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19:57:03

아탈란타 BC

3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4-25 시즌에 대한 내용은 아탈란타 BC/2024-25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아탈란타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그리스 신화에 대한 내용은 아탈란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미국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애틀랜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파일:세리에 A 로고.svg
2024-25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파일:SSC 나폴리 로고_skyblue.svg
파일:SS 라치오 로고.svg
파일:US 레체 로고.svg
파일:AS 로마 로고.svg
파일:AC 몬차 로고.svg
파일:AC 밀란 로고.svg
파일:베네치아 FC 로고.svg
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svg
파일:볼로냐 FC 1909 로고.svg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파일:엠폴리 FC 로고.svg
파일:우디네세 칼초 로고.svg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파일:유벤투스 FC 로고(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font-size: 0.8em"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파일:제노아 CFC 로고.svg
파일:칼리아리 칼초 로고.svg
파일:코모 1907 로고.svg
파일:토리노 FC 로고.svg
파일:파르마 칼초 1913 로고.svg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
파일:세리에 B 로고 화이트 가로형.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프리메이라 리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파일:키프로스 국기.svg A 카티고리아스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수페르리가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프르바 HNL파일:그리스 국기.svg 수페르리가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리갓 하알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르바 리가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리가 I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프르바 리가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프리미어 리그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수페르리가파일:지브롤터 기.svg 풋볼 리그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프르바 CFL
파일:안도라 국기.svg 프리메라 디비지오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아탈란타 BC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67b2><colcolor=#fff> 산하 구단 아탈란타 BC · 아탈란타 BC U23 · 아탈란타 BC 프리마베라
연고지 롬바르디아베르가모
역사 역사 · 감독
2020-21 · 2023-24 · 2024-25 /리그
더비 파일:브레시아 칼초 로고.svg 데르비 롬바르도
구단 시설 게비스 스타디움
기타 2024 UEFA 유로파 리그 결승전 · 지안 피에로 가스페리니
}}}}}}}}}}}} ||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아탈란타 BC
Atalanta BC
<colbgcolor=#0067b2><colcolor=#fff> 정식 명칭 Atalanta Bergamasca Calcio SpA
별칭 여신 (La Dea)[1]
네라주리 (Black-blues)[2]
오로비치 (Gli Orobici)[3]
레지나 델레 프로빈찰리 (Regina delle provinciali)[4]
약칭 ATA
창단 1907년 10월 17일 ([age(1907-10-17)]주년)[5]
소속 리그 세리에 A (Serie A)
연고지 롬바르디아베르가모 (Bergamo)
홈구장 게비스 스타디움 (Gewiss Stadium · 26,524명 수용)
라이벌 브레시아 칼초 - 데르비 롬바르도
구단주 안토니오 페르카시 (Antonio Percassi)[6]
스티븐 팔리우카 (Stephen Pagliuca)[7]
감독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지안 피에로 가스페리니 (Gian Piero Gasperini)
주장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하파엘 톨로이 (Rafael Tolói)
부주장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마르턴 더론 (Marten de Roon)[8]
영구결번
12
서포터즈 (Supporters)
14
페데리코 피사니 (Federico Pisani)
80
엘리오 코르바니 (Elio Corbani)
UEFA 랭킹 21위 출처
공식 웹사이트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우승 기록
세리에 B
(6회 / 최다 우승)
1927-28, 1939-40, 1958-59, 1983-84, 2005-06,
2010-11
세리에 C1
(1회)
1981-82
코파 이탈리아
(1회)
1962-63
UEFA 유로파 리그
(1회)
2023-24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잔루카 스카마카 (Gianluca Scamacca)
(2023년, From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3,000만 유로)
최고 이적료 방출
[[덴마크|]][[틀:국기|]][[틀:국기|]] 라스무스 호일룬 (Rasmus Højlund)
(2023년, To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8,500만 유로)
파일:2024 유로파 리그 우승 패치.png
UEFA Europa League Champion
2023-24 UEFA 유로파 리그 챔피언

1. 개요2. 명칭3. 스쿼드4. 역사
4.1. 역대 감독4.2. 시즌별 리그 순위
5. 영구 결번6. 서포터즈7. 여담8. 둘러 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atalantawin.jpg

이탈리아 세리에 A 소속의 프로 축구 클럽. 연고지는 롬바르디아베르가모[9] 홈구장은 게비스 스타디움.

