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5:34:19

불멸기원

기년법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colcolor=#FFF> 종교기년 <tablebgcolor=#FFF,#1F2023>불멸기원 | 서력기원 | 에티오피아력 | 우주력 | 공기 | 원기 | 포덕 | 도기 | 콥트력 | 이슬람력 | 페르시아력 | 히브리력
건국기년 파일:조선 어기.svg 개국기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단군기원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호 | 파일:대만 국기.svg 민국기년 | 파일:일본 국기.svg 황기 | 파일:청나라 국기.svg 황제기원
즉위기년 연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연호)
탄생기년 파일:북한 국기.svg 주체년호 †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키루스 기원
태세기년법 육십갑자
기타 인류력
†: 폐지된 기년법 }}}}}}}}}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파일:1px 투명.svg불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세계관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상징 법륜 ·
경전 불경 · 결집
종파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계율 5계 · 오신채
사원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미술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법구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의식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49재) · 참선 · 사경
문화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불자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기타 가부좌 · 사리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1. 개요2. 상세

1. 개요

佛滅紀元
서기 20[age(2000-01-01)]년은 불기 2[age(1456-01-01)]년이다.
불멸기원(佛滅紀元)은 그 이름대로 석가모니가 열반한 해, 즉 불멸(佛滅)한 연도를 기점으로 헤아리는 기년법으로 줄여서 '불기(佛紀)'라고 부른다. 그 이름대로 불교적인 기년법이라 불교계 외에서는 쓰이지 않지만 불교 관련 건축물이나 행사 보도, 문화재 명문 등에 사용하기 때문에 불교계 한정으로는 서기에 준하여 사용한다고 해도 될 정도로 흔히 쓰인다. 현대 한국 불교에서 사용하는 불기는 정확히는 '남방불기'다.

한편 상좌부 불교와 별개로 북방불교(대승 불교)에서 사용하던 기년법도 있는데 남방불기와 대비하여 '북방불기'라고 부른다. 북방불기는 석가모니의 생몰년을 다르게 보고 그 중 '생년'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불멸기원'이라고 부를 수 없지만 '불기'란 말을 '불교의 기원紀元'이란 뜻으로 받아들였는지 흔히들 '북방불기'라고 부른다.

2. 상세

오늘날 한국 불교에서 사용하는 '불기'는 남방불기로, 남방불교(상좌부 불교)의 전통을 따라 석가모니 생몰년을 기원전 624년 ~ 기원전 544년으로 보고 열반한 해를 원년(1년)으로 삼아 연도를 헤아린다. 석가모니가 태어난 때가 아니라 입적한 때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이런 실수가 나오기도 한다.

불기 원년(1년)은 기원전 544년이므로 서기를 불기로 변환할 때는 544를 더하면 된다. 쉽게 말해 서기 2000년은 불기 2544년인 셈.

정말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하안거가 끝난 다음날부터 다음 하안거를 마친 날까지를 한 해로 보지만[1] 오늘날은 간편하게 양력을 사용한다.

한편 북방불교(대승 불교) 지역에서 사용하던 불교적 기년법도 있는데 남방불기와 대비하여 '북방불기'라고 부른다. 북방불기는 석가모니의 생몰년을 기원전 1027~ 기원전 949년으로 보고 석가모니가 탄생한 해를 기원(1년)으로 삼는다. 과거에 북방불기를 주로 세존응화(世尊應化), 또는 줄여서 응화(應化)라고 불렀는데 이 또한 북방불기가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준으로 함을 드러내는 표현이다. 남방불기와 북방불기는 석가모니의 생몰년도를 다르게 볼 뿐만 아니라 생년과 열반년 중 어느 쪽을 기원으로 삼느냐까지도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서기 20[age(2000-01-01)]년은 북방불기 30[age(1973-01-01)]년이다. 북방불기는 기원전 1027년을 원년(1년)으로 삼는다.

한국 불교계에서 더러 '세존응화'라고 하면서도 남방불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아마도 불기와 세존응화를 같은 뜻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인 듯하지만 남방불기는 '열반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세존응화'라는 호칭과 의미가 전혀 맞지 않는다.

1956년에 부처 입멸 2500년을 기념하여 열린 세계불교대회에서 불교 국가 대부분의 불기가 남방불기 기준으로 통합되었으므로 북방불기는 역사자료를 연구하다 북방불기 관련 연도를 계산해야 할 때를 제외하면 쓰이지 않는다.

