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5 16:43:55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특별시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광역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광역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광역시
특별자치시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
세종특별자치시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파일:충청북도 휘장.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특별자치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특별자치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미수복지역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svg
황해도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광역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파일:정부상징.svg
신의주시
파일:정부상징.svg
의주군
파일:정부상징.svg
용천군
파일:정부상징.svg
철산군
파일:정부상징.svg
선천군
파일:정부상징.svg
강계군
파일:정부상징.svg
정주군
파일:정부상징.svg
박천군
파일:정부상징.svg
태천군
파일:정부상징.svg
영변군
파일:정부상징.svg
자성군
파일:정부상징.svg
운산군
파일:정부상징.svg
구성군
파일:정부상징.svg
창성군
파일:정부상징.svg
벽동군
파일:정부상징.svg
후창군
파일:정부상징.svg
삭주군
파일:정부상징.svg
초산군
파일:정부상징.svg
위원군
파일:정부상징.svg
희천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신의주시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파일: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 도기.svg
평안북도
平安北道
Pyeonganbuk-do
}}}
파일:평안북도(이북 5도).jpg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도청 소재지 평안북도 신의주시 앵동[1]
서울특별시 종로구 비봉길 64[2]
하위 행정구역 1 19
면적 28,442㎢
인구 약 400만 명[추정]
인구 밀도 140.64명/㎢[추정]
도지사 [[관선|
관선
]]
양종광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5]

1. 개요2. 도기3. 특징4. 인구5. 교통6. 특산물 및 산업7. 관광지8. 남북통일 후 전망9. 출신 인물10. 출신 인물 (탈북인)11.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반도 서북부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이며, 이북 5도 중 하나. 면적은 광복 당시 28,443㎢로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넓었으며, 인구는 약 400여만 명[6]으로 추정된다. 남쪽에 평안남도, 동쪽에 함경남도가 있다. 서남쪽은 서해 바다가 펼쳐져 있으며, 서쪽과 북쪽으로는 압록강(한만 국경선)을 경계로 중국 랴오닝성지린성에 접한다.

도청 소재지는 신의주시.[7]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은 일부 지역[8]을 실효지배한 적[9]이 있다. 하지만 수복 직후 중국 인민지원군의 개입으로 곧바로 청천강 유역으로 후퇴한 바람에 청천강 전투 이전까지 청천강 일대[10]를 제외한 도 대부분 지역은 북한 지배 아래에 있었다. 유엔군이 평안북도에서 후퇴한 이후로도 전략도서 확보 작전의 일환으로 가도, 신미도 등의 평안북도 서해안 도서 지역을 정전 협정 체결 시까지 점유했다.

2. 도기

파일: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 도기(~2019).svg
파일: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 도기.svg
종전까지 사용되었던 평북도기(道旗)는 2019년 12월 26일 폐지되었다. 유관 보도에 따르면, 도기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데다가 깃발 자체가 스포츠 단체의 깃발과 흡사해 다른 도와 비교할 때 상징성으로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어, 2019년 11월 26일 제정된 ‘평안북도 상징물 관리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상징 아래 '평안북도'라고 쓰여진 깃발로 교체되었다. # 사실 평안북도를 비롯한 북한 북부 지역에 사는 백두산 호랑이를 상징한다고 생각해보면 상징성이 크게 떨어지지도 않는데도, 오히려 상징성이 전혀 없는 정부상징으로 교체했다는 점에서 비판이 있다.

3. 특징

파일:평안북도(이북 5도).jpg

주요 도시로는 도청 소재지인 신의주시를 비롯해 강계시(강계군), 만포시(강계군 만포읍), 정주시(정주군), 희천시(희천군), 구성시(구성군)가 있으며, 그 외에 영변군, 의주군, 선천군, 중강진(자성군 중강면) 등이 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북한의 핵시설이 영변군에 있다.

현재는 북한에서 자강도에 있지만, 강계 지방은 공기 좋고 물 좋은 동네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지금까지 미인의 고장으로 상당히 유명하다고 한다. 서해안 지방은 섬이 많은 다도해 지역이며, 갯벌이 많아 항구나 해수욕장은 잘 발달되지 않았다.

