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6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룹 A · 그룹 B · 그룹 C) |
| |
AC 몬차 | |
AC Monza | |
<colbgcolor=#d81424><colcolor=#fff> 정식 명칭 | Associazione Calcio Monza S.p.A. |
별칭 | Biancorossi (The White and Reds) |
창단 | 1912년 9월 1일([age(1912-09-01)]주년) |
소속 리그 | 세리에 B (Serie B) |
연고지 | 롬바르디아 주 몬차 (Monza) |
홈구장 | 스타디오 브리안테오 (Stadio Brianteo)[1] (18,568명 수용) |
구단주 |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 (Evangelos Marinakis)[2] |
회장 |
파올로 베를루스코니 (Paolo Berlusconii) |
부회장 |
아드리아노 갈리아니 (Adriano Galliani) |
CEO | 공석 |
단장 | 미켈레 프랑코 (Michele Franco) |
감독 |
파올로 비앙코 (Paolo Bianco) |
주장 |
마테오 페시나 (Matteo Pessina) |
부주장 | 공석 |
공식 웹사이트 | |
약칭 | MON |
우승 기록 | |
세리에 C (4회) | 1950-51, 1966-67, 1975-76, 2019-20 |
세리에 D (1회) | 2016-17 |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4회) (최다우승) | 1973-74, 1974-75, 1987-88, 1990-91 |
클럽 기록 | |
최고 이적료 영입 |
마테오 페시나 (Matteo Pessina)(2023년, From 아탈란타 BC, 1,200만 €) |
최고 이적료 방출 |
카를루스 아우구스투 (Carlos Augusto)(2024년, To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300만 €) |
1. 개요
포뮬러 원 스쿠데리아 페라리의 홈 서킷으로 유명한 롬바르디아 주 몬차를 연고로 하는 축구단이다. 현재 세리에 B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2. 역사
1912년에 프로 이탈리아(Pro Italia)와 프로 몬차(Pro Monza)의 합병에 따라 창단식을 가졌다.2.1. 베를루스코니의 인수, 현재
2016-17 시즌에 이탈리아의 4부리그인 세리에 D 그룹 B에서 34전 24승 8무 2패 승점 80점으로 세리에 D 우승을 일궈내며 3부리그인 세리에 C로의 승격에 성공한다!2019-20 시즌에 잔인한 방식의 세리에 C의 승격 플레이오프의 서러움을 겪던 몬차는 아예 19-20 시즌에 27전 18승 7무 2패 승점 61점으로 그룹 A에서 1위, 우승을 차지하며 승격 플레이오프를 패스하고 세리에 B로 승격 직행에 성공한다! 19년만의 세리에 B 복귀다.
2020-21 시즌. 19년만의 세리에 B에서 38전 17승 13무 8패 승점 64점으로 리그에서 3위를 차지, 승격 하자마자 승격 플레이오프 4강 진출권을 따내는데 성공한다![3] 그러나 세리에 B - 승격 플레이오프 4강에서 치타델라에게 1차전 0-3 패배, 2차전 2-0 승리로 도합 2-3으로 밀리면서 세리에 A 승격에는 실패한다. 코앞에서 승격 직행권을 놓친 몬차 입장에선 실로 배아픈 상황이다.
2021-22 시즌. 리그에서는 38전 19승 10무 9패로 승점 67점을 쌓았고, 같은 승점의 피사 SC에게 승자승으로 밀린 리그 4위를 차지한다. 어찌됐건, 또다시 승격 플레이오프 4강에 진출한다. 승격 플레이오프 4강 상대는 8강전을 이기고 온 브레시아 칼초. 1차전과 2차전을 모두 2-1로 승리하며 결승전에 진출한다. 승격 플레이오프 결승전 상대는 피사 SC다.
1차전에서 2-1로 승리, 2차전에서 2-3으로 끌려가며 도합 4-4로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마로네의 연장 전반 6분 골, 기트카에르의 연장 전반 11분 쐐기골이 연달아 터지며 2차전을 극적으로 4-3으로 승리, 도합 6-4로 승리하며 창단 최초로 세리에 A 승격을 확정지었다!!
2022-23 시즌. 창단 첫 세리에 A 경기였던 개막전 토리노 FC와의 홈경기에서 1-2 패배를 당했다. 그리고 SSC 나폴리와 우디네세 칼초, AS 로마, 아탈란타 BC에 내리 패하며 개막 5연패를 당해 단독 꼴찌가 됐다.
6라운드 승격동기였던 레체 원정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며 창단 첫 세리에 A 승점을 따냈다. 그리고 7라운드 대형사고를 쳤다. 세리에 최다우승팀 유벤투스 FC를 상대로 디 마리아의 퇴장으로 수적 우세를 등에 업은 뒤 후반 29분 크리스티안 귀트케르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뒀다. 창단 첫 세리에 A 승리를 세리에 A 최다우승팀을 상대로 거둔 것이다. 이 승리로 몬차는 꼴찌에서 벗어나 18위로 올라섰다.20라운드 유벤투스 원정에서마저 0-2 승리를 거두며 창단 첫 세리에 A 더블을 세리에 최다우승팀을 상대로 기록하게 되었다. 이후 35라운드 우승을 확정한 나폴리를 잡으며 어느새 9위까지 올라왔다.
