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7 20:34:11

1907년

1900년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99년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6년
1907년 1908년 1909년 1910년}}}}}}}}}
서기 1907년
MCMVII
千九百七年 | 一九〇七年
1906년 1908년
태세 정미년
丁未年
1847년 1967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기년법에 따른 표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한제국 광무 11년(8월 2일까지)
융희 원년(8월 3일부터)
단기 4240년
불기 2451년
광서 33년
일본 메이지 40년
(황기 2567년)
베트남 타인타이 19년(9월 4일까지)
주이떤 원년(9월 5일부터)
이슬람력 1324년 ~ 1325년
히브리력 5667년 ~ 5668년
페르시아력 1285년 ~ 1286년
에티오피아력 1899년 ~ 1900년
인류세력 11907년
탄소측정연대 BP[1] 43년 }}}}}}}}}
<colbgcolor=#b82647><colcolor=#fff> 밀레니엄 제2천년기
세기 20세기
연대 1900년대
양력 1907년 음력 1906년 11월 17일
~ 1907년 11월 27일
음력 1907년 양력 1907년 2월 13일
~ 1908년 2월 1일
일수 365일(평년)
1. 개요2. 기후3. 사건
3.1. 실제3.2. 가상
4. 탄생
4.1. 실제4.2. 가상
5. 사망
5.1. 실제5.2. 가상
6. 달력

1. 개요

이 해에는 대한제국일제로부터 매우 치욕스러운 일을 당했던 시기로, 헤이그 특사 사건을 빌미로 고종일본 제국에 의해 강제 퇴위를 당하고 뒤를 이어 마지막 황제 순종이 즉위하였으며 급기야는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해산되고 이를 계기로 전국 각지에 의병 활동이 활기를 띠게 되었던 시기였다.

2. 기후

서울, 대구, 평양에서 기상 관측이 시작된 해이다. 현재의 서울 종로구 낙원동에 경성측후소(現 서울기상관측소)가 설치되었으며[2], 10월 1일부터 공식적인 기상 관측이 시작되었다.

1월은 당시 기준으로 한파도 약했고 이상 고온을 보였으나 2월이 시작되자 강한 한파가 왔고 한 달 내내 추워서 인천의 월평균 기온이 −3.4℃에 달할 정도로 낮았으며, 3월도 꽃샘추위가 잦았다. 여름철은 서울은 기상 관측 기록이 없으나, 인천의 기온을 비교할 시 그리 시원한 여름은 아니었던 듯하다. 12월에는 강한 한파가 찾아와서 매우 추웠다.
<colbgcolor=#ddd>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서울 월평균 기온(℃) 기상 관측 시작 이전 13.9 5.3 −3.9 -
평년 대비 편차(℃)[3] 0.9 0.2 −1.8
<colbgcolor=#ddd> 강수량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서울 월평균 강수량(㎜) 기상 관측 시작 이전 47.0 54.4 25.2 -
평년 대비 편차(%) 111.4 116.5 100.4

3. 사건

3.1. 실제

3.2. 가상

4. 탄생

4.1. 실제

4.2. 가상

5. 사망

5.1. 실제

5.2. 가상

6. 달력

1월2월3월
12345 12 12
678910111234567893456789
131415161718191011121314151610111213141516
202122232425261718192021222317181920212223
2728293031 2425262728 24252627282930
31
4월5월6월
123456 1234 1
789101112135678910112345678
14151617181920121314151617189101112131415
212223242526271920212223242516171819202122
282930 262728293031 23242526272829
30
7월8월9월
123456 1231234567
7891011121345678910891011121314
141516171819201112131415161715161718192021
212223242526271819202122232422232425262728
28293031 252627282930312930
10월11월12월
12345 121234567
67891011123456789891011121314
131415161718191011121314151615161718192021
202122232425261718192021222322232425262728
2728293031 24252627282930293031


[1] Before Present[2] 1932년까지 이곳에서 기상 관측을 하다가 1933년에 경성측후소가 송월동으로 이전하였다.[3] 1907~1930년 평균 기온 평년값 대비 편차이다.[4] 다만 처음에는 띄엄띄엄 관측하는 정도로 시작되었으며, 본격적인 관측일은 1909년 1월 1일이다.[5] 오스트리아-헝가리 재국은 다민족다문화 제국 답게 오스트리아의 비엔나를 중심으로 한 제국의회(시스라이타니아 의회)와 부다페스트를 중심으로한 헝가리 의회, 그리고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의회로 나뉘어있었다.[6] 다만 기상관측소 자체는 2월 1일에 신설되었다.[7] 그러나 1904년이란 주장도 있다.[8] LA 에인절스에서 그가 팀의 26번째 로스터 선수라는 의미로 26번이 영구결번이 되어있다.[9] 국내에서도 유명한 캐롤인 루돌프 사슴코의 원곡자이다.[10] 남대문 전투가 벌어지고 난 다음날 아침에 사망했다.[11] 8월 2일 이후로 추정.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