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18:10:44

김홍일(군인)

파일:정부상징.svg
파일:외교부장관.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외무부장관 (1948~1998)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허정 내각
초대
장택상
제2대
임병직
제3대
변영태
제4대
조정환
제5대
허정
<nopad> 장면 내각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제6대
정일형
제7대
김홍일
제8대
송요찬
제9대
최덕신
제10대
김용식
<nopad> 박정희 정부
제11대
정일권
제12대
이동원
제13대
정일권
제14대
최규하
제15대
김용식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16대
김동조
제17대
박동진
제18대
노신영
제19대
이범석
제20대
이원경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21대
최광수
제22대
최호중
제23대
이상옥
제24대
한승주
<nopad> 문민정부
제25대
공로명
제26대
유종하
외교통상부장관 (1998~2013)
<nopad> 국민의 정부
제27대
박정수
제28대
홍순영
제29대
이정빈
제30대
한승수
제31대
최성홍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32대
윤영관
제33대
반기문
제34대
송민순
제35대
유명환
제36대
김성환
외교부장관 (2013~현재)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37대
윤병세
제38대
강경화
제39대
정의용
제40대
박진
제41대
조태열
조선 예조판서 · 대한제국 외부대신 · 임시정부 외무부장 }}}}}}}}}
역임 직위 및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983년 국방부 선정 6.25 전쟁 4대 영웅
월튼 워커 더글라스 맥아더 김홍일 김종오

파일:태극무공훈장 약장.png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태극무공훈장 부장.pn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1951
김용식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김용배
육군준장
1951
박노규
육군준장
1951
김백일
육군중장
1951
김홍일
육군중장
1951
함준호
육군중장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1951
최용남
해병소장
1951
김성은
해병중장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1952
이형근
육군대장
1951
권동찬
육군준장
1952
김종오
육군중장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1953
장덕창
공군중장
1953
최용덕
공군중장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1953
김교수
육군대위
1953
김한준
육군대위
1953
김용배
육군대장
1953
민기식
육군대장
1953
임충식
육군대장
1953
한신
육군대장
1953
김점곤
육군소장
1953
이성가
육군소장
1953
이용문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1953
김동빈
육군중장
1953
김종갑
육군중장
1953
백인엽
육군중장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1953
유재흥
육군중장
1953
최영희
육군중장
1953
함병선
육군중장
1953
최치환
총경
1954
김만술
육군대위
1954
허봉익
육군대위
1954
김경진
육군중령
1954
김웅수
육군소장
1954
송석하
육군소장
1954
엄홍섭
육군소장
1954
임선하
육군소장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1954
김옥상
육군일병
1954
조재미
육군준장
1954
안낙규
육군중사
1954
박병권
육군중장
1954
이응준
육군중장
1954
이준식
육군중장
1954
장도영
육군중장
1954
최석
육군중장
1954
최창언
육군중장
1954
박옥규
해군중장
1954
김석범
해병중장
1955
김창룡(군인)
육군소장
1955
정긍모
해군중장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1960
미군무명용사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1961
국군무명용사
-
1964
박정희
대통령
1966
이종세
육군상사
1966
강재구
육군소령
1966
이인호
해병소령
1967
송서규
육군대령
1967
채명신
육군중장
1967
지덕칠
해군중사
1967
정경진
해병대위
1967
신원배
해병소위
1968
최규식
경무관
1968
이익수
육군준장
1968
최범섭
육군중령
1970
이세호
육군중장
1972
이무표
육군대위
1972
임동춘
육군대위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1980
전두환(취소)
육군대장
2002
장철부
육군중령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2011
조달진
육군소위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2015
헥터 카페라타
미 해병대일병
2018
콘라도 디 얍
필리핀 육군대위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장면 내각
초대
신석우
제2대
이범석
제3대
김홍일
제4대
백선엽
<nopad> 박정희 정부
제5대
최용덕
제6대
김신
제7대
김계원
제8대
옥만호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9대
김종곤
제10대
김상태
제11대
한철수
제12대
박노영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0; border-right: 10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외무부장관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000> 김홍일송요찬최덕신김용식
내무부장관 한신박경원
재무부장관 백선진김유택천병규김세련황종률
법무부장관 고원증조병일장영순민복기
국방부장관 장도영송요찬박병권김성은
문교부장관 문희석김상협박일경이종우
건설부장관 박기석신태환박임항조성근
농림부장관 장경순류병현
상공부장관 정래혁유창순박충훈김훈
보건사회부장관 장덕승정희섭
교통부장관 김광옥박춘식김윤기
체신부장관 배덕진김장훈
공보부장관 심흥선오재경이원우임성희
내각사무처장 김병삼이석제 }}}
}}}}}}}}}


