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 |
동해안 |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 |
서해안 |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 새만금항 | |
남해안 |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 |
제주도 | 제주항 · 서귀포항 | |
연안항 | ||
동해안 |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 |
서해안 |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 |
남해안 |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신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 |
제주도 |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항 | |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 |
호산항 HoSan Port | 湖山港 | |
<colcolor=#fff> 국가 | <colbgcolor=#fff,#1f2023>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
개항(지정) | 1972년 5월 4일 |
관리 | 동해지방해양수산청 |
1. 개요
1972년 5월 4일 지방어항으로 지정, LNG 저장시설 및 복합 에너지단지가 들어서는 관계로 2009년 4월에 무역항으로 전환되었다. 09년 8월부터는 해양레저 허가구역으로 지정 되었다.2. 구역
호산항의 항만구역은 다음과 같다.수역
북방파제 시점부에서 10°방향으로 210m지점, 이점에서 330°방향으로 245m지점, 이점에서 242°방향으로 120m지점, 이점에서 남방파제 시점부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내의 수역
육역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338-8 (잡종지, 1598m2)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338-9 (제방, 2033m2)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338-10 (제방, 437m2)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338-11 (대지, 370m2)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338-12 (잡종지, 9216m2)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338-13 (제방, 369m2)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338-14 (잡종지, 4218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