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18:27:30

이호승(관료)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00205c><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205c>
파일:대한민국 대통령실 흰색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2003~2008)
<nopad> 참여정부
초대
이정우
제2대
박봉흠
제3대
김병준
<nopad> 참여정부
제4대
권오규
제5대
변양균
제6대
성경륭
대통령실 정책실장 (2009~2013)
<nopad> 이명박 정부
초대
윤진식
제2대
백용호
제3대
김대기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2017~2022, 2023~현재)
<nopad> 문재인 정부
초대
장하성
제2대
김수현
제3대
김상조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4대
이호승
초대
이관섭
제2대
성태윤
}}}}}}}}}}}}
이호승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00205c><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205c>
파일:대한민국 대통령실 흰색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제제1수석비서관 (1968~1979)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김학렬
제2대
정소영
제3대
김용환
<nopad> 박정희 정부
제4대
이경식
제5대
이희일
제6대
서석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제제2수석비서관 (1968~1979)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신동식
제2대
오원철
경제제3수석비서관 (1969~1979)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장덕진
제2대
양윤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제수석비서관 (1979~2003)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초대
최창락
제2대
이경식
초대
김재익
제2대
사공일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3대
박영철
초대
박승
제2대
문희갑
제3대
김종인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4대
이진설
초대
박재윤
제2대
한이헌
제3대
구본영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4대
이석채
제5대
김인호
제6대
김영섭
초대
김태동
<nopad> 국민의 정부
제2대
강봉균
제3대
이기호
제4대
한덕수
제5대
현정택
정책수석비서관 (2003~2004) 정책기획수석비서관 (2004)
<nopad> 참여정부
초대
권오규
초대
김영주
경제정책수석비서관 (2004~2008)
<nopad> 참여정부
초대
김영주
제2대
권오규
제3대
윤대희
제4대
김대유
경제수석비서관 (2008~현재)
<nopad> 이명박 정부
초대
김중수
제2대
박병원
제3대
윤진식
제4대
최중경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5대
김대기
초대
조원동
제2대
안종범
제3대
강석훈
<nopad> 문재인 정부
초대
홍장표
제2대
윤종원
제3대
이호승
제4대
안일환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5대
박원주
초대
최상목
제2대
박춘섭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정부상징.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기획재정부 제1차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재무부차관 (1948~1994)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장희창
제2대
김유택
제3대
박희현
제4대
강성태
<nopad> 이승만 정부
제5대
김영찬
제6대
윤인상
제7대
천병규
제8대
오림근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허정 내각 <nopad> 장면 내각
제9대
박종식
제10대
김용갑
제10대(사무)
김용갑
초대(정무)
서정귀
김재순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박정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제11대
이한빈
제12대
정인환
제13대
김정렴
제14대
오범식
<nopad> 박정희 정부
제15대
고범준
제16대
서봉균
제17대
이호범
제18대
민영훈
<nopad> 박정희 정부
제19대
정소영
제20대
이재설
제21대
김원기
제22대
김용환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제23대
최각규
제24대
남상진
제25대
조충훈
제26대
박봉환
<nopad> 전두환 정부
제27대
정인용
제28대
강경식
제29대
김흥기
제30대
이기욱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31대
주병국
제32대
정영의
제33대
이형구
제34대
이동호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35대
진념
제36대
이수휴
제37대
백원구
제38대
김용진
경제기획원차관 (1961~1994)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박정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송정범
제2대
차균희
제3대
김학렬
제4대
김태동
<nopad> 박정희 정부
제5대
장예준
제6대
이재설
제7대
최각규
제8대
장덕진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제9대
서석준
제10대
정재석
제11대
이선기
제12대
서석준
<nopad> 전두환 정부
제13대
최창락
제14대
정인용
제15대
김흥기
제16대
문희갑
<nopad> 노태우 정부
제17대
이형구
제18대
이진설
제19대
진념
제20대
강현욱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21대
한갑수
제22대
김영태
제23대
한이헌
제24대
강봉균
재정경제원차관 (1994~1998)
<nopad> 문민정부
초대
이석채
제2대
이환균
제3대
임창열
제4대
강만수
재정경제부차관 (1998~2005)
<nopad> 국민의 정부
초대
정덕구
제2대
엄낙용
제3대
이정재
제4대
김진표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5대
윤진식
제6대
김광림
제7대
박병원
재정경제부 제1차관 (2005~2008)
<nopad> 참여정부
초대
박병원
제2대
김석동
기획예산처차관 (1999~2008)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초대
최종찬
제2대
김병일
제3대
박봉흠
제4대
변양균
<nopad> 참여정부
제5대
장병완
제6대
정해방
제7대
반장식
기획재정부 제1차관 (2008~현재)
<nopad> 이명박 정부
초대
최중경
제2대
김동수
제3대
허경욱
제4대
임종룡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5대
신제윤
제6대
추경호
제7대
주형환
제8대
최상목
<nopad> 문재인 정부
제9대
고형권
제10대
이호승
제11대
김용범
제12대
이억원
<nopad> 윤석열 정부
제13대
방기선
제14대
김병환
제15대
김범석
}}}}}}}}}

