주시는 어른들이 계셨습니다. 지금 우리 국민들이 가장 간절히 기다리는 것도 바로 그런 ‘큰 정치’의 복원이라고 생각합니다.
극단의 정치는 국민 모두에게 막대한 비용을 지울 뿐 그 어떤 해답도 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는 이번 일을 통하여 뼈아프게 배우고 있습니다.
법치와 합의, 자제와 성찰, 합리와 효율이 정치와 정부, 나아가 사회 전체를 움직이는 작동원리가 될 때 대한민국은 비로소 좌나 우로 가는 대신, 위로 갈 수 있습니다.
진영에 휘둘리지 않고 국민 한 분 한 분을 위하여 최선의 해답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최종 변론에서 #
극단의 정치는 국민 모두에게 막대한 비용을 지울 뿐 그 어떤 해답도 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는 이번 일을 통하여 뼈아프게 배우고 있습니다.
법치와 합의, 자제와 성찰, 합리와 효율이 정치와 정부, 나아가 사회 전체를 움직이는 작동원리가 될 때 대한민국은 비로소 좌나 우로 가는 대신, 위로 갈 수 있습니다.
진영에 휘둘리지 않고 국민 한 분 한 분을 위하여 최선의 해답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최종 변론에서 #
직무가 정지된 88일 동안 저는 두 가지를 깊이 생각하였습니다. 우선 저는 대한민국을 위하여 가장 시급히 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가 숙고하였습니다.
제가 50년 가까이 모신 우리 국민 대다수는 나라가 왼쪽으로 치우치는 것도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것도 원치 않으셨습니다. 다만 '위'로, 앞으로, 올라가고 나아가기를 원하셨습니다.
지난 몇 년 우리가 명백한 목격하고 배운 것이 있다면, 극단으로 갈라진 사회는 불행으로 치달을 뿐, 누구의 꿈도 이루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여야와 정부가 정말 달라져야 합니다. 저부터 그렇게 하겠습니다.
2025년 3월 24일,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기각 후 대통령 권한대행 직무복귀 대국민 담화 #
제가 50년 가까이 모신 우리 국민 대다수는 나라가 왼쪽으로 치우치는 것도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것도 원치 않으셨습니다. 다만 '위'로, 앞으로, 올라가고 나아가기를 원하셨습니다.
지난 몇 년 우리가 명백한 목격하고 배운 것이 있다면, 극단으로 갈라진 사회는 불행으로 치달을 뿐, 누구의 꿈도 이루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여야와 정부가 정말 달라져야 합니다. 저부터 그렇게 하겠습니다.
2025년 3월 24일,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기각 후 대통령 권한대행 직무복귀 대국민 담화 #
극단의 정치를 버리고 협치의 기틀을 세우지 않으면 누가 집권하든 분열과 갈등이 반복될 뿐입니다.
대한민국은 하나로 뭉쳐 위기를 극복해온 나라인데, 지금 우리 사회는 양쪽으로 등 돌린 진영의 수렁에 빠져 벌써 수년째, 그 어떤 합리적인 논의도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2025년 5월 1일, 한덕수 총리 사퇴 대국민 담화 중 #
대한민국은 하나로 뭉쳐 위기를 극복해온 나라인데, 지금 우리 사회는 양쪽으로 등 돌린 진영의 수렁에 빠져 벌써 수년째, 그 어떤 합리적인 논의도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2025년 5월 1일, 한덕수 총리 사퇴 대국민 담화 중 #
정치가 바뀌지 않으면 민생도, 경제도, 외교도, 개혁도 안 됩니다.
새로운 정부는 ‘한덕수 정부’가 아닙니다. 좌우로 나뉘는 대신 앞으로, 오직 앞으로 나아가고 싶은 모든 사람의 정부, 바로 ‘여러분의 정부’입니다.
국민 여러분, 저의 이념은 단 하나, 여기서 기적이 끝나선 안 된다는 것, 우리는 계속,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 이것밖에 없습니다.
2025년 5월 2일, 대통령 선거 출마선언 중 #
새로운 정부는 ‘한덕수 정부’가 아닙니다. 좌우로 나뉘는 대신 앞으로, 오직 앞으로 나아가고 싶은 모든 사람의 정부, 바로 ‘여러분의 정부’입니다.
국민 여러분, 저의 이념은 단 하나, 여기서 기적이 끝나선 안 된다는 것, 우리는 계속,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 이것밖에 없습니다.
2025년 5월 2일, 대통령 선거 출마선언 중 #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2025년 5월 2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광주시민단체에 의해 참배가 저지당하자 한 말 #
2025년 5월 2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광주시민단체에 의해 참배가 저지당하자 한 말 #
7. 저술 활동
- 외부충격, 조정과 성장 External shocks, adjustment and growth (1984)[19]
- 알기 쉬운 무역실무 길라잡이 (2013)
8.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07 - 현재 | 정계 입문[20] |
9. 선거 이력
||<tablebordercolor=#808080><tablewidth=100%><tablealign=center><rowbgcolor=#808080><tablebgcolor=#fff,#1c1d1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25 | 제21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 | - (-위) | [21] |
10. 여담
-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박사 출신답게 외신 기자와의 영어 문답이 가능할 정도로 영어 회화에 능통하다. 통역사가 있어서 그런지 외신기자에게 처음에는 한국어로 답변하다가 영어로 답변하는 모습도 나온다. 실제로 주미대사를 역임하는 등 외교관으로도 활동하였다.
