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19:32:05

제국신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성신문
京城新聞
경성일보
京城日報
경향신문
京鄕新聞
국민신보
國民新報
대한매일신보
大韓每日申報
대한민보
大韓民報
대한신문
大韓新聞
독립신문
獨立新聞
만세보
萬歲報
매일신문
每日新聞
제국신문
帝國新聞
한성순보
漢城旬報
한성신보
漢城新報
한성주보
漢城周報
황성신문
皇城新聞
협성회회보
協成會會報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54170> 파일:이승만투명.svg이승만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254170,#ddd> 일생 일생 · 평가 (긍정적 평가/부정적 평가) · 이승만/여담
가족 아버지 이경선 · 양아들 이강석 · 양아들 이인수 · 아내 프란체스카 도너
정책 대한민국 정부 수립 · 신문지법 · 농지개혁법 ·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원조협정
발언 정읍발언 · 과도정부 당면 정책 33항
정당 자유당
역대 선거 제헌 국회의원 선거제1대 대통령 선거제2대 대통령 선거제3대 대통령 선거3.15 부정선거
저서 일본 내막기 · 만주의 한국인들 · 독립정신
사건사고 위임통치 청원 사건 · 단파방송 밀청사건 · 제주 4.3 사건 · 여수·순천 10.19 사건 · 국회 프락치 사건 · 6.25 전쟁 · 국민방위군 사건발췌 개헌 · 반공포로 석방 사건 · 암살 미수 사건 · 사사오입 개헌 · 진보당 사건 ·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부산정치파동
관련 독립운동 단체 독립협회 · 대한인국민회 · 대한민국 임시정부 · 한미협회 ·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대한인동지회 · 흥업구락부
관련 신문 제국신문 · 매일신문 · 태평양잡지 · 협성회회보
관련 시설 돈암장 · 이화장 · 인하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
관련 사상 일민주의 · 기독교입국론
기타 에버레디 계획
관련 창작물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 이승만(야인시대) · 건국전쟁 · 기적의 시작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이승만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이승만 정부 참고
}}}}}}}}} ||

제국신문
帝國新聞
<colbgcolor=#ab9207><colcolor=#fff> 국가
[[대한제국|]][[틀:국기|]][[틀:국기|]]
창간 1898년 8월 10일
종간 1910년 8월 2일
설립자 이종일
편집 유영석
이종면
장효근 등
주필 이승만
종류 일반일간신문
파일:seo000876-000-000.jpg
<colbgcolor=#ab9207> 《제국신문》[1]

1. 개요2. 상세3. 기타

[clearfix]

1. 개요

근대 시기의 대표적인 민족주의적 성격의 일간신문으로, 유영석과 이승만이 《협성회회보》와 《매일신문》시절의 경험과 이종일의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1898년(광무 2년) 8월 10일 창간한 신문이다. 창간 당시 제호는 한글로 쓴 《뎨국신문》이었다. 그러다가 1903년(광무 7년) 7월 7일에 한자 표기인 《帝國新聞》으로 바꿨다.

2. 상세

협성회회보》와 《매일신문》 시절처럼 순국문체로 쓰였으며 민중계몽과 일반 대중이 타겟이었다. 신문을 개명·개화의 가장 좋은 수단으로 생각하여 민족적인 자주정신의 배양과 대중의 지식계발이라는 창간 취지 아래 한문을 익히지 못한 부녀자, 하층민까지 독자층으로 확대함으로써 사회적 단결과 민족적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였다. 매일 4면이 발행되었는데 주로 1면에는 논설, 2면에는 관보대게와 잡보[2], 3면에는 국내외 정세, 4면에는 광고를 게재했다. 발행 부수는 대체로 2,000부 내외였다.

이승만, 유영석, 이종일 3인이 주동이 되어 창간하였으나 이승만은 한달도 못되어 만민공동회로 인해 감옥에 가게 되고, 유영석은 개인 사정상 퇴사하여 한동안 이종일 단독으로 사장과 기자 역할을 하며 운영하였다.[a][b] 또한 이윤추구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창간 초기부터 항상 운영난에 시달렸다.

