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 |
동해안 |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 |
서해안 |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 |
남해안 |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 |
제주도 | 제주항 · 서귀포항 | |
연안항 | ||
동해안 |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 |
서해안 |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 |
남해안 |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 |
제주도 |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 |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 |
목포항 木浦港 | Mokpo Port |
[1] |
목포지방해양수산청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에 위치한 무역항. 전라남도 서부 지역의 관문이며, 단연 목포시를 상징하는 마스코트이자 랜드마크다.항만 규모로 볼 때, 광양항에 이어 호남에서 2번째 규모이며, 지리적 위치로 인해 국가적으로도 아주 중요한 항구이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근처 여러 섬을 잇고, 위치상 중국과 일본을 잇는 데 적합하다.
문제는 이 모든 게 연안 무역에 한정된다는 것이다. 국제 중개 무역을 육성하기에는 수심이 얕고 수역이 좁다는 것이 문제인 항구다. 그나마 수심이 깊은 신항도 대형 선박이 접안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라다. 초대형 벌크선도 무리없이 접안할 수 있는 광양항에 비해 전라도에서 목포항이 가질 수 있는 메리트가 거의 없다. 다도해 섬들의 여객 수요의 중심에 위치해 있고, 지정학적 위치 하나 만큼은 정말 중요하기에 대한민국 해군의 제3함대사령부가 위치하고 국가적으로 관리한 항이라 그나마 아직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다.
만약 목포항이 평택·당진항, 군산항, 광양항정도의 지형조건만 갖췄더라도 목포시는 지금보다는 더 큰 항구도시가 되었을 것이다.
2. 역사
지리적 이점[2]으로 인해 조선시대에는 조선 수군 기지가 있던 곳이다. 만호가 배치되어 목포만호라 불렸다. 기록상 1421년 개청해 1895년 폐청한 것으로 나와 있다.이후에도 그 지리적 이점을 살려 1897년 개항, 일본으로 진출하는 개성시 상인의 중간 거점 역할을 하면서, 순식간에 한반도 항만 순위권에 들 정도로 번성하였다. 또한 일본의 나가사키시와 중국의 상하이시라는 당대 큰 도시들의 중간 지점에 있어 열강에게 주목받았던 역사도 있다.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공출항으로 지정되어 수탈의 전진기지 역할을 하던 슬픈 흑역사도 있다.
특히, 전성기이던 1940년대에는 인천항, 부산항과 조선 3대 항구에 들 만큼 번성하였다. 목포시도 조선 16대 도시에 들 만큼 강성했다.
해방이 된 이후에도 195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여전히 대한민국에서 상당한 규모를 과시했지만, 이 당시 일본의 적성국화와 중국의 공산화로 인해 일본이나 중국과의 교역이 끊어지면서 무역항으로서는 사양길을 걷게 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정책에서 전라도가 지속적으로 소외되는 바람에 목포항의 성장도 정체되고 만다. 일단 목포항은 조수간만의 차이로 유명한 서해안에서도 기존 인천항보다 수심이 더 얕고 대량의 퇴적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대형 항만으로 성장하는 데는 분명히 한계가 있었다.[3] 이를 극복하려면 다도해를 모두 매립해야 하는 비현실적인 방안밖에 없다. 차라리 같은 서해안에 접한 영광군에 항만을 조성하는 게 훨씬 현실적일 정도. 전라도도 균형적으로 개발되었다면 목포항 역시 지금보다 커졌을지 모른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호남고속도로가 호남선과 달리 광주광역시에서 순천시로 향하며, 순천시에서 남해고속도로와 연결되어 부산광역시로 향해 전라도의 물동량도 부산항에서 처리한 점과 같은 전라도 이면서 대형 항만 입지가 더 적합한 광양항의 경우 국가적으로 육성하여 부산항, 인천항 다음으로 물동량이 많은 항구가 된 점을 고려하면 동의하기 어렵다. 게다가 선박용 규격 컨테이너가 활성화된 1950 ~ 60년대에는 선박이 급격하게 대형화되었기 때문에 이래저래 시기가 좋지 않았다.
다행히 일본, 중국과의 관계가 좋아지고, 대한민국 정부에서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있는 지금은 어느 정도 개발 계획이 잡혀있는 상태이다.