주미대사 시절 외신기자들과 질의응답하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 |
세계경제포럼에서 영어로 발언하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 |
- 영어가 유창한 것과는 별도로 한국어로 말할 때도 보그체를 섞어 쓴다. 기자 회견에서 동사, 명사, 부사, 형용사를 가리지 않고 영어를 섞어 써서 이런 말투에 익숙지 않은 사람들은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무슨 의도로 말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는 사례가 종종 있다.
- 정권을 가리지 아니하고, 국무총리를 역임한 인물이라 국무총리 이미지가 강하다. 참고로 두 정권에서 국무총리를 지낸 인물로는 이승만 정부와 박정희 정부의 제4·10대 백두진 전 총리, 박정희 정부와 국민의 정부의 제11·31대 김종필 전 총리, 문민정부와 참여정부의 제30·35대 고건 전 총리가 있다.
- 국민의 정부 출범 이전까지 출신 지역을 서울특별시로 밝혀왔다고 한다. 이 때문에 의혹과 구설수에 휘말린 적이 있다. # 김대중 정부 출범 이전에는 출신 지역을 서울특별시로 올렸다가 이후 부친의 원적지인 전북으로 고쳐 언급하고 하버드 대학교 박사라는 희소성이 더해져 국민의 정부부터 참여정부까지 승승장구를 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해 인사청문회 당시 최강욱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의하자, 한덕수 후보자는 “(고향을) 물었을 때 단 한번도 다른 곳을 이야기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 어쩌면 편의상 초등학교를 졸업한 지역이나 성장기 및 학창 시절을 겪은 곳을 고향으로 말해오다가 착오가 생긴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한덕수의 중학교, 고등학교 3년 선배인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22]의 말에 따르면 자신의 고향을 의도적으로 숨겼다고 한다. #
-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대통령은 처음이라는 발언을 문제 제기[24]하자, 노무현 전 대통령도 대통령 못 해먹겠다라고 말하지 않았냐고 맞대응하여 세간에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 공교롭게도 한덕수는 노무현 정부의 국무총리이기도 했다.
- 맹성규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자주 대립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한 번은 대정부질의 때 맹성규가 '독도는 우리땅이 맞습니까?'라고 질의하자, 잘못 들었거나 흘려 들었는지 '절대로 아닙니다'라고 답을 하여 세간에 큰 화제가 되었다. # 물론 본인도 바로 실수를 인지하고 '절대로 일본의 영토가 아닙니다'로 고쳐말하긴 했다.
- 기혼이지만 슬하에 자녀가 없다.
- 우연히도 그가 국무총리를 지낸 두 정권의 대통령이 다 탄핵소추를 당했다. 다만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 당시에는 그가 국무총리로 재임 중이지 않았기에 대통령 권한대행을 두 정권에 걸쳐 담당하지는 않았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가결 이후 권한대행이 되자 사태가 사태인지라 해외에서도 주목하게 되었는데, 해외에서는 미치 매코널이나 나이젤 패라지와 외모가 닮았다는 반응이 많다. #
- 윤석열 정부의 첫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봉직했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패배 당시 사의 표명이 반려되는 등 재직을 지속한 끝에 비상계엄 사태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 및 파면되면서 (권한대행 기간을 논외로 하면) 제6공화국 출범 이후 특정 대통령의 임기 내내 중도 교체 없이 끝까지 직을 수행한 최초의 국무총리라는 기록의 주인공이 되었다.[25] 게다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2025년 4월 15일 이후에도 국무총리를 운영하고 있어 함께 재임한 대통령보다 재임기간이 더 긴 국무총리라는 사상 초유 타이틀의 보유자가 되었다. 도중에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이라는 파면 위기에 놓이기도 하였으나 최종 기각되었다.
-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주장에 따르면 "한덕수의 부인은 화가로 그림계의 큰손인데 무속에 너무 많이 심취해 있다"고 "김건희 여사, 전 대통령 장모 최은순 여사와 무속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폭로하기 직전 오랜 인연이자 절친이였던 한덕수에게 허락을 받기 위해 전화를 여러차례 걸었지만 받지 않았다고 한다. 박지원 "한덕수, 굉장한 출세욕…부인이 승진 위해 사주 공부"
- 허정과 함께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을 두 번 역임한 인물이다.
-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이냐는 현역 장병의 질문에 물회라고 답하였다.
- 본인 명의로 현대 제네시스(DH)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허정, 박정희, 최규하에 이어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는 역대 네 번째 현직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이다. 전직 권한대행까지 보면 황교안에 이어 다섯 번째다. 직선제 기준으로 보면 제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던 박정희에 이어 두 번째다.
