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3:43:34

방우영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7171f><tablebgcolor=#d7171f> 파일:조선일보 제호 화이트.svg조선일보
역대 회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방응모
제2대

홍순필
제3대

홍종인
제4대

방일영
제5대

방우영
제6대

방상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7171f><tablebgcolor=#d7171f> 파일:조선일보 제호 화이트.svg조선일보
역대 사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조진태
제2대

유문환
제3대

남궁훈
제4대

이상재
제5대

신석우
제6대

안재홍
제7대

유진태
제8대

조만식
제9대

방응모
제10대

장기영
제11대

방우영
제12대

방상훈
제13대

방준오
}}}}}}}}} ||
조선일보 제5대 회장
조선일보 제11대 사장
방우영
方又榮 | Bang Woo-young
파일:201605081692334849_1.jpg
<colbgcolor=#ed333b> 출생 1928년 1월 22일[1]
평안북도 정주군
사망 2016년 5월 8일 (향년 88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장지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선영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일민(逸民)[2]
본관 온양 방씨[3]
가족 친조부 방응곤, 양조부 방응모
아버지 방재윤, 형 방일영
배우자 이선영(1937년생)
장녀 방혜성(1960년생)
차녀 방윤미(1961년생)
삼녀 방혜신(1965년생)
장남 방성훈(1973년생)[4]
학력 정주 조일심상고등소학교 (졸업)
경신고등학교 (졸업 / 41회)
연희대학교 상과대학 (상학 / 학사)
종교 개신교(장로회)[5]

1. 개요2. 평가3. 일생4. 가족관계5. 저서6. 수상경력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언론인, 기업가.

2. 평가

방응모[6]의 손자로, 1964년부터 1993년까지 조선일보 사장을 지낸 방우영은 박정희 독재권력에 저항하던 젊은 기자들이 자유언론을 지키기 위해 싸웠을 때 이들을 파면한 장본인이다. 유신독재가 끝나는 순간까지 박정희를 미화하고 찬양했다.

12.12 쿠데타로 정권을 찬탈한 전두환 신군부 세력이 결성한 입법기구 국가보위입법회의에 의원으로 참여 했다. 전국지 규모의 언론사 사주로선 유일했다.[7]

5.18 민주화운동 당시 보도를 통해 광주시민들을 난동자, 불순분자, 극렬분자, 폭도, 빨갱이로 매도 했다.

이후 전두환 찬양과 유착으로 조선일보를 고속성장시키고 대한민국 정·​관·언론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맏형의 별명인 '밤의 대통령'을 물려 받았는데 문서를 읽어보면 알겠지만 음란하다고 비웃는 거다.[8]

3. 일생

일제강점기인 1928년 1월 22일,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아버지 방재윤(方在胤, 1901. 2. 13 ~ 1940. 4. 30)과 어머니 수안 이씨(遂安 李氏) 이성춘(李成春, 1906. 5. 13 ~ 1973. 12. 8)[9] 사이의 3남 2녀 중 삼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방재윤은 본래 방응모의 친형 방응곤(方應坤, 1880. 11. 25 ~ 1942. 11. 2)의 차남인데, 당시 아들이 없던 방응모의 양자로 들어가면서 방우영은 형 방일영과 함께 방응모의 양손자가 됐다. 방응모는 금광사업으로 떼돈을 번 뒤 1932년 조선일보를 인수하게 된다. 그가 5살이 되던 해였다.

1940년 조일심상고등소학교, 1946년 경신고등학교졸업하고 연희대학교 상과대학에 들어가 한국 전쟁 직전인 1950년 졸업했다. 이어 1952년 조선일보 공무국 견습생으로 들어가 8년간 사회부, 경제부 기자로 일한 뒤 1960년 조선일보 계열사인 아카데미극장[10][11]#[12]# 대표를 맡았다. 이후 조선일보 상무로 복귀해 발행인, 전무, 대표이사,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했다. 1976년부터 14년간 한국언론연구원 비상근 이사장도 겸임했다.

1993년 형 방일영의 장남이자 조카방상훈에게 사장 자리를 물려주고 조선일보 회장이 되었고, 2003년에 명예회장으로 추대되고 2008년 그의 55년 언론계 생활을 정리한 팔순 회고록 ‘나는 아침이 두려웠다’를 펴냈다. 83세 되던 2010년에는 조선일보 상임고문으로 추대됐다. 2세 경영이 안착하면서 방우영 일가는 스포츠조선을 받아 분가하게 되었다.