일제 말기인 1943년 당시 일본인을 제외한 외국인 총수의 약 40%(약 3만명)가 평북에 거주했는데, '일본인을 제외한 외국인'이란 거의 대부분이 중국인이었다. 이는 대륙과 인접한 지리적인 특성 때문이다.[11]

4. 인구

파일: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 도기.svg 평안북도 인구 추이
(1925년~1944년)
1925년 1,417,091명
1930년 1,562,791명
1935년 1,710,352명
1940년 1,768,265명
1944년 1,882,79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0만 명
시군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강계군 208,002명
정주군 164,261명
영변군 158,921명
의주군 155,979명
용천군 155,973명
신의주시 118,398명
선천군 95,173명
박천군 89,460명
철산군 81,125명
초산군 79,289명
구성군 78,202명
희천군 72,258명
자성군 71,542명
삭주군 59,969명
태천군 55,302명
벽동군 54,241명
운산군 52,774명
창성군 46,433명
후창군 46,199명
위원군 39,298명
1944년 기준 통계청 인구총조사,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 ||

5. 교통

경의선, 강계선, 만포선 철도가 지난다. 명목상이긴 하지만 1번 국도, 3번 국도, 5번 국도, 10번 국도 등이 평안북도를 지나간다. 그런데 78번 국도(강계~만포)는 1996년에 폐지되었다.

6. 특산물 및 산업

이 지방의 유명 음식으로는 순대가 유명하다고 한다. 의주의 왕만두도 유명했다.

특산물로는 정주 약이 유명하다고 한다. 운산 대유동 광산에서는 이 많이 났다. 수력 발전소로 수풍댐이 유명하며 북한 치하에서 운봉댐, 위원댐 등이 더 건설되었다.

황해도, 평안북도와 함께 평지가 많아 농업이 많이 이루어진다.

신의주시를 비롯해 중국과의 국경지대라 북중무역의 거점지로서 성장하는 중이다.

7. 관광지

영변군의 묘향산, 동룡굴, 약산동대, 선천군의 동림폭포, 의주군의 통군정과 의주남문, 삭주군의 수풍호, 강계 인풍루, 후창군의 갈전협 등이 있다.

8. 남북통일 후 전망

북한 지역들 중에서도 발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신의주시 같은 경우 중국 단둥압록강을 두고 접하는 만큼 한중 무역의 거점이 되는 어마어마한 도시로 발전할 것이며, 경의고속도로와 경의고속선이 지나가게 될 정주군, 선천군, 용천군과 같은 지역들도 대도시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발전이 기대되는 곳은 경의선이 지나는 지역 및 강계시 - 만포시 지역뿐이고, 강남산맥, 적유령산맥이 지나는 내륙 산간 지역은 북한 정권의 인구 통제가 없어지게 되면 급속히 인구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9. 출신 인물

실향민, 1953년 정전 협정 체결 이전에 태어난 사람에 한하여 작성할 것.

10. 출신 인물 (탈북인)

탈북자, 북한이탈주민 정전협정(1953.07.27) 이후에 북에서 탈북(이탈)한 사람에 한하여 따로 작성함.

11. 관련 문서


[1] 명목상 소재지[2] 이북5도위원회 소재지[추정] 추정치 기준[추정] [5] 평북도정협의회[6] 광복 당시 행정구역 범위 기준으로 2008년 추산.[7] 1921년에 이전. 과거 평안북도 도관찰부 / 도청은 영변군 영변면(1896년 ~ 1907년), 의주군 의주읍(1907년 ~ 1921년)에 있었다.[8] 정차동 - 구성 - 운산 - 초산 - 희천 이남 지역.[9] 1950년 10월 24일(청천강 도하) ~ 1950년 12월 2일(청천강 전투 종료)[10] 정주 - 박천- 영변 - 구장 이남 지역[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평안북도[12] 남양유업 창업주[13] 탈북자(북한이탈주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