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22:55:37

하파엘 톨로이


2 톨로이 · 4 지에구 코스타 · 5 아르볼레다 · 6 세드리크 · 7 루카스 모우라 · 8 오스카 · 9 칼레리 (VC)
10 루시아누 · 11 네스토르 · 13 디아스 · 15 호드리기뉴ㆍ16 L. 구스타부ㆍ17 앙드레 시우바
18 웬데우ㆍ21 D. 보바디야 · 23 하파에우 · 27 W. 하투ㆍ28 A. 프랑코ㆍ29 파블루 마이아
30 모레이라 · 31 후앙 · 32 페라레시 · 33 에리키 · 36 파트리키ㆍ39 윌리앙ㆍ43 니캉 · 44 M. 벨렝
46 네그루시 · 47 페헤이라 · 50 이앙기 · 93 장드레이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에르난 크레스포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하파엘 톨로이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아탈란타 BC 주장
알레한드로 고메스
(2017~2021)
하파엘 톨로이
(2021~2025)
마르턴 더론
(2025~ )
}}} ||
하파엘 톨로이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mpeonato_Brasileiro_S%C3%A9rie_A_logo.png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우승 멤버
2020
}}} ||
파일:toloi_site.png
상파울루 FC No. 2
라파엘 톨로이[1]
Rafael Tolói
<colbgcolor=#000><colcolor=#fff> 출생 1990년 10월 10일 ([age(1990-10-10)]세)
브라질 마투그로수주 글로리아두이스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
신체 185cm / 체중 75kg[3]
포지션 센터백
주발 오른발
등번호 이탈리아 대표팀 3
아탈란타 BC 2
소속 <colbgcolor=#000><colcolor=#fff> 유스 고이아스 EC (2007~2009)
선수 고이아스 EC (2009~2012)
상파울루 FC (2012~2015)
AS 로마 (2014 / 임대)
아탈란타 BC (2015~2025)
상파울루 FC (2025~ )
국가대표 14경기[4] (이탈리아 / 2021~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역대 등번호 <colbgcolor=#fff,#191919>이탈리아 대표팀 - 2번, 3번, 4번, 6번, 13번, 15번, 25번
고이아스 EC - 3번
상파울루 FC - 2번, 3번
AS 로마 - 2번
아탈란타 BC - 2번, 3번, 22번
후원사 푸마
}}}}}}}}} ||

1. 개요2. 클럽 경력
2.1. 브라질 리그 시절2.2. 아탈란타 BC2.3. 상파울루 FC 2기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
6. 같이 보기

1. 개요

이탈리아 국적의 상파울루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2. 클럽 경력

2.1. 브라질 리그 시절

브라질 고이아스 EC에서 프로 데뷔해 2009 시즌부터 주전 멤버로 뛰며 2012년까지 180경기를 출전했고, 두 차례 캄페오나투 고이아누 우승(2009, 2012)을 이끌며 유망주 센터백으로 주목받았다.

고이아스에서 보여준 활약으로 브라질 명문팀 상파울루 FC에 입단, 첫 시즌 주전으로서 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을 이끌며 맹활약했다.

2013 시즌 종료 후에는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이탈리아의 AS 로마로 잠시 임대돼 유럽 무대를 경험했고, 시즌 끝난 뒤 다시 상파울루로 돌아와 2015 시즌까지 활약했다.

2.2. 아탈란타 BC

2015년 8월 26일, 아탈란타 BC로 이적했다. 첫 시즌부터 주전을 차지하며 이탈리아 무대에 성공적으로 연착륙했고, 지안 피에로 가스페리니 감독이 부임한 2016-17 시즌부터는 세리에 정상급 센터백으로 올라섰다.

2017-18 시즌에도 안드레아 마시엘로, 마티아 칼다라 등과 호흡을 맞추며 리그에서 손꼽히는 활약을 펼쳤으나, 2018-19 시즌에는 내내 잔부상에 시달리며 많은 출전을 기록하지 못했다.

2021년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파푸 고메스가 세비야로 이적하면서 부주장에서 팀의 새 주장이 되었다.