파일:신민당 로고타입(71-80).png 총재 및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4대
유진오
제5대
유진산
권한대행·제6대
김홍일
제7대
유진산
권한대행
정일형
제8대
유진산
권한대행
김의택
제9대
김영삼
권한대행
이충환
제10대
이철승
제11대
김영삼
직무대행
정운갑
제11대(복귀)
김영삼
권한대행
이민우
}}}}}}}}}}}}

파일:대한민국재향군인회 심볼.svg
대한민국재향군인회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백홍석
제2대
박승훈
제3·4대
신태영
제5대
김일환
제6대
이선근
제7대
이대영
제8대
이형근
제9대
김홍일
제10대
김성은
제11·12대
이성호
제13-17대
김일환
제18-21대
이맹기
제22대
김종환
제23대
백석주
제24대
최경록
제25·26대
소준열
제27·28대
장태완
제29·30대
이상훈
제31·32대
박세직
제33·34대
박세환
제35대
조남풍
제36대
김진호
제37대
신상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0522D, #D2691E 20%, #D2691E 80%, #A0522D); color: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4cd4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81818; margin:-6px -1px -11px"
군사혁명위원회 위원장
장도영
✯✯✯
군사혁명위원회 부위원장
박정희
✯✯
군사혁명위원회 위원
김종오
✯✯✯
박임항
✯✯✯
김신
✯✯✯
이성호
✯✯✯
김성은
✯✯✯
정내혁
✯✯
이주일
✯✯
한신
✯✯
유양수
✯✯
한웅진
최주종
김용순
채명신
김진위
김윤근
장경순
송찬호
문재준
❁❁❁
박치옥
❁❁❁
박기석
❁❁❁
손창규
❁❁❁
유원식
❁❁❁
정세웅
❁❁❁
오치성
❁❁❁
박창암
❁❁❁
길재호
❁❁
옥창호
❁❁
박원빈
❁❁
이석제
❁❁
군사혁명위원회 고문
김홍일
✯✯✯
김동하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8940><tablebgcolor=#008940>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이형근
2대
원용덕
3대
정일권
4대
송호성
5대
김백일
6대
최덕신
7대
김홍일
8대
이준식
9대
안춘생
10대
김종오
11대
박병권
12대
장창국
13대
백남권
14대
이한림
15대
강영훈
16대
김용배
17대
박중윤
18대
정래혁
19대
이세호
20대
김희덕
21대
심흥선
22대
최세인
23대
최우근
24대
정승화
25대
백석주
26대
차규헌
27대
김복동
28대
최연식
29대
황인수
30대
지일환
31대
최문규
32대
장준익
33대
민병돈
34대
이필섭
35대
임인조
36대
김정헌
37대
장성
38대
김정남
39대
장창규
40대
한승의
41대
오남영
42대
박준근
43대
김충배
44대
김선홍
45대
임충빈
46대
김현석
47대
정승조
48대
이봉원
49대
박종선
50대
박남수
51대
고성균
52대
양종수
53대
최병로
54대
김완태
55대
정진경
56대
김정수
57대
강창구
58대
전성대
59대
권영호
60대
정형균
61대
소형기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60대, 61대: 대령, 준장, 소장 / 14대~59대: 중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ea2>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4ea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김홍일
2대
김백일
3대
백선엽
4대
이형근
5대
김종오
6대
전부일
7대
김익렬
8대
장창국
9대
양국진
10대
김용배
11대
최석
12대
박임항
13대
임부택
14대
김익렬
15대
문형태
16대
이상철
17대
김상복
18대
심흥선
19대
전부일
20대
김재명
21대
최우근
22대
박희동
23대
양봉직
24대
이희성
25대
황영시
26대
김윤호
27대
이기백
28대
백운택
29대
박희도
30대
최세창
31대
류승국
32대
문영일
33대
이필섭
34대
이병태
35대
김상준
36대
조성태
37대
김척
38대
박영익
39대
강신육
40대
정중민
41대
오현구
42대
김선홍
43대
임충빈
44대
장광일
45대
황중선
46대
권오성
47대
최종일
48대
모종화
49대
엄기학
50대
김용우
51대
서욱
52대
안영호
53대
황대일
54대
안병석
55대
이두희
56대
강호필
57대
주성운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광복회 로고 가로형.jpg광복회
역대 회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이갑성
제2대
이화익
제3대
조시원
제4대
안춘생
제5대
박시창
제6·7대
김홍일
제8대
김상길
제9대
유석현
제10·11대
이강훈
제12대
김승곤
제13대
권쾌복
제14대
윤경빈
제15대
장철
제16대
김우전
제17대
김국주
제18대
김영일
제19·20대
박유철
제21대
김원웅
제22대
장호권
제23대
이종찬
}}}}}}}}}