파일:청와대 흰색 로고.svg 대통령비서실 일자리기획비서관
문재인 정부
신설 초대
이호승
2대
황덕순
}}} ||
<colbgcolor=#082e59><colcolor=#fff> 문재인 정부 제4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이호승
李昊昇 | Lee Ho-seung
파일:이호승실장.jpg
출생 1965년
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청암리 입암마을[1]
거주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상록마을 라이프1단지
재임기간 제10대 기획재정부 제1차관
2018년 12월 15일 ~ 2019년 6월 21일
문재인 정부 제3대 경제수석비서관
2019년 6월 21일 ~ 2021년 3월 28일
문재인 정부 제4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2021년 3월 29일 ~ 2022년 5월 9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82e59><colcolor=#fff> 학력 광주동신고등학교 (졸업 / 14회)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 / 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석사)
조지아 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 석사)[2]
병역 육군 중위 전역
경력 제32회 행정고시 합격
재정경제부 인력개발과장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실 행정관 (참여정부)
재정경제부 경제분석과장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
기획재정부 종합정책과장
국제통화기금 상임이사
기획재정부 정책조정심의관
기획재정부 미래사회정책국장
기획재정부 미래경제전략국장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대통령비서실 일자리기획비서관 (문재인 정부)
제10대 기획재정부 제1차관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문재인 정부)
제4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문재인 정부)
}}}}}}}}}

1. 개요2. 생애3. 논란 및 사건사고
3.1. 봄비 발언 논란3.2. 국회 국정감사 경제성장률 답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무직 공무원.

문재인 정부에서 비서관을 시작으로 기재부 1차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에 이어 장관급의 정책실장까지 오르며 문재인 정부 5년 임기를 함께했다.

2. 생애

1965년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청암리 입암마을에서 태어나, 1983년 광주동신고등학교와 1987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88년에 제32회 행정고시에 합격, 공직에 입문하였다. 주로 거시경제 정책 분야에서 일해왔다. 국제통화기금(IMF) 선임자문관,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을 거쳤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대통령비서실에 신설한 일자리수석실에서 일자리기획비서관을 맡았고, 2018년 12월 14일 기획재정부 제1차관에 발탁되었다. 그로부터 반년 후인 2019년 6월 21일, 경제수석비서관이 되면서 청와대로 복귀했다. #

경제수석 임명 후 첫 브리핑에서 "세계경제 여건이 어렵고, 하방위험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중책을 맡게 되어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우선 투자‧소비 등 내수와 민생 활력을 높이면서 대내외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최우선 책무"라고 밝혔다. #

2019년 10월 13일, 청와대 브리핑에서 "위기를 너무 쉽게 얘기하는 것에 대해서는 무책임하다고 생각한다. 경제 상황을 나쁘게 얘기하면 사람들도 지출을 줄이고 결국 진짜 경제가 나빠진다"며, 경제학자들을 겨냥해 "특히 경제전문가라는 분들이 아무 책임감 없이, 본인은 아무 책임 없다는 듯이 쉽게 얘기해서는 안된다"고 발언했다. # 이에 대해 전직 통계청장인 이인실 한국경제학회장이 "경제학자들은 위기를 조장하지 않고, 또 조장하고 싶어 하지도 않는다. 경제학자들은 양치기 소년이 아니다"라고 이 수석의 발언을 반박했다. #

2020년 5월 14일, 21대 총선 더불어민주당 초선 당선인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적자국채를 발행해서라도 성장률을 지탱하는 것이 재정건전성을 지키는 방법"이라고 강연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채무비율은 GDP 대비 국가채무이기 때문에, 분모인 GDP가 감소하면 그 비율은 상승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

2021년 3월 29일, 김상조 정책실장이 전셋값 14% 인상 논란으로 경질되면서, 그의 후임으로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에 임명되었다.

2021년 8월 26일,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OECD 평균 집값 상승률이 7.7%인데 한국은 5.4%에 불과하다. 다만 이를 설명한다고 해도 국민들께서 쉽게 납득 못 하는 상황"이라고 발표하였다. 이어서 대한민국은 아시아에서 언론의 자유가 가장 높은 나라, 발 빠른 비상대응체제 전환 및 국가적 역량 집중으로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한 유일한 나라라고 자평하였다.#

2022년 5월 10일,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며 야인으로 돌아갔다.[3]

3. 논란 및 사건사고

3.1. 봄비 발언 논란

취업자 증가 수 10만 명이 무너진 2018년 5월 고용통계에 대해 "고용 통계는 매달 15일이 속한 일주일을 기준으로 잡는데 5월에는 13~19일이다. 봄비 치고는 꽤 많은 양의 비가 계속 내렸고, 전국적으로 4일 정도 비가 왔다"라고 날씨 탓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 이에 대해 김동연 당시 경제부총리는 "기저 효과나 계절적 요인 등을 얘기하면 국민이 이해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정부가 변명을 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 # # # # #

3.2. 국회 국정감사 경제성장률 답변

파일:송언석 이호승 1.jpg
파일:송언석 이호승 2.jpg
파일:송언석 이호승 3.jpg
파일:송언석 이호승 4.jpg
파일:송언석 이호승 5.jpg

청와대 경제수석 시절 국회운영위원회에서 열린 청와대 국정감사에서 송언석 자유한국당 의원[4]이 이호승 수석에게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얼마냐고 질의를 했는데, 이 수석이 질의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하고 시간만 계속 끌자, 송 의원이 이 수석을 강하게 꾸짖었다. # # # # #


[1] #[2] MBA 과정으로 전문 석사이다.[3] 윤석열 정부의 출범과 동시에 정책실도 폐지되었다.[4] 행시 29회 출신으로 이호승 수석의 기획재정부 선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