11. 프로필 사진
파일:한덕수 특허청장.gif | | |
제11대 특허청장 | 제5대 재정경제부장관 | <rowcolor=#fff> 제38대 국무총리 (2007년) |
<bgcolor=#fff> | | <bgcolor=#fff> |
제28대 한국무역협회 회장 (2012년) | <rowcolor=#fff> 제48대 국무총리 (2022년) | 제21대 대통령 후보 (2025년 5월 2일) |
1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808080> | 한덕수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08080,#fff> 생애 | <colbgcolor=#fff,#1c1d1f>생애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 |
가족 | 조부 한규철 · 아버지 한병호ㆍ부인 최아영 | ||
21대 대선 | 제21대 대통령 선거 여러분의 캠프 · 장단점 · 대망론 · 18룡 · 김문수와의 후보 단일화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 | ||
기타 | 총리-여당 당정협력 담화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와 관련된 문서는 틀: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참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808080; border-right: 10px solid #808080" {{{#!wiki style="margin: 0 -2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808080><colbgcolor=#f5f5f5,#2d2f34> 발동 사유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1차)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기각 (2차) |
구성 | 인사 | |
종료 |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1차) 한덕수 국무총리 사퇴 ·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 (2차) | |
타임라인 | ||
<bgcolor=#ddd,#383b40> 제1기 | ||
2024년 | 12월 | |
<bgcolor=#ddd,#383b40> 제2기 | ||
2025년 | 3월 · 4월 · 5월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한덕수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한덕수 참고 | }}}}}}}}}}}} |
{{{#!wiki style="margin-top: -15px; margin-bottom: -15px" |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국무총리 한덕수 | |||
1차장 겸 중앙사고수습본부장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 2차장 겸 범정부대책지원본부장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 | |
제1총괄조정관 | 보건복지부 2차관 박민수 | 제2총괄조정관 |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이한경 | |
| ||||
본부장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 부본부장 | 보건복지부 2차관 박민수 | |
총괄책임관 | 보건의료정책실장 임인택 | 방역총괄반장 | 공공보건정책관 박향[1] | |
사회전략반장 | 대변인 손영래 | |||
| ||||
본부장 | 질병관리청장 지영미 | |||
제1부본부장 | 질병관리청 차장 김현준 | 제2부본부장 | 국립보건연구원장 권준욱 | |
역학조사분석단장 | 위기대응분석관 이상원 | 상황총괄단장 | 감염병위기대응국장 임숙영 | |
환자관리팀장 | 신종감염병대응과장 곽진 | 역학조사팀장 | 역학조사분석담당관 박영준 | |
코로나19 백신예방접종추진단 상황총괄반장 | 기획조정관 배경택 | 예방접종피해조사반장 | 김중곤[2] | |
코로나19 백신수송지원본부장 | 백신수송지원본부장 이대웅[3] | |||
|
한덕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노태우 정부 | 문민정부 | ||||
2대 박운서 | → | 초대 한덕수 | → | 2대 추준석 |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특허청장 (1977~현재)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초대 배상욱 | 제2대 안영철 | 제3대 이상섭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4대 홍성좌 | 제5대 차수명 | 제6대 박홍식 | 제7대 김철수 | 제8대 김태준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9대 안광구 | 제10대 정해주 | 제11대 한덕수 | 제12대 최홍건 | 제13대 김수동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14대 오강현 | 제15대 임내규 | 제16대 김광림 | 제17대 하동만 | 제18대 김종갑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19대 전상우 | 제20대 고정식 | 제21대 이수원 | 제22대 김호원 | 제23대 김영민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24대 최동규 | 제25대 성윤모 | 제26대 박원주 | 제27대 김용래 | 제28대 이인실 |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29대 김완기 |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상공부차관 (1948~1993)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김수학 | 제2대 한통숙 | 제3대 이병호 | 제4대 함덕용 | ||||
<nopad> 이승만 정부 | |||||||
제5대 임정규 | 제6대 윤인상 | 제7대 배응도 | 제8대 김의창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
제9대 김치영 | 제10대 나익진 | 제11대(정무) 김재곤 | 초대(사무) 진의종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
제2대(사무) 박상운 | 제3대(사무) 박충훈 | 제12대 박민기 | 제13대 박충훈 |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4대 김송환 | 제15대 김규민 | 제16대 김정렴 | 제17대 이철승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8대 김우근 | 제19대 김용환 | 제20대 심의환 | 제21대 배상욱 |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22대 최창락 | 제23대 김선길 | 제24대 금진호 | 제25대 김기환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26대 김세진 | 제27대 최호중 | 제28대 홍성좌 | 제29대 허남훈 |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30대 임인택 | 제31대 박용도 | ||||||
동력자원부차관 (1978~1993)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초대 유각종 | 제2대 최동규 | 제3대 이봉서 |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4대 이진설 | 제5대 장상현 | 제6대 강현욱 | 제7대 김시형 | ||||
상공자원부차관 (1993~1994) | |||||||
<nopad> 문민정부 | |||||||
초대 이동훈 | 제2대 박운서 | ||||||
통상산업부차관 (1994~1998) | |||||||
<nopad> 문민정부 | |||||||