}}} ||
대한민국 제7대 외무부장관
김홍일
金弘壹 | Kim Hong-il
파일:김홍일 장군.jpg
<colbgcolor=#003764><colcolor=white> 출생 <colbgcolor=#fff,#1f2023>1898년(광무2) 9월 23일
평안북도 용천군 양하면 오송동
(現 평안북도 룡천군 오흥리)[1]
사망 1980년 8월 8일 (향년 81세)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2유공자묘역 10호
본관 김녕계 김해 김씨[2]
일서(逸曙)·산남(山南)
재임기간 제7대 외무부장관
1961년 5월 21일 ~ 1961년 7월 21일
링크 사단법인김홍일장군기념사업회 홈페이지
기념사업회 인스타그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white> 부모 아버지 김진건
형제자매 형 김홍익 외 1명
배우자 최서경
자녀 3남[3]
학력 오산학교 (졸업)
구이저우 군관학교 (졸업)
후난 육군실시학교 (산포병과 / 졸업)
중화민국 육군대학 특별반 (졸업)
육군보병학교 (졸업)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 3기)
종교 가톨릭(세례명:요한)
의원 선수 2
의원 대수 7, 8
경력 경신학교 교사
명동중학교 교사
국민혁명군 중장
외무부 장관
신민당 당수
광복회 회장
상훈 건국공로훈장 단장[4] 수훈 (1962년 수훈)
을지무공훈장 수훈
태극무공훈장 수훈
군사 경력
임관 귀주강무학교 (기수 불명)
육군사관학교 (특7기)
복무 중화민국 구이저우 검계군벌군
1919년 ~ 1920년
대한의용군
1920년 ~ 1922년
극동 공화국 인민혁명군
1921년 ~ 1922년
국민혁명군
1921년 ~ 1947년
한국광복군
1945년 5월 ~ 1945년 11월
대한민국 육군
1948년 ~ 1951년
최종 계급 중장 (국민혁명군 육군)
참장 (한국 광복군)
중장 (대한민국 육군)
주요 보직 대한의용군 제3중대장
대한의용군 사령관
극동 공화국 인민혁명군 한인특립보병대 사령관
중화민국 군사위원회 군정부 군수설계위원
국민혁명군 19집단군 참모처장
중화민국 지식청년군 참모처장
한국광복군 사령부 한인 참모장
중화민국 한교사무처장
대한민국 육군 시흥지구전투사령부 사령관(제1군단 초대 군단장)
대한민국 육군종합학교장(육군사관학교장)
참전 한국독립운동
2차 호법운동
러시아 내전
국민혁명
국민당의 1차 북벌
국민당의 2차 북벌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국공내전
6.25 전쟁
}}}}}}}}}
1. 개요2. 생애3. 평가4. 저서5. 사단법인 김홍일장군기념사업회6. 수훈 내역7. 연보8. 선거 이력9. 기타
9.1. 대중매체에서
10. 관련 문서11. 출처12. 둘러보기