그 외에도 1977~1980년까지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이사장, 1980~1981년까지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 1981~1997년까지 연세대학교 총동문회장, 1997~2013년까지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이사장, 2015년부터 동 재단 명예이사장을 각각 지냈다.

2016년 5월 8일 오전 11시 7분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숙환으로 사망했다.

4. 가족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일보/오너 일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저서

6. 수상경력

7.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장(1963-1997).svg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08080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9166f> 정계
20명
<colbgcolor=#fff,#191919> 고재청 <colbgcolor=#fff,#191919> 권중돈 <colbgcolor=#fff,#191919> 김윤환 <colbgcolor=#fff,#191919> 김철
남재희 박명근 손세일 신상초
오세응 유옥우 유한열 이종률
이태구 장승태 정래혁 정석모
조종호 진의종 채문식 한영수
학계
13명
권이혁 김대환 김만제 김상협
나창주 박봉식 박승재 박일경
서명원 안세희 윤근식 정의숙
한기춘
국보위 대표
10명
김영균 노재원 박종문 서동열
심유선 이광노 이기백 이우재
정태수 조영길
문화·사회계
9명
권정달 김준 박윤종 박인각
송지영 이정식 이종찬 이호
정범석
법조계
8명
김사용 김태청 윤길중 이범렬
이병호 이진우 임영득 정희택
종교계
8명
강신명 김봉학 서경보 이병주
이영복 이종흥 전달출 조향록
여성계
4명
김정례 김행자 안목단 이경숙
경제계
3명
박태준 유기정 정수창
언론계
3명
방우영 이원경 이진희
향군 대표
2명
이맹기 이형근
노동계
1명
정한주
재적
81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957, #003876, #003876, #002957);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재단법인 이사장
초대

에이비슨
2대

백낙준
기독교연합재단법인 연희대학교 이사장
초대

에이비슨
2대

호러스 호튼 언더우드
3대

백낙준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이사장
초대

백낙준
2대

사우어
3대

이원철
4대

사우어
5대

강신명
6대

최재유
7대

이천환
8대

방우영
9대

김석수
10대

허동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973, #004c97, #004c97, #00397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3대·5대

임영신
2대

황소향
4대

임민규
6대

방우영
7대

임철순
8대

김희수
9대

박용성
10대

김철수
11대

박용현
12대

이현순
}}}}}}}}} ||

파일:금관문화훈장 약장.png
금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74
조택원
무용가
1975
안수길
소설가
1976
홍종인
언론인
1977
최석채
언론인
1978
방정환
독립운동가, 아동문학가
1979
고유섭
미술사학자
1980
전봉초
음악가
1981
김소월
시인
1982
이효석
소설가
1982
조지훈
시인
1983
홍승연
언론인
1983
천관우
언론인
1983
이육사
독립운동가, 시인
1984
이원수
아동문학가
1984
장발
미술가
1985
강소천
아동문학가
1986
홍진기
언론인
1987
김남중
언론인
1990
모윤숙
시인
1990
주시경
독립운동가, 국어학자
1994
김상만
언론인
1994
나운영
음악가
1994
이숭녕
국어학자
1995
공병우
한글연구가
1995
김소희
국악인
1995
문신
미술가
1995
정명훈
음악가
1995
이대원
미술가
1995
류경채
미술가
1996
송석하
민속학자
1996
신용호
기업인
1996
조병화
시인
1997
신순남
미술가
1997
홍두표
언론인
1997
최창봉
언론인
1997
정진숙
출판인
1997
고병익
역사학자
1998
방우영
언론인
1998
김연준
작곡가
1999
방일영
언론인
1999
방종현
국어학자
1999
김세형
음악가
1999
이유태
미술가
1999
김흥수
미술가
1999
장준하
독립운동가, 언론인
1999
송건호
언론인
2000
황순원
소설가
2000
백남준
미술가
2000
서정주
시인
2001
김기창
미술가
2001
김천흥
국악인
2001
장우성
미술가
2001
김수영
시인
2001
최영희
역사학자
2002
임권택
영화감독
2002
오지호
미술가
2003
박동진
국악인
2003
윤석중
아동문학가
2004
구상
시인
2004
이혜구
음악사학자
2005
박성용
기업인
2005
정세영
기업인
2006
신상옥
영화감독
2006
김동원
연극인
2006
차범석
극작가
2006
조남철
바둑기사
2007
송도균
언론인
2007
노성대
언론인
2007
송범
무용가
2008
박경리
소설가
2008
이청준
소설가
2008
김영랑
시인
2009
유현목
영화감독
2010
전숙희
수필가
2010
앙드레 김
패션 디자이너
2010
김영환
군인, 6.25전쟁기 해인사 폭격명령 거부
2011
박완서
소설가
2012
지관
해인사 주지
2012
이건희
기업인
2012
허동수
기업인
2012
김형규
국어학자
2013
이우환
미술가
2014
호머 헐버트
선교사, 한글 체계화 공헌 및 한글 보급·한글 홍보 공로
2014
전형필
문화재수집가
2014
이은관
국악인
2016
백성희
연극인
2016
임영웅
연극인
2017
박맹호
출판인
2018
최인훈
소설가
2018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
2018
정지용
시인
2018
황병기
국악인
2020
서세옥
미술가
2019
김성환
시사만화가, 대표작《고바우 영감
2020
손창근
미술품소장가
2021
윤여정
영화배우
2021
이어령
문화부장관, 작가, 정치인 겸 문학평론가
2021
박서보
화가
2022
송기숙
작가
2022
송해
희극인
2022
김우창
문학평론가
2022
김지하
시인
2022
이정재
배우
2022
황동혁
감독
2023
이미자
대중음악인
2023
조수미
성악가
2023
이미경
기업인
2024
이문열
소설가
}}}}}}}}} ||