아탈란타는 1907년 창단 후 세리에 A중 하위권에서 머물면서 승격[10]과 강등 을 반복하던 팀이었으며 메이저트로피 역시 1962/63 시즌, 코파 이탈리아 트로피 1개에 불과한 클럽이었다. 그러다 09-10시즌 세리에 A로 승격하였고 13-14 안정적으로 중위권에 안착하며 점점 성적이 올라오기 시작하였고 16-17시즌 가스페리니 감독 취임 이후 팀에 스타플레이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유스 팜을 바탕[* 세리에A 에서 가장 풍부하고 성과가 좋은 유스 팜으로 유명하다 아탈란타 유스팜에 대표적인 선수들로 크리스티안 비에리, 필리포 인자기]), [[시모네 자자등이 있다. 다만 포텐이 터지면 바로 상위권 클럽에 팔아버리기 바빠서 가스페리니 감독이 이렇게 해서는 성적을 유지할 수 없다며 대놓고 빡친 적도 있다.][11]으로 가스페리니 감독의 매우 공격적인 전술인 일명 닥공전술이 효과를 보면서 18-19시즌에는 리그 3위[12]와 코파 이탈리아 결승 진출에 성공했으며 19-20시즌 첫 출전한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8강[13]과 리그에서 3위를 기록하였다 20-21시즌은 리그 3위를 기록하며 세리에 A 상위권 팀으로 자리를 어느정도잡았으며 이후 23-24 시즌에는 세리에 A 4위로 챔스 진출권 획득, 유로파리그에서 리버풀과 레버쿠젠[14] 등 챔피언스리그 단골 손님들을 연파하며 클럽 사상 첫 유럽 챔피언에 등극했다.

2. 명칭

아탈란타BC의 정식명칭은 아탈란타 베르가모 축구로( Atalanta Bergamasca Calcio SpA) 타 구단과 다르게 지역명이 아닌 아탈란타라는 이름이 먼저 오게 되었는데 이는 창단할 당시에 이미 FC 베르가모라는 팀이 먼저 창단되었기에 그리스 로마 신화의 전설적이고 용맹스러운 사냥꾼이자 여전사의 이름을 딴 아탈란테[15][16]가 되었다. 그래서 로고에 있는 여자 역시 아탈란테 여신이다.

3. 스쿼드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아탈란타 BC 2024-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탈란타 BC 2024-25 시즌 스쿼드[간략]
<colcolor=#373a3c,#ddd>
파일:Rafael Tolói(24-25).png
<colcolor=#373a3c,#ddd>
파일:Odilon Kossounou(24-25).png
<colcolor=#373a3c,#ddd>
파일:Isak Hien(24-25).png
<colcolor=#373a3c,#ddd>
파일:1000394166.png
<colcolor=#373a3c,#ddd>
파일:Ibrahim Sulemana(24-25).png
2 (C) 3 4 5 6
하파엘 톨로이
Rafael Tolói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DF
1990.10.10
2015~2025
오딜롱 코수누
Odilon Kossounou

파일:ivory-coast-flag-round-icon-256.png|DF
2001.01.04
2024~2025[2]
이삭 히엔
Isak Hien

파일:sweden-flag-round-icon-256.png|DF
1999.01.13
2024~2028
슈테판 포슈
Stefan Posch

파일:오스트리아 원형 국기.svg|DF
1997.05.14
2025[3]
이브라힘 술레마나
Ibrahim Sulemana

파일:가나 원형 국기.svg|MF
2003.05.22
2024~2028
파일:Juan Cuadrado(24-25).png
파일:Mario Pašalić(24-25).png
파일:Gianluca Scamacca(24-25).png
파일:Ademola Lookman(24-25).png
파일:Éderson(24-25).png
7 8 9 11 13
후안 콰드라도
Juan Cuadrado

파일:colombia-flag-round-icon-256.png|MF
1988.05.26
2024~2025
마리오 파샬리치
Mario Pašalić

파일:croatia-flag-round-icon-256.png|MF
1995.02.09
2020~2025
잔루카 스카마카
Gianluca Scamacca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FW
1999.01.01
2023~2027
아데몰라 루크먼
Ademola Lookman