1. 개요

나라를 사랑하고, 분명하게 책임을 완수하며, 죽어도 명예를 지켜라.
김홍일
助人快樂之本
남을 돕는 것이 기쁨의 근본이다.
해은공가훈[5]

대한민국독립운동가이자 군인, 정치인.

초명은 홍일(弘日)이며, 중국어 이름으로는 왕웅(王雄)·왕일서(王逸曙)·왕부고(王復高) 등을 썼다. 군에서의 최종 계급은 대한민국 육군 중장이다.

구한말에 태어나 국권 피탈 직후인 1910년대 무장투쟁 시기부터 광복 때까지 수십 년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협력하며 무장독립운동을 직간접적으로 이끈 인물이다. 동시에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군인으로서 국민당의 중국 통일에도 일익을 담당했고 중일전쟁에서는 최전선에서 중국국민당군을 이끌고 일본의 침략에 맞섰다. 6.25 전쟁에서는 초반에 붕괴된 국군을 성공적으로 수습하고 북한군의 선봉을 일주일 간이나 막아내어 대한민국을 구원한 전쟁영웅이다.

평생 조국을 위해 헌신하였으며 그 활동 범위가 만주, 러시아시베리아부터 중국 강남, 한반도까지 사실상 동아시아 전역을 아우른다. 6.25 전쟁 이후에는 주 중화민국 대사,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기도 했으나 박정희의 민정 참여, 한일협정 체결 등에 반대하면서 정계에 투신해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이러한 삶 덕에 항일 독립투사 · 반공 참전용사 · 반독재 민주화 운동가의 정체성을 모두 지닌, 굴곡진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보기 드문 유공자로 평가받고 있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홍일(군인)/생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홍일(군인)/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홍일(군인)/생애#|]][[김홍일(군인)/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0000003292_002_20170411215232156.jpg
생전의 모습

3.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홍일(군인)/평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홍일(군인)/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홍일(군인)/평가#|]][[김홍일(군인)/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저서

5. 사단법인 김홍일장군기념사업회

김홍일장군기념사업회는 독립·호국·민주를 아우르는 큰 업적을 남긴 김홍일 장군의 뜻을 기리기 위해 2024년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기념사업을 전개할 계획입니다.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 남겨놓은 김홍일 장군의 업적에 대해 기념사업회가 감히 더 보태거나 뺄 것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김홍일 장군의 정대광명(正大光明) 애국애민(愛國愛民)의 뜻을 널리 확산시키는 것이 우리의 도리이자 의무입니다.

홈페이지

2024년 2월 발족하였다. 백범김구선생의 손녀 사위인 빙그레 김호연 회장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동년 8월부터 김 장군의 추모식을 시작으로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초대 회장은 전 국방대 총장인 김해석 예비역 중장이다.

동년 11월 13일 첫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여기에는 김 장군의 유족들뿐만 아니라 현직 군 인사들, 김구 선생과 윤봉길 의사의 유족들까지 참석하였다. 그리고 중국 푸단대 쑨커지 교수는 김 장군의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중국에서의 활동을 소개하였다. 회의록은 기념사업회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다.