2000년대 들어서는 대불국가산업단지의 생산물을 처리하는 항만으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대불선을 만들면서 목포 본항에 대불역을 연결하고, 본격적 활용을 위해 목포신항도 건설했다.
한편 1980년 여객 터미널을 개장, 2005년 대규모 보수를 한 이래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
3. 시설
해당 링크로 들어가면 목포항 항세도 및 항만시설을 볼 수 있다.3.1. 내항
여객터미널과 어항의 기능을 하고 있다. 내항의 가장 안쪽 구역은 어선들이 정박해 있으며, 내항 바깥쪽 구역에 목포내항재개발 계획이 구상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간에 여객터미널이 위치해 있는 구조다.여객 부두의 경우(국제여객터미널구역) 1선석은 4천 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그리고 2선석은 1만 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3.1.1. 연안여객터미널
연안터미널은 목포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주변 섬들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한다.
- (초)쾌속선 노선
- 목포 ↔ 비금도, 도초도 ↔ 흑산도 ↔ 홍도 (남해고속) : 매일운항
- 목포 ↔ 비금도, 도초도 ↔ 흑산도 (남해고속) : 매일운항
- 목포 → 비금도, 도초도 → 흑산도 → 상태도 (흑산면) → 하태도 → 가거도 → 만재도 → 하태도 → 상태도 → 흑산도 → 비금도, 도초도 → 목포 (남해고속)[4]
- 목포 ↔ 비금도, 도초도 ↔ 다물도 ↔ 흑산도 ↔ 홍도 (동양훼리)
- 목포 ↔ 비금도, 도초도 ↔ 상태도 (흑산면) ↔ 하태도 ↔ 만재도 ↔ 가거도 (동양훼리)
- 목포 ↔ 하의도(웅곡) ↔ 신의도(당두) (조양운수)
- 차도선 노선
위 노선은 평상시에 운항하는 노선이다. 명절특별수송기간 등 특별한 경우 추가적인 노선 편성과 운항횟수 증편이 있으니 정확한 확인 후 탑승이 필요하다. 또한 중간 기항지는 변경 및 무기항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선사문의가 필요하다면 해야 한다.목포역에서 택시로 7~8분, 버스 이용시 약 15분, 도보 이용시 약 25분(연안여객터미널에서 목포역 방향은 30분~35분) 걸린다. 목포역에서 연안여객터미널은 내리막이라 도보도 괜찮지만, 반대 방향은 오르막이라 버스나 택시 이용이 더 편리하다.
3.1.2. 국제여객터미널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제여객터미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중국 방면 |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 |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 | ||
군산항국제여객터미널 | ||
일본 방면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
동해항국제여객터미널 | ||
러시아 방면 | 동해항국제여객터미널 | |
속초항국제여객터미널 | ||
| ||
| ||
|
국제터미널의 경우 국제선 역할을 하라고 크게 지어놨건만, 개항 후 상하이시행 페리만 있다가 2007년 운항중단. 현재는 씨월드고속훼리의 제주도행 선박만 운항하여 이름과 실제가 다른곳이 되었다. 이로 인해 전라남도가 국제선 유치에 노력을 안한다고 허구헌 날 까인다.
3.2. 북항
목포항 구역 북부에 자리한 항만이다. 서해지방해양경찰청 관련 시설과 서해어업관리단 본부가 북항 남쪽 매립지에 있다. 또한 목포해양경찰서 해양경찰 함정과 서해어업관리단 전용 정박 부두가 함께 있다. 그 외 친수시설과 어선 물양장 및 접안 시설이 있으며, 여객선 접안 시설도 있다.북항에서도 다도해의 섬들로 가는 여객선이 운항한다.
- 차도선 노선
- 목포 북항 ↔ 안좌도(읍동) ↔ 비금도(가산) ↔ 수치도 ↔ 도초도(화도) (비금농협)
- 목포 북항 ↔ 안좌도(읍동) ↔ 비금도(가산) ↔ 도초도(화도) (도초농협)
3.3. 남항
남항은 관공선 부두가 있으며, 부잔교 12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에 어선이나 낚시 선박들이 계류되어 있다.3.4. 삼학 부두(외항)
삼학도 주변 해역을 매립해서 만든 항만이다. 내항 바로 건너편에 있으며 다양한 시설이 들어서 있는 곳이다.내항 바로 건너편인 삼학부두 북서쪽에는 목포요트마리나 정박 시설이 있으며, 생각보다 꽤 많은 요트가 정박해 있다.