파일:nigeria-flag-round-icon-256.png|FW
1997.10.20
2022~2026
에데르송
Éderson

파일:브라질 원형 국기.svg|MF
1999.07.07
2022~2027
파일:Marten de Roon(24-25).png
파일:Raoul Bellanova(24-25).png
파일:Charles De Ketelaere(24-25).png
파일:Berat Djimsiti(24-25).png
파일:Matteo Ruggeri(24-25).png
15 (VC) 16 17 19 (3C) 22
마르턴 더론
Marten de Roon

파일:netherlands-flag-round-icon-256.png|MF
1991.03.29
2017~2026
라울 벨라노바
Raoul Bellanova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MF
2000.05.17
2024~2029
샤를 더케텔라러
Charles De Ketelaere

파일:벨기에 원형 국기.svg|FW
2001.03.10
2024~2027
베라트 짐시티
Berat Djimsiti

파일:알바니아 원형 국기.svg|DF
1993.02.19
2016~2026
마테오 루제리
Matteo Ruggeri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MF
2002.07.11
2020~2028
파일:Sead Kolašinac(24-25).png
파일:Lazar Samardžić(24-25).png
파일:Marco Palestra(24-25).png
파일:Rui Patrício(24-25).png
파일:Marco Carnesecchi(24-25).png
23 24 27 28 29
세아드 콜라시나츠
Sead Kolašinac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원형 국기.svg|DF
1993.06.20
2023~2025
라자르 사마르지치
Lazar Samardzić

파일:serbia-flag-round-icon-256.png|MF
2002.02.24
2024~2025[4]
마르코 팔레스트라
Marco Palestra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MF
2005.03.03
2024~
후이 파트리시우
Rui Patrício

파일:포르투갈 원형 국기.svg|GK
1988.02.15
2024~2025
마르코 카르네세키
Marco Carnesecchi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GK
2000.07.01
2019~2026
파일:Francesco Rossi(24-25).png
파일:Mateo Retegui(24-25).png
파일:Giorgio Scalvini(24-25).png
파일:Marco Brescianini(24-25).png
파일:1000394167.png
31 32 42 44 70
프란체스코 로시
Francesco Rossi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GK
1991.04.27
2009~2025
마테오 레테기
Mateo Retegui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FW
1999.04.29
2024~2028
조르조 스칼비니
Giorgio Scalvini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DF
2003.12.11
2021~2028
마르코 브레시아니니
Marco Brescianini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MF
2000.01.20
2024~2025[5]
다니엘 말디니
Daniel Maldini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FW
2001.10.11
2025~2029
파일:Davide Zappacosta(24-25).png
77
다비데 차파코스타
Davide Zappacosta

파일:italy-flag-round-icon-256.png|MF
1992.06.11
2021~2025
감독: 지안 피에로 가스페리니 / 홈구장: 스타디오 디 베르가모
출처: 영어 위키백과, 공식 홈페이지, transfermarkt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2월 12일

[간략]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2] 바이어 04 레버쿠젠에서 임대[3] 볼로냐 FC 1909에서 임대[4] 우디네세 칼초에서 임대[5] 프로시노네 칼초에서 임대
}}}}}}}}}}}}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탈란타 BC/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67b2><tablebgcolor=#0067b2>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아탈란타 BC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2004년 ~ 현재
61대
로시
파일:UEFA EURO ITA.png
-
62대
콜란투오노
파일:UEFA EURO ITA.png
63대
델네리
파일:UEFA EURO ITA.png
-
64대
그레구치
파일:UEFA EURO ITA.png
-
65대
콘테
파일:UEFA EURO ITA.png
-
66대(대행)
보나치나
파일:UEFA EURO ITA.png
-
67대
무티
파일:UEFA EURO ITA.png
-
68대
콜란투오노
파일:UEFA EURO ITA.png
69대
레야
파일:UEFA EURO ITA.png
-
70대
가스페리니
파일:UEFA EURO ITA.png
◀ 아탈란타 BC 역대 감독(1대~60대)
: 세리에 A / : 세리에 B / : UEFA 유로파 리그
}}}}}}}}}}}}}}} ||