6. 수훈 내역

7. 연보

1898년 9월 평북 용천 출생
1920년 1월 중국 귀주강무학교 졸업 및 소위 임관
1921년 대한의용군사회, 한국의용군 참여
1926년 10월 중국 국민혁명군의 북벌에 참여 (동로군 인사참모 소교, 인사과장 중교)
1927년 3월 중국 국민혁명군 상교 진급
1927년 중국 국민혁명군 독립경비연대 부연대장 및 1대대장
1928년 중국 국민혁명군 22사단 독립경비연대장, 용담전투 승리공훈, (공로장 수여받음)
오송요새사령부 참모장, 상해 병공창 병기창주임, 19로군 후방 정보국장
193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구를 도와 거사에 쓸 폭탄을 구해 주다.
1933년 중국군 제2로군 총지휘부 참모
1938년 중국군 제4군단 102사단 참모장, 무한회전 참가, 만가령 전투
1939년 5월 중국 중앙군 소장진급 (중앙군 최초 한국인 장성) [6], 중국군 19집단군 참모처장 부임
1941년 중국군 19집단군 19사단장 대리로 부임하여 중일전쟁 상고회전을 승리로 이끔 (대 일본군 33, 34사단)
1943년 중국군 육군대학 졸업
1944년 중국군 신편 2병단 참모장, 중국 청년군편련총감부 참모처 소장 처장
1945년 5월 중국 중앙군 중장 진급 [7]
1945년 6월 한국광복군 사령부 참모장
1945년 11월 중국군으로 복귀, 동북보안사령부 고급 참모 및 한교사무처장 부임
1946년 9월 중화민국 국방부 정치부 전문위원 (육군 중장) [8]
1948년 7월 중화민국 국방부 중장 부원 [9]
1948년 대한민국에 귀국
1948년 12월 대한민국 육군 준장 임관 (창군 최초 장군임관자)
1949년 1월 육군사관학교장
1949년 3월 육군 소장 진급(대한민국 육군 최초)
1950년 3월 13일 육군사관학교장
1950년 6월 10일 육군참모학교장
1950년 6월 30일 시흥지구 전투사령관 (한강 방어선 전투 지휘)
1950년 7월 5일 육군 제1군단장 임명
1950년 9월 1일 육군종합학교장
1951년 3월 2일 육군 중장 진급 [10] [11]
1951년 3월 20일 육군 중장 예편
1952년 주중대사 및 타이베이 외교단장
1961년 5월 외무부 장관
1961년 12월 제9대 대한민국재향군인회 회장
1967년 6월 대한민국 국회 제 7대 국회의원
1971년 5월 대한민국 국회 제 8대 국회의원, 신민당 총재
1973년 1월 민주통일당 창당발기인
1980년 8월 8일 지병으로 타계

8.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003764>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참의원)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4,478(12.84%) 낙선 (8위)[12]
196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1[A]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44,506 (43.8%) 당선 (1위) 초선
1971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4,969,050 (44.38%) 당선 (4번) 재선[14]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B]

파일:민주통일당.svg
28,447 (21.4%) 낙선 (3위)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신민당김홍일.jpg 파일:민통당김홍일.jpg
7대 총선 (서울 11[A]) 9대 총선 (서울 1[B])
}}}}}}}}} ||