제2대 박운서 | 제3대 안광구 | 제4대 강만수 | 제5대 한덕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산업자원부차관 (1998~2005) |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최홍건 | 제2대 오영교 | 제3대 이희범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4대 임내규 | 제5대 김칠두 | 제6대 조환익 | |||||
산업자원부 제1차관 (2005~2008) | |||||||
<nopad> 참여정부 | |||||||
초대 조환익 | 제2대 김종갑 | 제3대 오영호 | |||||
지식경제부 제1차관 (2008~2013) |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임채민 | 제2대 안현호 | 제3대 윤상직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2013~2017)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김재홍 | 제2대 이관섭 | 제3대 정만기 | 제4대 이인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산업통상자원부차관 (2017~2021) |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이인호 | 제2대 정승일 | 제3대 박진규 | |||||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2021~현재)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5대 박진규 | 제6대 장영진 | 제7대 강경성 |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8대 박성택 |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통상교섭본부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1998~2013)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한덕수 | 제2대 황두연 | 제3대 김현종 | 제4대 김종훈 | 제5대 박태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2017~현재)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초대 김현종 | 제2대 유명희 | 제3대 여한구 | 제4대 안덕근 | 제5대 정인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초대 구본영 | 제2대 양수길 | 제3대 한덕수 | 제4대 이경태 | 제5대 권오규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6대 권태신 | 제7대 김중수 | 제8대 허경욱 | 제9대 이시형 | 제10대 윤종원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11대 고형권 | 제12대 안일환 | 제13대 최상대 |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00205c><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205c>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책기획수석비서관 (1994~2003)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박세일 | 제2대 이각범 | 초대 강봉균 | 제2대 김태동 | 제3대 김한길 |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4대 김성재 | 제5대 박지원 | 제6대 한덕수 | 제7대 김진표 | 제8대 최종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책수석비서관 (2003~2004) | 정책기획수석비서관 (2004) | ||
<nopad> 참여정부 | |||||||||
초대 권오규 | 초대 김영주 | ||||||||
국정기획수석비서관 (2008~2010) |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곽승준 | 제2대 박재완 | ||||||||
국정기획수석비서관 (2013~2015) | 정책조정수석비서관 (2015~2017) | ||||||||
<nopad> 박근혜 정부 | |||||||||
초대 유민봉 | 초대 현정택 | 제2대 안종범 | |||||||
국정기획수석비서관 (2022~2023) | (2023~현재) | ||||||||
<nopad> 윤석열 정부 | 폐지 | ||||||||
초대 이관섭 | }}}}}}}}}}}} |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00205c><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205c>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제제1수석비서관 (1968~1979) |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김학렬 | 제2대 정소영 | 제3대 김용환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4대 이경식 | 제5대 이희일 | 제6대 서석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제제2수석비서관 (1968~1979) |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신동식 | 제2대 오원철 | |||||
경제제3수석비서관 (1969~1979) |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장덕진 | 제2대 양윤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제수석비서관 (1979~2003) |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초대 최창락 | 제2대 이경식 | 초대 김재익 | 제2대 사공일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3대 박영철 | 초대 박승 | 제2대 문희갑 | 제3대 김종인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4대 이진설 | 초대 박재윤 | 제2대 한이헌 | 제3대 구본영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4대 이석채 | 제5대 김인호 | 제6대 김영섭 | 초대 김태동 |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2대 강봉균 | 제3대 이기호 | 제4대 한덕수 | 제5대 현정택 | |||
정책수석비서관 (2003~2004) | 정책기획수석비서관 (2004) | |||||
<nopad> 참여정부 | ||||||
초대 권오규 | 초대 김영주 | |||||
경제정책수석비서관 (2004~2008) | ||||||
<nopad> 참여정부 | ||||||
초대 김영주 | 제2대 권오규 | 제3대 윤대희 | 제4대 김대유 | |||