[1] 음력 1927년 12월 30일.[2] 여담으로 조선일보의 평생 경쟁자인 동아일보의 회장이었던 김상만 회장도 호가 일민(一民)이었지만 한자만 달랐다.[3] 판서공파(判書公派) 38세 ○영(榮) 항렬.[4] 스포츠조선 대표이사 부사장[5] https://news.sbs.co.kr/amp/news.amp?news_id=N1003569606&cmd=amp[6] 일제강점기 금광으로 돈을 벌어 1933년 조선일보를 인수해 오늘의 조선일보가 있게 한 인물. 여러 친일 경력을 인정받아 2009년 정부 공인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선정됐다.[7] 방우영이 정상적인 언론사 사주였다면 비판적 보도를 했어야 했다. 오히려 전두환이 대장으로 전역하고 대통령 자리를 꿰찰 무렵, 조선일보는 "人間 全斗煥" 이란 기사를 통해 찬양한다. "... 그가 혼신의 정열을 쏟고 있는 사화정화, 정치풍토의 개선도 그의 구국적 도덕관에서 뿌리를 찾아야 할 것 같다. ..."[8] 차라리 맏형은 조봉암부터 박정희까지 좌우를 가리지 않고 품이 넓은 호방함과 대범함이 있는 인물이었는 걸 고려하면 형만한 아우 없다 하겠다.[9] 이은엽(李殷葉)의 딸이다.[10] 1968년까지 조선일보에서 자사 사옥부지에서 운영하던 극장. 60년대 인근의 국제극장, 충무로의 명보극장, 을지로의 국도극장 등과 방화(한국영화)전용관으로 유명했다.[11] 60년대 국내 영화업계는 10대 개봉관 극장-전속 영화사-전속 감독/작가-전속 배우 체제로 운영되었는데, 국제극장-동아흥행-홍성기 감독-김지미, 명보극장-신필름-신상옥 감독-신영균 등의 형태였다. 아카데미극장은 원래 외화상영관이었으나 방화전성시대가 도래하자 1962년 학교법인 한양학원에서 설립한 한양영화공사와 전속을 맺고 방화(한국영화)전용관으로 변모한다. 이후 극동흥업까지 추가되어 주로 신성일, 엄앵란 주연의 청춘영화를 개봉했는데, 63년~68년 사이 아카데미 극장의 한국영화 개봉작 125편 중 70%에 달하는 88편의 작품이 신성일 주연작이라 일명 신성일 극장으로 불렸는데, 그 대다수가 한양영화사 또는 극동흥업의 김기덕 감독 작품이다.[12] 신성일의 자서전 내용에 의하면 아예 한양대의 연영과 설립과 영화사 설립이 당시 아카데미 극장의 사장이던 방우영 사장이 한양대 김연준 총장에게 요청해서 이루어졌다고 나온다. 나이차가 있기는 하지만, 김연준과 방우영은 같은 연희전문 선후배 출신이고, 같은 이북 출신이므로 친분이 두터웠을 가능성도 있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