삼학부두 북쪽이자 목포항의 가장 내부인 곳에는 동명동물양장이 있으며, 이곳에도 항시 어선들이 정박한다. 그리고 수협물양장도 있다.
삼학부두 남쪽은 화물 부두로 이용되고, 4개의 선석이 있다. 먼저 11선석은 1만톤급 선박이 정박 가능하며, 산 가공품 등의 부두로 이용된다. 12선석은 3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고, 석탄 부두로 이용된다. 13선석은 3만톤급 선박이 정박 가능하며, 14선석은 5천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항세도 상으로는 크루즈선이 정박할 수 있는 부두도 있으나, 실제로 이용하는지는 확실치 않다.
목포내항 여객부두 공사로 2024년 2월 28일부터 운항하는 퀸제누비아2호가 여기서 출항한다.
3.5. 목포신항
파일:external/www.segye.com/032413-2.jpg고하도 주변 남서쪽 해상과 허사도, 장구도를 함께 매립하여 건설한 항만이며, 민자항이다. 대불산업단지의 화물 처리를 위해 조성되었지만, 대불산업단지가 구상과는 다르게 흘러가는 바람에 대불선이 기능을 상실했고 전동차 시험선으로나 쓰이게 되어서 현재는 그냥 화물항으로만 이용되고 있다.
그래도 나름 대형 화물항만으로 성장하면서 규모는 개항 초기보다 커졌다. 하지만 항세도 상의 계획보다는 조금 작은 규모이며, 항만 북쪽에도 아직 다 건설하지 못한 매립지가 있는 것을 보면 기회가 될 때마다 확장할 모양이다.
2014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후 2017년 인양된 세월호 선체가 현재 이곳에 있다. 2022년 기준 세월호의 모습은 거의 대부분이 녹이 슬어 본래 모습을 볼 수 없는 상태이다. 개방 시간은 10:00~12:00, 13:00~17:00[9]이고, 항만 내부는 국가중요시설이라 신분증은 필수다.
참관 시 유의사항[10] 1. 세월호 주변에서는 경건한 마음을 가져 주시고, 고성방가, 음주소란 등의 행위를 삼가하여 주세요[11]. 2. 세월호 선체를 배경으로 인물사진 등 사진을 찍지 말아주세요. 3. 펜스 내부는 세월호 참사 증거물이 보관된 장소이므로 관계자 외 출입을 엄금합니다. |
- 철재부두 : 1개 선석이 있으며, 3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자동차부두로 이용 중이다.
- 다목적부두 : 3개 선석이 있으며, 3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컨테이너와 잡화부두로 이용 중이다.
- 자동차부두 : 1개 선석이 있으며, 3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기아 광주공장에서 생산된 수출차량들이 있다.
- 시멘트부두 : 1개 선석이 있으며, 1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3.6. 대불부두
대불산업단지의 화물 처리를 위해 만든 부두. 대불선 대불역과 연계되어 있다.현재 총 5개의 선석이 있다.
- 61선석 : 2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철재 및 잡화부두로 이용 중이다.
- 62선석 : 2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철재 및 잡화부두로 이용 중이다.
- 63선석 : 2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양곡부두로 이용 중이다.
- 64선석 : 3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잡화부두로 이용 중이다.
- 65선석 : 2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철재부두로 이용 중이다.
3.7. 용당부두
삼학부두 바로 건너편에 위치한 부두이며, 용당일반산업단지 화물을 처리하기 위한 항만이다.현재 총 4개의 선석이 있다.
- 1선석 : 3천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농수산물, 공산품 부두로 이용 중이다.
- 2선석 : 1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농수산물, 공산품 부두로 이용 중이다.
- 3선석 : 1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모래부두로 이용 중이다.
- 4선석 : 3천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모래부두로 이용 중이다.