경제수석비서관 (2008~현재) |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김중수 | 제2대 박병원 | 제3대 윤진식 | 제4대 최중경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5대 김대기 | 초대 조원동 | 제2대 안종범 | 제3대 강석훈 |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홍장표 | 제2대 윤종원 | 제3대 이호승 | 제4대 안일환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5대 박원주 | 초대 최상목 | 제2대 박춘섭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50><tablebordercolor=#fff> | 산업연구원 역대 원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초대 정재석 | 제2대 정소영 | 제3대 박성상 | 제4대 사공일 | 제5대 문희화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6대 홍문신 | 제7대 박성상 | 제8대 송희연 | 제9대 김대영 | 제10대 황인정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11대 차동세 | 제12대 이규억 | 제13대 이선 | 제14대 배광선 | 제15대 한덕수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16·17대 오상봉 | 제18대 송병준 | 제19대 김도훈 | 제20대 유병규 | 제21대 장지상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22대 주현 | 제23대 권남훈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조정실장 (1973~1997) |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박승복 | 제2대 이명춘 | 제3대 최창락 | 제4대 서석준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5대 이선기 | 제6대 손수익 | 제7대 이규성 | 제8대 안치순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9대 심대평 | 제10대 윤성태 | 제11대 김시형 | 제12대 강봉균 | |
<nopad> 문민정부 | ||||
제13대 김용진 | 제14대 이환균 | 제15대 이기호 | 제16대 이영탁 | |
국무조정실장 (1998~2008) |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정해주 | 제2대 최재욱 | 제3대 안병우 | 제4대 나승포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5대 김호식 | 제6대 김진표 | 제7대 이영탁 | 제8대 한덕수 | |
<nopad> 참여정부 | ||||
제9대 조영택 | 제10대 김영주 | 제11대 임상규 | 제12대 윤대희 | |
국무총리실장 (2008~2013) |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조중표 | 제2대 권태신 | 제3대 임채민 | 제4대 임종룡 | |
국무조정실장 (2013~현재)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김동연 | 제2대 추경호 | 제3대 이석준 | 제4대 홍남기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5대 노형욱 | 제6대 구윤철 | 제7대 방문규 | 제8대 방기선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재무부장관 (1948~1994)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김도연 | 제2대 최순주 | 제3대 백두진 | 제4대 박희현 | 제5대 이중재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
제6대 김현철 | 제7대 인태식 | 제8대 김현철 | 제9대 송인상 | 제10대 윤호병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박정희 내각 | ||||||
제11대 김영선 | 제12대 백선진 | 제13대 김유택 | 제14대 천병규 | 제15대 김세련 |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6대 황종률 | 제17대 박동규 | 제18대 이정환 | 제19대 홍승희 | 제20대 김정렴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21대 김학렬 | 제22대 서봉균 | 제23대 황종률 | 제24대 남덕우 | 제25대 김용환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26대 김원기 | 제27대 이승윤 | 제28대 나웅배 | 제29대 강경식 | 제30대 김만제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31대 정인용 | 제32대 사공일 | 제33대 이규성 | 제34대 정영의 | 제35대 이용만 | |||||
<nopad> 문민정부 | |||||||||
제36대 홍재형 | 제37대 박재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제기획원장 (1961~1963) |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박정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초대 김유택 | 제2대 송요찬 | 제3대 김현철 | 제4대 김유택 |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5대 유창순 | 제6대 원용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1963~1994)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7대 김유택 | 제8대 장기영 | 제9대 박충훈 | 제10대 김학렬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
제11대 태완선 | 제12대 남덕우 | 제13대 신현확 | 제14대 이한빈 |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15대 김원기 | 제16대 신병현 | 제17대 김준성 | 제18대 서석준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19대 신병현 | 제20대 김만제 | 제21대 정인용 | 제22대 나웅배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23대 조순 | 제24대 이승윤 | 제25대 최각규 | 제26대 이경식 | ||||||
<nopad> 문민정부 | |||||||||
제27대 정재석 | 제28대 홍재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 (1994~1998) | ||||||
<nopad> 문민정부 | |||||||||
초대 홍재형 | 제2대 나웅배 | 제3대 한승수 | 제4대 강경식 | 제5대 임창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재정경제부장관 (1998~2001) |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이규성 | 제2대 강봉균 | 제3대 이헌재 | 제4대 진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 (2001~2008)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초대 진념 | 제2대 전윤철 | 제3대 김진표 | |||||||
<nopad> 참여정부 | |||||||||
제4대 이헌재 | 제5대 한덕수 | 제6대 권오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획예산처장관 (1999~2008)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초대 진념 | 제2대 전윤철 | 제3대 장승우 | 제4대 박봉흠 | ||||||
<nopad> 참여정부 | |||||||||
제5대 김병일 | 제6대 변양균 | 제7대 장병완 | |||||||
기획재정부장관 (2008~2013)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초대 강만수 | 제2대 윤증현 | 제3대 박재완 | 제4대 현오석 |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2013~현재)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현오석 | 제2대 최경환 | 제3대 유일호 | 제4대 김동연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nopad> 차기 정부 | |||||||
제5대 홍남기 | 제6대 추경호 | 제7대 최상목 | 제8대 ○○○ | ||||||
임시정부 재무부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7f 0%, #005ba6 20%, #005ba6 80%, #00467f);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허정 | 곽상훈 | 허정 | 백낙준 | |