9. 기타

9.1. 대중매체에서

10. 관련 문서

11. 출처

12. 둘러보기

파일:구 서울특별시 휘장(백색).svg 서울특별시 제7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유진오 정일형 송원영 장준하 공석
성동 을 성북 갑 성북 을 서대문 을
박준규 조윤형 서범석 김재광 윤제술
마포 용산
김홍일 김원만 유진산 박한상
선거 결과
* 성동 갑 조한백 자격 상실 (1971.1.11.)
}}}
전국구 · 서울 · 부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국회휘장(8대).svg 전국구 제8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민주공화당
29석
김종필 정일권 백두진 ~~~~ 길재호
김형욱 권오병 ~~~~ 황종률 이동원
이종우 유봉영 홍승만 모윤숙
최용수 이해랑 강병규 강성원
문창탁 권일 김성두 신광순
박태원 박철 전정구 장덕진
이도선 김현숙 편정희 김옥자
노진환
신민당
24석
유진산 김대중 홍익표 김홍일
김의택 유청 정헌주 이종남
이세규 편용호 김준섭 채문식
이상조 신도환 김재화 김용성
강필선 오세응 유성범 정규헌
이대우 오홍석 박종률 김윤덕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파일:신민당 1967년 당기.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유진오 정일형 송원영 조윤형 서범석
김재광 윤제술 김홍일 김원만 유진산
박한상 김응주 김영삼 정상구 김정렬
김은하 김형일 박영록 박병배 김옥선
정성태 김대중 양회수 서민호 이중재
조일환 우홍구 박순천 김현기 정해영
고흥문 정운갑 편용호 이기택 이민우
김수한 김상현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파일:신민당 1967년 당기.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권중돈 정일형 김원만 양일동 홍영기
정운갑 송원영 유옥우 조윤형 서범석
고흥문 김재광 김상현 윤제술 노승환
김수한 박한상 윤길중 김응주 김상진
김영삼 김승목 정해영 이기택 김은하
천명기 김형일 이택돈 홍창섭 최병길
이택희 박병배 김한수 한건수 류제연
이철승 강근호 김현기 양해준 류갑종
진의종 정성태 김녹영 김경인 조연하
이중재 임종기 나석호 한병채 김정두
신진욱 조일환 심봉섭 박해충 이형우
김창환 황은환 김기섭 황낙주 조홍래
김이권 이상신 박일 신상우 최형우
유진산 김대중 홍익표 김홍일 김의택
류청 정헌주 이종남 이세규 편용호
김준섭 채문식 이상조 신도환 김재화
김용성 강필선 오세응 유성범 정규헌
이대우 오홍석 박종률 김윤덕 }}}
}}}}}}



[1] #[2] 본관은 김해지만, 흔히 아는 가야 계열이 아닌 신라 계열이다.[3] 현재 미국에 거주 중인 3남 김덕재(88)씨만 생존 중이다.[4] 1967년 상훈법 개정 이후 건국훈장 독립장으로 개칭되었다.[5] 김홍일이 평생을 걸쳐 지킨 좌우명이다. 본래 조선 명종 시기의 무관인 해은 김복수(金福壽)가 저술한 김해 김씨 문중의 가훈이다. 그리고 김홍일의 본관이 바로 김해 김씨다.[6]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대한민국인사록(1949)에 따르면 1939년 5월 中國第19集團軍總司令部 參謀處 小將 處長 으로 되어 있다[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1096[8] 2005년 중국에서 출간된 劉國銘 (编). 中國國民黨百年人物全書 (중국국민당백년인물전서)[9]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대한민국인사록 (1949)[10] 당시 육군 최고 계급. 3군 총사령관 정일권과 김 장군이 중장. 3번째가 1952년의 백선엽, 이종찬. 최초의 대장은 1954년 백선엽 장군[11] 국군 최초의 중장은 1951년 2월에 진급한 정일권 중장[12] 참의원은 6위 까지 당선되었다.[A] 마포구[14] 72.10.17: 10월 유신으로 자격 정지[B] 종로구·중구[A] [B] [18] 블로그 글에 따르면 2015년 한 군사학술단체 춘계 세미나에 참석한 육사 생도들의 상당수가 김홍일 장군을 모른다는 설문 답변이 나왔다. 김홍일이 독립운동가이자 전쟁 영웅인 점은 둘째치고 육사 교장을 역임했는데도 육사 생도들조차 잘 모른다는 것은 아쉬움이 큰 대목이 아닐 수 없다.[19] 러시아가 공산화되지 않았고, 국민당은 대신 적화된 프랑스인 프랑스 코뮌의 지원을 받는다. 그러나 프랑스를 견제하기 위해 독일 제국이 북양정부를 지원하여 국민당이 붕괴한다. 이후 장제스는 암살당하고 국민당 인물들은 3가지 길 중 하나를 선택했는데 왕징웨이 등은 해외로 망명했고 쑹칭링 등은 산악지대에서 게릴라 활동을 했으며 리쭝런, 주페이더 등은 군벌화되거나 군벌에 합류했다. 김홍일은 3번째 길을 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