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2 10:15:46

고향 세탁

1. 개요2. 고향세탁을 하는 까닭
2.1. 고향의 인지도가 낮음2.2. 출생지와 성장기 연고지의 불일치2.3. 고향의 행정구역이 바뀐 경우
2.3.1. 고향이 없어진 경우
2.4. 고향에 대한 혐오감2.5.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2.6. 정치적 목적

1. 개요

자신의 실제 고향을 숨기고 다른 지역을 자기 고향이라고 밝히는 행위를 가리킨다. "돈세탁"과 비슷한 개념으로 나온 신조어다.

2. 고향세탁을 하는 까닭

2.1. 고향의 인지도가 낮음

2023년 현재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는 총 226개로, 어지간한 수준의 지리덕후가 아닌 이상 상당수의 평범한 사람들은 몇몇 유명한 지역밖에 알지 못하며 잘 쳐줘도 자기가 사는 곳 인근 지역 정도만 안다. 그렇다보니 대학 진학이나 취업 등의 이유로 자신의 근거지와는 동떨어진 곳에 자리를 잡게 되었을 때 고향 얘기를 하게 되면 인지도가 낮은 지역일 경우 '거기가 어딘데?'라는 말을 항상 듣게 되니 자기 출신지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에게 언급 해야 할 경우 귀차니즘으로 인해 고향 인근의 더 큰 도시를 지칭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 가령 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로 간 경기도 광주시 출신 사람이 고향 얘기가 나올 때마다 대다수가 광주하면 광주광역시를 연상하지 경기도 광주시는 잘 모르기 때문에 '용인 근처' 혹은 '서울 근처 어디쯤' 식으로 부연설명이 붙어야 하고, 만나는 사람마다 그런 식으로 대화가 이어지다 보면 나중에는 귀차니즘이 몰려와서 그냥 '용인', '서울'이라고 대충 말하게 된다. 그러다 어쩌다 진짜 서울, 용인 사람이나 그 쪽 지리를 잘 아는 사람을 타지에서 만나게 되면 졸지에 고향세탁을 한 것이 되어버리는 셈.

2.2. 출생지와 성장기 연고지의 불일치

고향(故鄕)
1. 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곳.
2. 조상 대대로 살아온 곳.
3. 마음속에 깊이 간직한 그립고 정든 곳.

흔히 고향을 출생지와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고향의 사전적 정의로도 알 수 있지만 자신이 자라온 곳 역시 고향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모두가 다 출생지=연고지가 아니기에 자신이 자라온 곳을 고향으로 여기는 것은 고향세탁이 아닌데 고향세탁으로 오해받을 수 있다. 보통은 출생지는 다르지만 어렸을 때 이사를 가버려서 출생지에 대해서는 기억이 거의 남아있지 않고 자신이 성장기를 보냈던 곳을 고향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더 많다.

그리고 주로 도시세가 미약한 지역의 경우 통학, 회사업무, 쇼핑 등의 경제활동을 주변에 있는 더 큰 도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신의 삶에 영향을 많이 끼친 곳을 고향이라고 여기는 경우도 적지 않다.

2.3. 고향의 행정구역이 바뀐 경우

자신의 고향이 인근의 다른 지역으로 편입되어서 고향이 어디인지 말하기 애매한 경우도 존재한다.

2.3.1. 고향이 없어진 경우

한국은 특히나 간척사업,관개사업으로 인해 지형변화가 많기 때문에 고향의 행정구역 자체가 소멸해버리는 케이스도 존재한다. 댐이 건설되어 수몰된 지역이 대표적이고, 자연재해나 인재로 고향이 박살나 아예 없어진 케이스도 존재하며 극단적인 인구유출로 인해 자연소멸된 케이스도 있다.

또한 한국은 6.25 전쟁으로 인해 남북분단이 되어 휴전선 이북이 고향인 경우 상당부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바뀌면서 고향이 사라진 실향민이 아직 남아있다. 이제 분단된지 70년이 넘다보니 진짜 실향민은 대부분 노령으로 사망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이 해당된다.

극단적인 경우는, 아예 국가가 망해서 고향을 부를 수 없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베트남 전쟁으로 남베트남이 패망해 보트 피플이 되어 타국에 정착한 케이스도 존재한다.

2.4. 고향에 대한 혐오감

성장기 시절에 고향혐오증이 있는 부모나 고향혐오증이 있는 주변 고향사람들에게서 고향이나 부모고향을 비하하는 언어폭력, 아동학대를 많이 겪는 경우 자신 또는 부모의 고향을 혐오하는 증세를 보인다고 한다.

2.5.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

과거 지역주의가 만연하던 시절에는 공무원 임용이나 사기업 취업 등에 전라도 출신이면 불리한 경우가 많아서 이런 차별을 피하기 위해 고향을 수도권으로 속이는 경우도 왕왕 있었다. 조정래의 소설 한강에서 서울사람들이 '하와이' 운운하며 호남 출신을 차별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아래는 폐간된 '야화'라는 소규모 월간잡지사에 실렸던 글이다. 조영암[2]이라 하는 사람이 기고했던 글이였다. 결국 공보부는 1959년 6월 10일 “야화”에 대한 판매금지를 내리게 된다.[3]

파일:1153A9354CCE870F73A53A.jpg

이외 자기 고향이 시골이나 소도시일 경우 촌구석에서 왔다며 비하하거나 불이익을 주는 경우가 있어서 인근 대도시로 말하는 경우도 있다.

2.6. 정치적 목적

주로 인터넷상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일로 특정 지역에서 주로 나타나는 정치적 주장을 말하고 누가 묻지도 않았는데 자기 고향은 보는 사람이 연상하는 지역과는 반대측 주장을 주로 하는 지역을 쓰는 행위다. 물론 실제 고향이 탄로나면 만천하의 비웃음거리로 전락한다. 이런 사례에서 비롯된 말이 바로 XXX 자택에서 검거

그외 정치가가 자신이 출마하는 지역에서 득표율을 높이기 위해 고향세탁을 하기도 한다.

다음 사례는 고향세탁을 한 경우는 아니나 정적의 공격으로 고향세탁 논란에 휘말린 경우이다.

[1] 친동생인 유경촌 주교는 서울 출생.[2] 강원도 고성군 출생[3] 1959년 초 이 잡지는 "서울 시내 처녀 60퍼센트도 안된다."는 뚱딴지같은 기사를 실어 한바탕 소동을 일으킨 끝에 폐간 처리되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