박정희 | 최규하 | 박충훈 | 고건 | |
황교안 | 한덕수 | 최상목 | 이주호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24f 0%, #003478 20%, #003478 80%, #00224f); color:#C393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무총리 서리 (1948~2002) | ||||
<nopad> 이승만 정부 | |||||
이윤영 | 신성모 | 백낙준 | 이윤영 | 백두진 | |
<nopad> 허정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김도연 | 최규하 | 박충훈 | 남덕우 | 유창순 | |
<nopad> 전두환 정부 | |||||
김상협 | 진의종 | 노신영 | 이한기 | 김정렬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이현재 | 강영훈 | 노재봉 | 정원식 | 김종필 | |
<nopad> 국민의 정부 | |||||
이한동 | 장상 | 장대환 | 김석수 | ||
국무총리 직무대행 (1951~현재)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허정 | 이갑성 | 백한성 | 신현확 | 신병현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정재석 | 이헌재 | 전윤철 | 이상주 | 이헌재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한덕수 | 권오규 | 윤증현 | 최경환 | 유일호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nopad> 이주호 대행 | |||
홍남기 | 추경호 | 최상목 | 이주호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
초대 장면 | 제2대 양유찬 | 제3대 정일권 | 제4대 장이욱 | 제5대 정일권 |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6대 김정렬 | 제7대 김현철 | 제8대 김동조 | 제9대 함병춘 | 제10대 김용식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11대 류병현 | 제12대 김경원 | 제13대 박동진 | 제14대 현홍주 | 제15대 한승수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16대 박건우 | 제17대 이홍구 | 제18대 양성철 | 제19대 한승주 | 제20대 홍석현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21대 이태식 | 제22대 한덕수 | 제23대 최영진 | 제24대 안호영 | 제25대 조윤제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26대 이수혁 | 제27대 조태용 | 제28대 조현동 | }}}}}}}}} |
한국무역협회 회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2대 김도연 | 제2-4대 이활 | 제4대 임문환 | 제5-6대 최순주 | 제6-7대 강성태 |
제8-14대 이활 | 제17대 김원기 | 제17대 유창순 | 제18대 신병현 | ||
제21대 박용학 | 제26대 이희범 | ||||
제27대 사공일 | 제28대 한덕수 | 제29대 김인호 | 제31대 구자열 | ||
제32대 윤진식 | }}}}}}}}} |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59 제임스 밴 플리트 군인 |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독립운동가 | 1969 이인 법조인·독립운동가 |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 ||
1969 제헌국회의원 154명 | 1969 조동식 교육인 | 1969 곽상훈 독립운동가, 국회의장 | 1970 김수환 추기경 | 1970 백낙준 교육인, 국회의장 | ||
1970 이상백 독립운동가, 사회학자 | 1970 이은상 시인, 역사학자 | 1971 유일한 기업인 | 1973 박두병 기업인 | 1974 박태준 기업인 | ||
1976 박일경 교육인 | 1979 김연수 기업인 | 1979 주요한 문학가, 언론인, 정치인 |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 1980 김홍일 군인, 독립운동가 | ||
1982 권영대 교육인 | 1982 김상만 언론인 | 1985 이숙종 교육인 | 1985 이항녕 법학자 | 1987 이병철 기업인 | ||
1988 권이혁 교육인, 의사 | 1988 정주영 기업인 |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 1991 강영훈 국무총리 | 1991 김병관 언론인 | ||
1994 김호길 교육인 | 1994 고형곤 철학자, 교육인, 정치인 | 1994 문병집 교육인 | 1995 곽윤직 법학자 | 1996 장기려 의사 | ||
1996 윤덕선 의사, 교육인 | 1996 정범모 교육인 | 1997 박성용 기업인 | 1998 고흥문 국회부의장 | 1998 주영하 교육인 | ||
2000 이건희 기업인 | 2001 송건호 언론인 | 2002 김재준 종교인 | 2002 문창모 의학자 | 2002 백낙환 의학자, 교육인 | ||
2004 고병익 역사학자 | 2004 이기백 역사학자 | 2004 유봉식 기업인 |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 ||
2006 정재헌 법조인 | 2007 권영우 교육인 | 2007 장훈 체육인 | 2008 박관용 국회의장 |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 ||
2009 김정수 정치인 | 2010 이영덕 국무총리 | 2010 조용기 종교인 |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 2011 류택형 법조인 | ||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 2012 김평우 법조인 | 2012 정몽구 기업인 | ||
2013 남덕우 국무총리 | 2013 손경식 기업인 | 2013 맹광호 의학자 | 2013 한덕수 국무총리 | 2014 김승호 기업인 | ||
2015 권광중 법조인 | 2016 이근 의사 | 2017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 2017 반기문 UN 사무총장 | 2017 양승태 대법원장 | ||
2017 서용달 경영학자 | 2018 김종필 국무총리 | 2018 노회찬 정치인 | 2018 박재갑 의사 | 2018 이석태 법조인 | ||
2018 조규광 헌법재판소장 |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 2018 정세균 국회의장 | 2019 윤한덕 의사 | 2019 이국종 의사 | ||
2020 이이화 사학자 |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 2020 문희상 국회의장 | 2021 최종태 기업인 | 2022 박병석 국회의장 | ||
2022 리차드 위트컴 군인 | 2023 송창근 기업인 | 2023 김박 기업인 | 2023 자승 종교인 | 2024 이임성 법조인 | ||
2024 이상만 지질학자 | 2024 임희섭 사회학자 | 2024 장석진 언어학자 | 2024 김상주 공학자 | 2024 윤대원 의사, 교육인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FFD918; border-right: 10px solid #FFD918;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 | <colcolor=#D6C94D> 김진표 → 이헌재 → 한덕수 → 권오규 | |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 | 윤덕홍 → 안병영 → 이기준 → 김진표 → 김병준 → 김신일 | |
과학기술부장관 →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 | 박호군 → 오명 → 김우식 | |
통일부장관 | 정세현 → 정동영 → 이종석 → 이재정 | |