최종 순위 총 38전 14승 10무 14패로 승점 52점을 쌓으며 리그 11위를 기록, 창단 첫 세리에 A에서의 성적을 굉장히 준수하게 만들며 나름 성공적인 시즌을 보낸다.
2023년 6월 12일, 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향년 86세로 세상을 떠나면서 구단주는 공석이 되었다. 2023년 6월 13일 노팅엄 포레스트 FC와 올림피아코스 FC의 구단주로 알려진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 구단주가 새롭게 AC 몬차를 인수하였다.
한편, 코파 이탈리아에서는 본선 1라운드(64강)으로 직행한 후, 64강에서 프로시노네 칼초에 3-2 승리를 거두며 32강에 진출했으며 32강에서 우디네세 칼초를 만나는데, 후반전 23분에 역전골을 먹으며 1-2로 끌려가나 했으나 2분만에 동점골, 또 2분 후에 역전골을 터뜨리며[4] 3-2로 역전승리를 일궈내고 사상 첫 16강 진출에 성공한다! 16강 상대는 리그에서 더블에 성공한 유벤투스전. 여기서는 1-2로 패배하며 탈락한다.
24-25시즌 미켈레 디그레고리오, 안드레아 콜파니, 밀란 주리치, 파블로 마리 등 핵심 선수들의 이적으로 전력 약화가 두드러졌고, 심지어 알레산드로 네스타를 경질 후 재선임하는 최악의 상황도 이어졌다. 결국 승점 15점인 상태에서 홈경기 아탈란타에게 0-4로 패배하며 리그 3경기를 남기고 꼴찌로 강등이 확정되었다. 셀링클럽이라 이적 공백도 못 메웠고, 감독도 바뀌고, 여러모로 황폐화된 상황이었던지라 뭘 어쩔 수 없었던 부분. 다음 시즌부터는 세리에 B에서 시작한다.
2.2. 리그 소속 기간
- 1부/세리에 A: 2022-2025 (3시즌)
3. 현재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AC 몬차 2025-26 시즌 스쿼드 | |||||
번호 | 포지션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
1 | GK | | 세무엘 피치냐코 | Semuel Pizzignacco | ||
2 | DF | | 아르비드 브로르손 | Arvid Brorsson | ||
3 | DF | | 로렌초 루체시 | Lorenzo Lucchesi | [1] | |
4 | DF | | 아르만도 이초 | Armando Izzo | ||
7 | MF | | 파울루 아치 | Paulo Azzi | ||
9 | FW | | 미르코 마리치 | Mirko Marić | ||
10 | FW | | 잔루카 카프라리 | Gianluca Caprari | ||
11 | FW | | 오마리 포슨 | Omari Forson | ||
13 | DF | | 루카 라바넬리 | Luca Ravanelli | ||
14 | MF | | 페드로 오비앙 | Pedro Obiang | ||
15 | DF | | 필리포 카리 | Filippo Carri | ||
16 | MF | | 자코포 사르도 | Jacopo Sardo | ||
17 | FW | | 케이타 발데 | Keita Baldé | ||
18 | MF | | 케빈 제롤리 | Kevin Zeroli | [2] | |
19 | DF | | 사무엘레 비린델리 | Samuele Birindelli | ||
20 | GK | | 뎀바 시암 | Demba Thiam | ||
21 | MF | | 레오나르도 콜롬보 | Leonardo Colombo | ||
23 | MF | | 니콜라스 갈라치 | Nicolas Galazzi | ||
24 | DF | | 아담 바쿠네 | Adam Bakoune | ||
25 | FW | | 아구스틴 알바레스 | Agustín Álvarez | [3] | |
26 | FW | | 파트리크 치우리아 | Patrick Ciurria | ||
27 | DF | | 사무엘레 카폴루포 | Samuele Capolupo | ||
28 | MF | | 안드레아 콜파니 | Andrea Colpani | ||
32 | MF | | 마테오 페시나 | Matteo Pessina | 주장 | |
33 | DF | | 사베리오 도마니코 | Saverio Domanico | ||
37 | FW | | 안드레아 페타냐 | Andrea Petagna | ||
43 | GK | | 알랴주 스트라이나르 | Aljaž Strajnar | ||
44 | MF | | 안드레아 카르보니 | Andrea Carboni | ||
47 | FW | | 다니 모타 | Dany Mota | ||
- | DF | | 발렌틴 안토프 | Valentin Antov | ||
구단주: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 / 감독: 파올로 비앙코 / 구장: 스타디오 브리안테오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14일 | ||||||
|
4. 여담
- 창단 당시에는 유니폼 색깔이 파란색과 흰색이었지만 1932년 9월에 빨간색과 흰색으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