4.2. 시즌별 리그 순위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시즌별 리그 순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리그 순위
1919-20 1 프리마 카테고리아 롬바르디아 B조 3
1920-21 1 프리마 카테고리아 롬바르디아 E조 4
1921-22 1 프리마 카테고리아 롬바르디아 B조 3
1922-23 2 세콘다 디비시오네 북부 C조 1
1923-24 2 세콘다 디비시오네 북부 C조 3
1924-25 2 세콘다 디비시오네 북부 B조 7
1925-26 2 세콘다 디비시오네 북부 A조 4
1926-27 2 프리마 디비시오네 B조 2
1927-28 2 프리마 디비시오네 A조 1
1928-29 1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A조 14
1929-30 2 세리에 B 8
1930-31 2 세리에 B 6
1931-32 2 세리에 B 4
1932-33 2 세리에 B 16
1933-34 2 세리에 B B조 5
1934-35 2 세리에 B B조 7
1935-36 2 세리에 B 10
1936-37 2 세리에 B 2
1937-38 1 세리에 A 15
1938-39 2 세리에 B 3
1939-40 2 세리에 B 1
1940-41 1 세리에 A 6
1941-42 1 세리에 A 13
1942-43 1 세리에 A 9
1943-44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1944-45
1945-46 1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9
1946-47 1 세리에 A 8
1947-48 1 세리에 A 5
1948-49 1 세리에 A 15
1949-50 1 세리에 A 8
1950-51 1 세리에 A 14
1951-52 1 세리에 A 12
1952-53 1 세리에 A 8
1953-54 1 세리에 A 10
1954-55 1 세리에 A 15
1955-56 1 세리에 A 15
1956-57 1 세리에 A 14
1957-58 1 세리에 A 17
1958-59 2 세리에 B 1
1959-60 1 세리에 A 11
1960-61 1 세리에 A 9
1961-62 1 세리에 A 6
1962-63 1 세리에 A 8
1963-64 1 세리에 A 8
1964-65 1 세리에 A 11
1965-66 1 세리에 A 12
1966-67 1 세리에 A 11
1967-68 1 세리에 A 12
1968-69 1 세리에 A 16
1969-70 2 세리에 B 15
1970-71 2 세리에 B 2
1971-72 1 세리에 A 10
1972-73 1 세리에 A 14
1973-74 2 세리에 B 11
1974-75 2 세리에 B 6
1975-76 2 세리에 B 9
1976-77 2 세리에 B 2
1977-78 1 세리에 A 9
1978-79 1 세리에 A 15
1979-80 2 세리에 B 9
1980-81 2 세리에 B 18
1981-82 3 세리에 C1 A조 1
1982-83 2 세리에 B 8
1983-84 2 세리에 B 1
1984-85 1 세리에 A 10
1985-86 1 세리에 A 8
1986-87 1 세리에 A 15
1987-88 2 세리에 B 4
1988-89 1 세리에 A 6
1989-90 1 세리에 A 7
1990-91 1 세리에 A 10
1991-92 1 세리에 A 11
1992-93 1 세리에 A 8
1993-94 1 세리에 A 17
1994-95 2 세리에 B 4
1995-96 1 세리에 A 13
1996-97 1 세리에 A 10
1997-98 1 세리에 A 16
1998-99 2 세리에 B 6
1999-00 2 세리에 B 2
2000-01 1 세리에 A 7
2001-02 1 세리에 A 9
2002-03 1 세리에 A 15
2003-04 2 세리에 B 5
2004-05 1 세리에 A 20
2005-06 2 세리에 B 5
2006-07 1 세리에 A 8
2007-08 1 세리에 A 9
2008-09 1 세리에 A 11
2009-10 1 세리에 A 18
2010-11 2 세리에 B 1
2011-12 1 세리에 A 12
2012-13 1 세리에 A 15
2013-14 1 세리에 A 11
2014-15 1 세리에 A 17
2015-16 1 세리에 A 13
2016-17 1 세리에 A 4
2017-18 1 세리에 A 7
2018-19 1 세리에 A 3
2019-20 1 세리에 A 3
2020-21 1 세리에 A 3
2021-22 1 세리에 A 8
2022-23 1 세리에 A 5
2023-24 1 세리에 A 4
2024-25 1 세리에 A
}}}}}}}}}}}} ||

5. 영구 결번

아탈란타 BC 영구결번
No.12 서포터즈 No. 14 페데리코 피사니 No. 80 엘리오 코르바니

6. 서포터즈

2002년부터 아탈란타 서포터들이 매년 여름에 클럽을 축하하기 위해 여러 날 동안 열리는 축제인 La Festa della Dea(여신의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테르나나 칼초와 1980년대부터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외 클럽으로는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FC 바커 인스브루크와 우호 관계이다.