외교통상부장관 | 윤영관 → 반기문 → 송민순 | |
법무부장관 | 강금실 → 김승규 → 천정배 → 김성호 → 정성진 | |
국방부장관 | 조영길 → 윤광웅 → 김장수 | |
행정자치부장관 | 김두관 → 허성관 → 오영교 → 이용섭 → 박명재 | |
문화관광부장관 | 이창동 → 정동채 → 김명곤 → 김종민 | |
농림부장관 | 김영진 → 허상만 → 박홍수 → 임상규 | |
산업자원부장관 | 윤진식 → 이희범 → 정세균 → 김영주 | |
정보통신부장관 | 진대제 → 노준형 → 유영환 | |
보건복지부장관 | 김화중 → 김근태 → 유시민 → 변재진 | |
환경부장관 | 한명숙 → 곽결호 → 이재용 → 이치범 → 이규용 | |
노동부장관 | 권기홍 → 김대환 → 이상수 | |
여성가족부장관 | 지은희 → 장하진 | |
건설교통부장관 | 최종찬 → 강동석 → 추병직 → 이용섭 | |
해양수산부장관 | 허성관 → 최낙정 → 장승우 → 오거돈 → 김성진 → 강무현 | |
기획예산처장관 | 박봉흠 → 김병일 → 변양균 → 장병완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50%;" {{{#!folding [ 인물 및 단체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연루 인물 |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지휘부[참조] | |
우두머리 (수괴)[2]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linear-gradient(#f993 55%, #288d2633 45%);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 ||
중요임무 종사[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linear-gradient(#f993 55%, #288d2633 45%);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 ||
모의 참여 지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 ||
지휘부 외 | |||
국방부 내 인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 ||
행정부 등 수사 대상[4]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 ||
선전·선동 혐의 피고발[5]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 |||
관련 인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 ||
윤석열 대통령 변호인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 | ||
관련 단체 | 윤석열 정부 · 대통령실(대통령경호처) · 국민의힘(친윤) · 자유통일당 · 국가정보원 · 검찰청 · 대법원 · 사랑제일교회 · 극우 유튜버 · 윤석열 변호인단 · 충암파 · 용현파 · 반공청년단 · 백골단 국방부(국군방첩사령부 · 수도방위사령부 · 육군특수전사령부 · 정보사령부 · 제1군단(제2기갑여단)) 경찰청(서울특별시경찰청 · 경기도남부경찰청 · 기동본부 · 국회경비대 · 국가수사본부) | ||
관련 둘러보기 틀 | [[틀:윤석열 정부 비상계엄/지휘부|{{{#!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 ||
{{{#!folding [ 각주 ] |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10> 전개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선포 및 해제 ||선포 전 정황 · 햄버거 회동 · 계엄 선포와 해제 ||
해제 이후 2024년 12월
해제 이후 · 1~2주차 · 3주차 · 4주차 · 대통령 대국민 담화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2025년 1월
1주차 · 2주차 · 3주차(윤석열 대통령 체포 & 윤석열 대통령 구속) · 4주차(윤석열 대통령 구속 기소) · 5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2025년 2월
1주차 · 2주차 · 3주차 · 4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2025년 3월
1주차(윤석열 대통령 구속 취소) · 2주차 · 3주차 · 4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3; font-size: 0.88em"
1주차(윤석열 대통령 파면)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3; font-size: 0.88em"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4월 · 5월 · 6월) ·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 ||수사 및 재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3; font-size: 0.88em"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 국방부 조사본부 · 검찰청 특별수사본부 · 국방부 검찰단 ||수사
검찰·군검찰 주요 수사 내역 및 특별검사 수사 요구 · 경찰·공수처·국방부 조사본부 공동조사 및 주요 수사 내역 ·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재판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재판 · 윤석열 대통령 내란우두머리 혐의 재판(공소장)반응 영향 및 평가 반응(국내 반응) · 영향(김건희 여사 특검법, 윤석열 특검) · 평가 시위 탄핵 찬성
2024년 윤석열 탄핵 촉구 집회(전개) · 전국농민회총연맹 트랙터 행진[단발] · 박수영 의원 사무실 점거 농성 사건[단발]탄핵 반대
윤석열 대통령 지키기 국민대회 ·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단발] · 국가인권위원회 점거 사태[단발] · 전국대학생연합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탄핵 심판 탄핵
소추발의심우정 검찰총장 탄핵소추가결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2차) ·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 · 박성재 법무부장관 탄핵소추 · 조지호 경찰청장 탄핵소추폐기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1차)[사유1] · 김용현 국방부장관 탄핵소추[사유2] ·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탄핵소추[사유2] ·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사유2]진행 중 심리 중조지호 경찰청장 탄핵 심판종료 인용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결정문)기각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 박성재 법무부장관 탄핵 심판의혹 및 논란 친윤계 계엄 동조 의혹 · 부정선거 음모론에 바탕한 계엄령 · 총리-여당 당정협력 담화 ·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관련 문서 계엄 이전 명태균 게이트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 · 나무위키 한국군 장성 문서 임시조치 요청 사건 · 2024년 의료정책 추진 반대 집단행동 계엄 이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론 · 내란청산·사회대개혁 비상행동 · 남태령 대첩 · 코리아 디스카운트 · 대한민국 연예계 입국금지 요구 CIA 집단민원 사태 · 구미시 이승환 공연 취소 논란 · 석열산성 · 더불어민주당 내란선동죄 고발 사건 · 전한길 부정선거 음모론 주장 논란 · 계몽령 · 2.13 헌법재판소 폭동 모의 사건 · 키세스단 · 대통령 국민변호인단 · 힘내라 대한민국 · 새로운 대한민국 파면 이후 윤 어게인 · Make Korea Great Again 관련 청원 윤석열 탄핵소추안 즉각 발의 요청 청원 · 윤석열 특검법 제정 촉구 청원 · 국민의힘 해산 청원 · 헌법재판소 판사탄핵에 관한 청원 그 외 특집 프로그램 · 여담 · STOP THE STEAL 관련 둘러보기 틀 [[틀: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윤석열 정부 비상계엄/재판|{{{#!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윤석열 정부 비상계엄/주요 사건|{{{#!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윤석열 정부 비상계엄과 부정선거 음모론|{{{#!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folding [ 각주 ]