《제국신문》은 발행 당시 대한제국과 외세의 수탈 야욕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리하여 외세와 조정의 법적인 탄압이 심했고[b][6]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또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제정한 신문지법[7]과 시스템 미비[8]로 인해 광고 수입과 구독료를 제대로 거두어들이지 못하자 결국 경영난으로 1907년 9월 20일에 휴간에 들어간다. 이후 독자들이 의연금을 보내는 등 각종 지원으로 같은 해 10월 4일에 간행을 다시 시작했으나 결국 각종 여건의 문제로 1910년 6월 10일 다시 휴간에 들어가 결국 이 해 8월 2일에 폐간하고 만다. 종간 당시 《제국신문》의 발행 호수는 약 3,240호였다.

황성신문》이나 《대한매일신보》와 마찬가지로, 《제국신문》 역시 한국의 문명개화와 국권 수호를 주요 주제로 삼아 계몽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성격을 지닌 매체로 활동하였다. 《제국신문》은 대한제국의 국권 수호와 사회 개혁을 촉구하였으며 당시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제국신문》은 대한제국 정부의 사법제도 운영 실태를 비판하면서, 사법제도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지 못하는 정부의 정책을 강하게 지적하였다. 또한, 사법제도의 개혁 방향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사법제도가 단순한 사회 통제 수단을 넘어 인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본연의 역할을 다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9]
발간 당시 일본 세력이 대한제국의 내정까지 간섭할 때였으며, 특히 을사늑약 이후 일제에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당하자 《제국신문》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과 이에 협력하는 친일 세력을 강력히 비판하는 기사를 자주 보도하였다. 과정에서 일제의 탄압과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오랜 기간 발행되었으며 민족의 자주성을 고취하고, 국권 수호와 독립 의지를 일깨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국사편찬위원회

《제국신문》은 대중 친화적인 노선을 고수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당시 국민 계몽에 실질적인 힘이 되었다.

3. 기타



[1] 사진 출처 - 서울역사박물관.[2] 현재 신문의 사회면과 비슷하다.[a] 뎨국신문, 1907년 6월 7일, 「본사의 행복과 본 기자의 해임」[b] 뎨국신문, 1907년 6월 14일, “남대문 밖 원경민씨가 보낸 글”, 통권, 제2430호[b] [6] 외세에 대한 비판 기사를 쓴 기자를 연행하고 기사를 삭제하는 등 횡포가 만연했었다.[7] 조항 중 보증금 납부 조항이 있었다.[8] 당시 인쇄비 때문에 신문의 가격이 비싼 편이여서 대중들은 섣불리 을 꺼내기 힘들었다. 비슷한 시기 발행되었던 《독립신문》의 창간 당시 반 단(14행) 기준 구독료가 1년에 1원 30전, 1달에 12전, 1장에 1푼이었다고 한다. 나름대로 서재필은 싸게 매긴 가격이었는데도 신문값이 너무 비싸다며 항의 편지를 쓰는 독자들이 많았다. 거기다가 화폐 개념에 대한 대중의 무지와 운송 시설의 미비가 겹쳐 제국신문 뿐만 아니라 구한 말 시절의 신문들은 재정난에 허덕였다.[9] 대한제국기(1898~ 1908) ≪제국신문≫의 법제개혁론[10] 《황성신문》은 중층 이상을 타겟으로 삼았다.[a] [12] 불과 1960년대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은 서울 차도에서 우마차가 다니는 곳이었다.[13] 구한말의 갈망을 반영한 것으로 본다면, 정부가 부정부패 없이 적극적으로 복지나 기술개발 등에 예산을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 것으로 보인다.[14] 필자가 논설을 작성한 때로부터 120여 년이 지났다.[15] 여담으로 마지막 문장을 보면 꿈에서 깨고 보니 원통하다(...) 라고 쓰여 있다. 아시발꿈도 예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