3.8. 기타 부두
그 외에도 쌍용부두, 동양부두, 유류부두, 현대삼호부두가 있다.- 쌍용부두 : 총 1개 선석과 1개의 물양장이 있다. 1선석은 1만톤급 선박이 정박 가능하며, 현재 시멘트부두로 이용 중이다. 물양장은 700톤급 선박이 정박 가능하며, 골재류부두로 이용 중이다.
- 동양부두 : 총 1개 선석이 있고, 돌핀 형식의 부두다. 1선석은 1만톤급 선박이 정박 가능하며, 현재 시멘트부두로 이용 중이다.
- 유류부두 : 총 1개 선석이 있고, 돌핀 형식의 부두다. 1선석은 6천톤급 선박 2척이 동시에 정박 가능하며, 현재 유류부두로 이용 중이다.
- 현대삼호부두 : 총 1개 선석이 있다. 1선석은 2만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현재 조선소 강재 하역을 위한 철재부두로 이용 중이다.
3.9. 기타
지리적 이점으로 인해 인근 대형 어장들의 모항(母港) 역할도 담당한다.대한민국 해군의 제3함대사령부가 목포항만 내 주둔 중이다.
국립목포해양대학교가 목포항 지역 내에 있다.
4. 여담
- 이곳을 소래로 한 노래도 여럿 있다.
- 주변에 반암반도, 고하도가 있고 그 외에 여러 섬이 앞에 많이 있어 자연 방파제 구실을 하여 해일 피해가 없는 지리적 이점이 있지만, 최근 들어서는 선박의 대형화로 이 자연 방파제는 지형 장애물로 인식되고 있다.
- 영산강에서 토사물이 밀려 내려와 수심이 얕아진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방조제를 건설하면서 해결했다.
- 대한민국 해군의 목포해역방어사령부 (목방사)가 과거 주둔했으며, 현재는 제3함대사령부의 모항(母港)으로 함대사령부 및 예하 함정들이 항만 내 주둔 중이다. 하지만 많은 항해직별 소속 장교 및 부사관들에겐 기피 근무지로 꼽힌다. 항만 진입로에 산재한 상술한 자연 방파제들도 그렇고, 협수로에 수심도 얕아 출입항 조건이 매우 까다롭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러한 항만 조건으로 인해 대형함정이 입항할 수가 없어 작전 상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12]
[1] 해당 사진은 2017년 쯤 모습이며, 내항 여객선터미널 부근이다. 좌측 부두 모서리 부분의 건물이 국제여객터미널, 그 오른쪽의 좀 더 큰 건물이 연안여객터미널이다.[2] 지도상으로만 보면 앞에 많은 섬들이 있어서 해일 피해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영산강에서 흘러오는 토사물이 퇴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목포시의 발전을 정체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3] 위성 지도를 보면 목포항의 위치가 영산강의 하구 쪽인 것을 알 수 있다. 현재는 영산강하굿둑이 있지만, 이는 감조하천인 영산강이 해수가 역류해서 농지의 염수 피해를 방지하려는 목적이 크다.[4] 짝수일 운항[5] 1항차는 수치, 2항차는 사치로 운항하는 듯하다.[6] 해당 노선은 중간 기항지가 매항차마다 달라진다. 주로 목포-안좌-하의 구간으로 다니고 그 외 기항지는 승하선할 승객이 있는 경우에만 기항하는 편. 그래서 소요 시간의 편차가 좀 있다. 목포-하의 직항 시에는 1시간 50분 내외이며, 중간 기착지가 늘어날수록 최대 2시간 20~30분까지 소요되는 편.[7] 마진도의 경우 오전, 오후에 각각 한차례만 기항한다.[8] 이 운항계통은 중간에 수많은 기항지가 있으나, 매번 다르므로 선사에 문의하고 탑승하자.[9] 점심 시간인 12:00~13:00에는 개방 안함[10] 목포신항 현장에 있는 내용이다.[11] '삼가주세요'가 맞는 말이다. '삼가하다'라는 말은 없다.[12] 대한민국 해군의 함정 중 목포항에 입항 할 수 있는 함정은 광개토대왕급 구축함(DDH-I)이 최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