[참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f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2] 형법 제87조에서 정한 내란 혐의로 사법부(서울중앙지법)에서 지휘부를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구속함에 따라 동조 제1호인 우두머리(수괴)에 해당하는 인물. 수사기관 영장, 출석요구서, 공소장 등 문서에 내란 우두머리 적시, 형 미확정. 2020년 형법 개정으로 '수괴'에서 '우두머리'라는 순우리말로 변경됨. 국가보안법, 군형법 등은 '수괴' 표현 유지[3] 형법 제87조에 따라 사법부(서울중앙지법)에서 해당 인물들을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를 적용, 구속영장을 발부했거나 검찰에서 중요 내란중요임무종사 공범으로 지목함에 따라 제2호 내란중요임무종사로 기입.[4] 형법 제87조에 따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및 사법부에서 해당 인물들을 내란 혐의로 소환을 통보함. 해당 인물들은 계엄 선포 이전 국무회의에 참석 및 참관 대상인 국무위원 및 정부 인사로서 내란을 방조했는지 여부가 수사 대상임.[5] 형법 제90조 2항에 근거한 내란 선전·선동 피고발인 목록.[단발] 여러번 계속 진행되지 않고 단발성으로 그친 시위.[단발] [단발] [단발] [사유1] 의결정족수 미달로 인한 투표불성립으로 탄핵소추안 자동폐기[사유2] 탄핵소추 대상자의 사임으로 탄핵소추안 폐기[사유2] [사유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f993; border-radius: 4px; font:1em/1 math; font-family:revert[2] 형법 제87조에서 정한 내란 혐의로 사법부(서울중앙지법)에서 지휘부를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구속함에 따라 동조 제1호인 우두머리(수괴)에 해당하는 인물. 수사기관 영장, 출석요구서, 공소장 등 문서에 내란 우두머리 적시, 형 미확정. 2020년 형법 개정으로 '수괴'에서 '우두머리'라는 순우리말로 변경됨. 국가보안법, 군형법 등은 '수괴' 표현 유지[3] 형법 제87조에 따라 사법부(서울중앙지법)에서 해당 인물들을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를 적용, 구속영장을 발부했거나 검찰에서 중요 내란중요임무종사 공범으로 지목함에 따라 제2호 내란중요임무종사로 기입.[4] 형법 제87조에 따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및 사법부에서 해당 인물들을 내란 혐의로 소환을 통보함. 해당 인물들은 계엄 선포 이전 국무회의에 참석 및 참관 대상인 국무위원 및 정부 인사로서 내란을 방조했는지 여부가 수사 대상임.[5] 형법 제90조 2항에 근거한 내란 선전·선동 피고발인 목록.[단발] 여러번 계속 진행되지 않고 단발성으로 그친 시위.[단발] [단발] [단발] [사유1] 의결정족수 미달로 인한 투표불성립으로 탄핵소추안 자동폐기[사유2] 탄핵소추 대상자의 사임으로 탄핵소추안 폐기[사유2] [사유2]
[음력] 1949년 5월 22일.[2]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공고제2022-9호(재산등록사항 공개) 참고.[3] 안양공파(安襄公派) 31세손 ○수(○洙) 항렬.(족보)[4] 여러분의 캠프.[5] 2024헌나9로 인한 직무정지 기간: 2024년 12월 27일 ~ 2025년 3월 24일.[팬카페] [7] 전주국민학교에서 전학.[8] 수석 졸업[9] 박사 학위 논문: EXTERNAL SHOCKS, ADJUSTMENTS AND GROWTH: KOREAN CASE (1984) 1970년대 한국의 외환 시장에서 외부 충격에 대한 대체 조정 메커니즘의 효과를 분석하는 체계적인 틀을 개발한 논문이다. 중기적 관점에서 외부 충격과 조정 메커니즘이 국가의 신용도와 외부 자본 유입 가능성, 경제 효율성에 미치는 피드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특히, 1970년대의 외부 충격, 고저 금리에 따른 조정 정책, 수입 자유화 및 외채와 신용도 변화에 따른 민간 대출자의 민감도를 고려하여 대체 조정 메커니즘의 효과를 시뮬레이션 분석하였다.[10] 서울특별시 종로구 도렴동 소재의 종교교회 원로권사이다. #[11] 출처[12] 출처[13] 한덕수는 캠프 측 인사를 통해 21대 대선 후보 등록 전날인 2025년 5월 9일까지 국민의힘의 김문수 후보와 단일화를 마무리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며 단일화 룰과 관련해서는 국민의힘에서 제시하는 방안을 따를 것임을 피력했다.[14] 現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직무정지기간] 2024년 12월 27일 ~ 2025년 3월 24일.[16] 한덕수가 통상산업부차관을 지낼 때 이창양 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통산부 서기관이었고, 재정경제부장관을 지낼 때 추경호 전 경제부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는 재경부 과장이었다.[17] 당시 그가 자주 쓰던 말이 '우문현답'으로,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 는 의미였다.[18] 한덕수가 박지원의 대정부질문 설전을 마치고 나온 티키타카. 둘은 김대중 정부 때 같이 합을 맞췄으며, 박지원이 삼청동으로 자기를 한번 초청하라 하자 한덕수가 꺼낸 말이다. 이에 박지원이 국정원장은 외부인사를 잘 안부른다하자 "근데 거기에 가봤다는 기자들이 너무 많더라구요."라고 차분하게 박지원을 공격하니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웃음소리와 함께 박지원이 당황한듯 반박을 하는 것이 킬링포인트. 안동MBC 유튜브 영상 기준 조회수 110만회를 넘겼다.[19] 하버드 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 정무직 공무원(국무총리)[21] 전임자 윤석열의 탄핵 인용으로 인한 파면에 따른 궐위로 인한 선거.[22] 한덕수와 달리 고향은 현재 중국 흑룡강성이다.[23] 최상목 전 부총리는 레드로 희화화됐다.[24] 어차피 제6공화국의 모든 대통령들은 전부 단임제인데, 박정희처럼 5선이라도 할 것이냐는 후문.[25] 윤보선의 경우 제2공화국은 의원내각제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국무총리를 중도교체할 권한이 없다. 그럼에도 과도정부의 허정에서 장면 전 총리가 임명되었고 5.16 이후에도 '내각수반'이라는 이름으로 장도영, 송요찬이 총리 역할을 했다. 물론 실권은 박정희 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가지고 있어서 얼굴마담 수준이긴 했다. 제6공화국 이전에는 신현확 전 총리가 최규하 전 대통령 임기 내내 총리직을 수행했다. 다만 1980년 5월부터는 박충훈 전 재무부장관이 대행을 했다. 엄밀히 따지면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하룻동안 총리직을 유지했지만, 원래 전 정권의 총리가 신정부 출범 이후에도 며칠 있다가 교체되는 것이 관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