2023-24 시즌부터는 잦은 부상과 함께 급격한 노쇠화로 인해 확실히 예전보다 속도가 느려지면서 벤치에 앉는 경기가 많아졌다.

2024-25 시즌 챔피언스 리그 녹아웃 PO 2차전 브뤼허와의 홈 경기에서 후반 41분 보복성 반칙으로 다이렉트 퇴장당하며 팀의 플레이오프 탈락에 쐐기를 박았다.[5] 구단 챔피언스 리그 역사를 넘어 이탈리아 축구계 역사에 남을만한 추한 퇴장으로 화제가 되었다.[6]

2.3. 상파울루 FC 2기

2025년 8월 16일, 자신의 친정팀인 상파울루로 FA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2026년까지며, 일정 목표 달성시 1년 연장 옵션이 있다.

3. 국가대표 경력

브라질 U-20 소속으로 19경기를 출전했으며, 2009 FIFA U-20 월드컵에 참가했다.

2021년 2월 17일에 FIFA가 톨로이의 이탈리아에서 "특정 국가에서 5년을 머무르면 특별 귀화 조건에 해당된다"는 조건을 충족해 국적 변경을 승인했다. # 2021년 3월 월드컵 예선을 앞둔 상태에서 이탈리아 대표팀 명단에 소집되었다. 3월 21일 리투아니아전에서 A대표팀에 데뷔하였다. 이후 코로나19로 1년 연기되어 2021년 여름에 열리는 UEFA 유로 2020 명단에도 뽑혔다.

4. 플레이 스타일

아탈란타 3백 시스템을 잘 이해하는 뛰어난 수비 지능이 최대 장점인 수비수이다. 주로 3백의 우측 스토퍼로 출전하며, 상대의 패스를 읽고 볼을 차단하거나 클리어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키가 큰 것은 아니지만, 피지컬은 뛰어나서 자신의 어깨를 활용하는 몸싸움을 통해 상대의 공격을 저지하는 데 능하다. 스피드도 빠르고 브라질리언답게 발밑도 부드러워서 패스와 드리블을 이용한 빌드업에도 능숙한데 이를 통한 우측에서의 전진 플레이에 매우 능숙한 모습을 보인다. 리더십도 뛰어나서 아탈란타 3백의 수비 조율을 맡을 정도로 수비 리딩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인다.

다만, 수비 스킬이 깔끔하지 못해서 카드를 많이 수집하고, 잔부상이 많은 편이라 경기에 못 나오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6. 같이 보기

1 시리구 · 2 디 로렌초 · 3 키엘리니 ⓒ · 4 스피나촐라 · 5 로카텔리 · 6 베라티 · 7 카스트로빌리 · 8 조르지뉴 · 9 벨로티
10 인시녜 · 11 베라르디 · 12 페시나 · 13 에메르송 · 14 키에사 · 15 아체르비 · 16 크리스탄테 · 17 임모빌레
18 바렐라 · 19 보누치 · 20 베르나르데스키 · 21 돈나룸마 · 22 라스파도리 · 23 바스토니 · 24 플로렌치 · 25 톨로이 · 26 메렛
파일:UEFA EURO ITA.png 로베르토 만치니

[1] 브라질 출신이나 이탈리아 국적 취득으로 인해 이탈리아어 표기법에 따른다. 본래는 '하파에우 톨로이'[2] 2021년 2월 17일에 브라질 국적에서 이탈리아로 귀화했지만, 트랜스퍼마켓 공식 사이트에서는 브라질 국적도 보유한 것이 확인되었다.[3] 아탈란타 BC 공식 프로필[4] 2023년 6월 18일 기준[5] 물론 합산 3골차로 뒤쳐지고 있어서 맨유와 리옹의 유로파리그 8강 2차전같은 기적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어차피 탈락이었다.[6] 공을 상대 선수에게 던지는 비신사적인 보복을 하려다 공이 손에 미끄러지는 바람에 순간적으로 남아있는 이성마저 사라진 모습으로 상대 선수에게 달려들었다. 가뜩이나 좌절한 상태에서 민망함까지 더해지니 주장의 모습은 온데간데없어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