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7 22:00:34

광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후한의 황제에 대한 내용은 광무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사쿠라 대전'의 '광무'에 대한 내용은 영자갑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min-height: 29px"
{{{#B2222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EFA7,#5A004A> 삼국 - 남북국 - 후삼국
신라 건원(建元) 개국(開國) 대창(大昌) 홍제(鴻濟) 건복(建福) 인평(仁平) 태화(太和)
고구려 영락(永樂) 연수(延壽) 연가(延嘉) 건흥(建興)
발해 인안(仁安) 대흥(大興) 보력(寶歷) 중흥(中興) 정력(正曆) 영덕(永德) 주작(朱雀) 태시(太始) 건흥(建興) 함화(咸和)
태봉 무태(武泰) 성책(聖冊) 수덕만세(水德萬歲) 정개(政開)
후백제 정개(正開)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고려 천수(天授) 광덕(光德) 준풍(峻豊) 천개(天開)
조선 개국(開國) 건양(建陽)
대한제국 광무(光武) 융희(隆熙)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한민국(大韓民國) | 단기(檀紀) }}}}}}}}}}}}
파일:조선 어기.svg
대조선국
연호
고종 태황제 순종 효황제
[ruby(建陽, ruby=건양)]
[ruby(隆熙, ruby=융희)]
1897. 8. 17. ~ 1907. 8. 2.
(9년 11개월 17일)
1. 개요2. 상세3. 주요 사건4. 연보5.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창작물

1. 개요

대한제국 고종 34 ~ 44년 시기의 연호.

1897년 8월 17일, 고종은 칭제건원을 하며 스스로 황제에 올랐다. 국호대조선국에서 황제의 국가라는 뜻의 제국을 붙여 대한제국(大韓帝國)이라 고치고, 동아시아에서는 원칙적으로 황제만이 쓸 수 있던 연호를 독자적으로 정했는데, 이를 건원(建元, 연호를 세우다.)이라 한다. 연호를 정한다는 건 사대관계를 청산하고 대내외에 황제국이 되었음을 선포하는 일이기도 하다. 다만, 이미 1894년갑오개혁을 단행하며 청나라와의 사대관계를 청산하고 건양(建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건원이라고 하기는 힘들다.

헤이그 특사를 파견한 일이 일본에게 책이 잡혀 고종이 강제로 퇴위를 당하고 순종1907년 7월 19일에 대한제국 제2대 황제로 등극하게 되었다. 그리고 보름 뒤인 8월 3일에는 연호를 융희(隆熙)로 바꾸었다. 이로써 광무 연호는 10년에서 약 보름 모자란 9년 11개월 17일 동안 사용되었다.

2. 상세

고종의 명으로 의정부에서 새 연호를 논의하여 의정 심순택이 후보로 '광무(光武)'와 '경덕(慶德)' 2가지를 올렸고, 고종이 이 중에 광무를 고름으로써 새 연호를 정하게 되었다(1897년 8월 14일).

흔히 조선이 대한제국이 되면서 쓰인 연호로 알기 쉬우나, 대한제국 선포일은 같은 해 10월 12일이므로 정확히는 조선과 대한제국에 걸쳐 쓰인 연호이다. 고종이 이 연호를 마음에 들어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는데, 묘하게도 칭제건원 후 고종은 무력(군사력) 증강에 자기 나름대로 예산을 쏟으며 이런저런 노력을 했다. 이러한 정책은 그가 꿈꿔온 황권 강화의 일환이었다. '광무'는 후한의 중흥 군주 광무제(光武帝)[1]의 시호이기도 했다.

3. 주요 사건

4. 연보

연도 대조표
광무(光武) 육십갑자 서력기원 비고
당해 8월 17일부터
원년
정유(丁酉) 1897년 고종 34년
고종, 광무 연호 개원 및
대한제국 선포
2년 무술(戊戌) 1898년 고종 35년
3년 기해(己亥) 1899년 고종 36년
4년 경자(庚子) 1900년 고종 37년
5년 신축(辛丑) 1901년 고종 38년
6년 임인(壬寅) 1902년 고종 39년
7년 계묘(癸卯) 1903년 고종 40년
8년 갑진(甲辰) 1904년 고종 41년
러일전쟁, 한일의정서
9년 을사(乙巳) 1905년 고종 42년
을사조약
10년 병오(丙午) 1906년 고종 43년
11년
당해 8월 2일까지. 이후 융희 원년
정미(丁未) 1907년 고종 44년
헤이그 특사사건,
고종 퇴위, 차남 이척 즉위(순종)

5.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창작물



[1] 《후한서》에 따르면 한 왕조를 부흥시켰다는 뜻에서 광(光), 환란을 평정하였다는 뜻에서 무(武)의 문자를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2] 오늘날 배화유치원, 배화여자중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대학교의 전신[3] 현재 존재하는 제물포역과는 이름만 같은 역이며, 현재 인천역이 해당 역을 계승하고 있다.[4] 대한제국 궁내부에서 공식적으로 발행한 여권을 소지한 이민을 말한다.[5] 다만 연속성이 보장되는 관측은 1906년 1월 1일부터 시작되었다.[6] 지금의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숙명여자중학교[7] 지금의 서울 보성고등학교보성중학교[8] 다만 처음에는 띄엄띄엄 관측하는 정도로 시작되었으며, 본격적인 관측일은 1909년 1월 1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