7. 여담

8. 둘러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 파일:UEL 심볼.svgUEFA 유로파 리그
우승 클럽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순서 우승팀 국가 첫 우승연도 우승 횟수
1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토트넘 홋스퍼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72년
2회
2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레드).svg 리버풀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73년
3회
3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74년
2회
4 파일: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로고.sv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파일:독일 국기.svg 1975년
2회
5 파일:유벤투스 FC 로고(2004~2017).svg 유벤투스 F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77년
3회
6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 PSV 에인트호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78년
1회
7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1980년
2회
8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입스위치 타운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81년
1회
9 파일:IFK 예테보리 로고.svg IFK 예테보리 파일:스웨덴 국기.svg 1982년
2회
10 파일:RSC 안데를레흐트 로고.svg RSC 안데를레흐트 파일:벨기에 국기.svg 1983년
1회
11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CF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5년
2회
12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파일:독일 국기.svg 1988년
1회
13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SSC 나폴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9년
1회
14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1년
3회
15 파일:AFC 아약스 로고(3성).svg AFC 아약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92년
1회
16 파일:파르마 FC 로고.svg 파르마 F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5년
2회
17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FC 바이에른 뮌헨 파일:독일 국기.svg 1996년
1회
18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FC 샬케 04 파일:독일 국기.svg 1997년
1회
19 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갈라타사라이 S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0년
1회
20 파일:FC 포르투 로고.svg FC 포르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3년
2회
21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발렌시아 CF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4년
1회
22 파일:CSKA 모스크바 엠블럼.svg PFC CSKA 모스크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2005년
1회
23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세비야 FC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6년
7회
24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2008년
1회
25 파일:FC 샤흐타르 도네츠크 로고.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09년
1회
26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0년
3회
27 파일:첼시 FC 로고.svg 첼시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2013년
2회
28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2017년
1회
29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비야레알 CF 파일:스페인 국기.svg 2021년
1회
30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아탈란타 B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4년
1회
※ 우승 횟수에 굵은 글씨로 되어 있는 클럽은 UEFA 배지 오브 오너 부착 가능 클럽 }}}}}}}}}


[1] 아탈란타 팀명의 유례인 아탈란테 여신에서 따왔다[2] 이탈리아어로 검정-파랑, 인테르도 사용 중이다[3] 오로비에 사람들[4] 중소 클럽의 여왕[5] #[6] 2020년 포브스 발표 이탈리아 부호 36위. 화장품 유통업체 Kiko Milano 창업주. 1970-77 아탈란타에서 선수 생활도 했었다.[7] 보스턴 셀틱스의 공동 구단주 중 한 명이며 2022년 2월 19일 페르카시에게서 지분 55퍼센트를 사와 공동 구단주에 오르게 되었다.[8] 3주장은 베라트 짐시티[9] 아탈란타와 베르가마스의 합병 이후에 1928년에 이전[10] 우승 6회로 세리에 B 최다 우승팀[11] 이러한 강력한 유스팜 덕분에 풋볼 매니저 시리즈에서도 사수올로와 더불어 상당히 좋은 모습을 보인다. 사수올로는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에 이름을 올리는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지만 아탈란타는 가끔씩 리그 우승도 하는 수준이다. 물론 객관적으로 보면 빅클럽은 아니라 경쟁자들에게 좋은 선수들을 뺏기는 편이고 이 때문에 왕조를 구축한다든가 하는 모습은 보기 힘들지만 현실보다 이것저것 따지는 점이 적은 게임 특성상 유망주가 팔려나가는 속도보다 새로운 유망주들이 치고 올라오는 속도가 빨라서 전력은 유지되는 편이다. 더구나 컴퓨터판보다도 단순한 모바일판의 경우에는 유망주 시스템이 곧 팀의 전력이나 다름없게 되어서 유럽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4강에 드는 등 매우 강한 모습을 보인다.[12] 첫 챔피언스 리그 진출[13] 당시 파리 생제르맹과의 경기는 명경기로 꼽힌다[14] 이 시즌의 레버쿠젠은 분데스리가를 무패로 제패하고 시즌 내내 51경기 연속 무패행진을 달린 독일 극강의 팀이었다.[15] 아탈란타의 별명인 여신(La Dea)도 이로 인하여 만들어 졌다[16] 철자가 비슷한 미국 도시인 애틀란타아틀란스에서 따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