한편 동아시아 대승 불교권에서 석가모니의 열반년을 기준으로 한 기년법이 쓰인 사례가 아주 없지는 않았다. 다른 나라는 모르지만, 적어도 신라에서는 열반년을 원년으로 삼아 연도를 헤아린 사례가 제법 있었다. 국보 제117호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에서 발견된 조상기(造像記)[2]에 이런 글귀가 있다.
당성불시석가여래입멸
當成弗時釋迦如來入滅
후일천팔백팔년이차시
後一千八百八年耳此時
정왕즉위제삼년야
情王卽位第三年也
이 불상을 조성한 때는 석가여래 입멸 후 1808년이다. 이때는 정왕情王(헌안왕) 즉위 3년이다.
북방불교에서 석가모니가 열반한 연도를 기원전 949년이라고 보므로 이를 원년으로 삼아 1808년이 되는 해를 헤아리면 서기 859년이다. 또 삼국사기에 따르면 헌안왕 3년은 859년이므로 서로 일치한다. 이처럼 신라의 불교 관련 유물에서는 연도를 중국의 연호, 신라 왕 재위년과 함께 석가모니가 열반한 이래 몇 년인지로 섞어 표기한 사례가 제법 있다. 동제염거화상탑지에서도 이렇게 연도를 표기하였다.

역사적으로 석가모니가 입적한 해는 명확하진 않다. 고대 인도인들은 기록보다는 구전을 중시했기에 부처님의 탄신일과 입멸일을 정확히 기록하는 사료는 현존하지 않는다. 단지 석가모니가 80년간 살았다는 사실만이 확실할 뿐이다. 현재 표준화된 남방불기는 마우리아 왕조아소카 왕이 석가모니 사후 218년에 즉위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이를 기준으로 삼아 계산하였는데 사실 이 기록도 인도를 공격했던 알렉산드로스 3세의 연대로 따져본 것이다. 그 외에는 아소카 왕이 기준인 건 같지만 석가모니 입적 후 100년째 되는 해에 아소카 왕이 즉위했다는 기록을 기준으로 불기를 산정했다.

태국에서는 불기를 법정 기년법으로 쓴다. 아예 영어 위키백과의 2012년 항목이 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불기 2555년으로 링크될 정도. 태국에서 쓰는 불기는 한국에서 쓰는 불기보다 1년이 늦다. 이것은 역법상의 문제로 보이는데, 안거를 기준으로 불기를 헤아릴 경우 서기 2000년은 불기 2543~2544년에 걸쳐 있다. 다른 나라들은 빠른 쪽을 택했지만 태국은 늦는 쪽을 택했다. 태국 불교계는 불멸연도를 기원전 545년으로 보는데 태국 불교계로서는 기원전 544년을 기준으로 한 불기를 채택함이 꽤 불만족스러웠을 것이다. 참고 자료 서기를 태국 불기로 바꾸려면 543을 더하면 된다.

한국에서는 1966년부터 대한불교조계종이 기존의 북방불기 대신 남방불기를 채택하기로 결정하여 현재에 이른다. 2007년에 한국 불교가 사용하는 '남방불기'가 표준(?)보다 1년이 더 빠르므로 고쳐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한국 불교계에서 당황하기도 했다. 요컨데 태국 등의 불기보다 한국이 1년 더 빠르다는 것. 하지만 조사 결과 태국이나 라오스 등은 한국보다 1년이 더 늦지만 미얀마나 스리랑카 등은 한국과 똑같기 때문에 한국이 채택한 남방불기가 딱히 잘못이라고 할 수 없었다. 또 숫자를 많이도 아니고 겨우 1년을 바꾼다면 더욱 혼란스러울 터이므로 바꾸지 않기로 하였다.

불교의 사찰에서 법회를 할 때는 꼭 연도를 불기로 말한다. 또한 사찰을 비롯한 불교단체 건물에 있는 달력은 서기와 불기를 모두 표기한다.


[1] 불멸기원의 유래를 생각하면 당연한 일이다. 석가모니가 열반한 뒤 승려들이 '우리가 부처님 없이 하안거를 몇 번이나 했는가?'를 따진 데에서 불멸기원이 시작되었으니 당연히 하안거 날짜가 기준일 수밖에 없다.[2] 불상을 조성한 사유를 적은 기록. 보림사 비로자나불상은 왼쪽 팔뚝 뒤편에 양각으로 주조한 조상기가 있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