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0:17:37

가사(의복)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파일:1px 투명.svg불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세계관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상징 법륜 ·
경전 불경 · 결집
종파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계율 5계 · 오신채
사원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미술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법구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의식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49재) · 참선 · 사경
문화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불자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기타 가부좌 · 사리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1. 개요2. 형태별 분류
2.1. 웃따라상가(uttarāsaṅga)2.2. 안따르와사(antarvāsa)2.3. 상가띠(saṃghāti)
3. 나라별 가사
3.1. 인도의 가사3.2. 한국의 가사
3.2.1. 형태3.2.2. 입는 방법3.2.3. 변형
3.3. 일본의 가사3.4. 중국의 가사3.5. 스리랑카의 가사3.6. 태국의 가사3.7. 미얀마의 가사

1. 개요

가사()는 승려가 장삼 위,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법의(法衣)를 말한다. 원래는 인도의 승려나 비구니들이 자신의 몸을 감는 옷에서 유래했다. 그냥 펼쳐 놓으면 그냥 평범한 직사각형이지만 입는 방법이 대단히 복잡하고 입은 걸 보면 묘한 간지가 느껴진다.

산스크리트어의 'काषाय(Kasaya)'[1]의 음역어이다. 분소의(糞掃衣)라고도 하는데 수행자들이 버려진 옷감 조각을 기워 흙과 분뇨를 이용해 염색하여 사용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한국 불교에서는 가사를 입는 행위를 '수(垂)하다.'라고 표현한다. 그래서 "아무개 스님이 가사를 수하시고..."라고 하면 가사를 착용했다는 뜻이다.

2. 형태별 분류

착용 방법에 따라 편단우견(왼쪽으로 둘러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인도 전통예법에 따른 방식)과 통견(양 어깨를 둘러서 덮는 방식)으로 구분한다. 승려를 나타내는 일종의 제복 역할을 하며, 전래지인 인도와 남방불교에선 일상복으로 사용되나 북방불교에선 추운 기후로 장삼(長衫)을 평상복으로 하여 가사는 장삼의 위에 걸치는 예복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불교와 함께 전래되며 색상이나 문양에 따라 각 종단의 유니폼 역할을 하기도 한다.

2.1. 웃따라상가(uttarāsaṅga)

파일:웃따라~1.gif
무릎 아래부터 상체까지 덮는 윗가사. 형태로는 양쪽 어깨를 모두 천으로 감아서 가리는 통견(通肩)과 왼쪽 어깨만 감아서 가리고 오른쪽 어깨는 드러낸 우견편단(右肩偏袒)이 있다.[2][3]

2.2. 안따르와사(antarvāsa)

파일:안따라~1.gif
사진처럼 거의 치마처럼 두르는, 하체를 가리는 아래가사이다. 원래 거의 치마에 가까웠던 안따라와사는 후술할 상가띠와 함께 동아시아로 전래되면서 두 의복을 합치고 단순화하면서 후술할 한국의 가사처럼 정착되었고 현재 한국이나 일본에서 쓰이는 가사는 거의 대부분 안따르와사이다. 한자문화권에선 음역하여 안타회나 오조의(오조가사)라고 하나, 일제강점기 일본 영향으로 현대 한국에서는 오조가사 하면 후술할 괘락이랑 이름이 혼용된다. 관련기사

2.3. 상가띠(saṃghāti)

파일:상가띠~1.gif
파일:St-Wear.jpg
의복이라기보다는 거의 장식품에 가까운 의복. 우리말로는 중복가사라고 한다. 첫번째 이미지의 숄같은 외형과는 달리 두 번째 이미지처럼 우선 왼쪽 어깨에 걸고, 등 뒤에서 오른쪽 겨드랑이와 배 앞을 차례대로 지나 다시 왼쪽 팔 위에 거는 형태로 히마티온[4]과 완전 비슷한 형태. 불상에 묘사된 석가모니가 자주 입는 옷이다[5]. 인도 비구들은 자주색 통견 웃따라상가 위에 겨자색 상가띠를 또 입는다. 남방의 가사가 동아시아로 전래되는 과정에서 상술한 안따르와사와 통일되면서 후술할 한국의 가사와 같은 형태로 바뀐다. [6]

3. 나라별 가사

3.1. 인도의 가사

파일:2015112412265982.png
파일:2015112413041488.png
특별히 정해진 형태는 없는 듯 보이지만 대부분 자주색, 주황색 계통의 통견 웃따라상가를 입고 그 위에 역시 그 쪽 계통 색의 상가띠를 걸치는 듯하다.

3.2. 한국의 가사

파일:8tTkkhq.jpg
법정 스님의 사진. 조계종의 가사 모습을 보여준다. 일반적인 가사를 대가사라고 부르며 법계에 따라 조각 수가 달라지는데, 대종사, 명사는 25조, 종사, 명덕 21조, 종덕, 현덕 19조, 대덕, 혜덕 15조, 중덕, 정덕 9조, 견덕, 계덕은 7조 가사를 수하게 된다. 1995년 이후 구족계를 수지하지 않은 승려는 가사를 착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대가사 외에 반가사, 5조 가사도 있다.#

3.2.1. 형태

파일:5fjVoA2.jpg
맺음단추로 되어있는 형태.
파일:bko4UGl.jpg
고름을 매게 되어있는 형태. 참고로 이 사진은 바깥쪽 면이 앞으로 왔으며, 아래쪽 설명의 기준으로 좌우가 바뀌어 있다.
파일:sYKe3RM.jpg
가사띠 장식으로 맺게 된 형태. 참고로 오른쪽은 의천 영정.
파일:가사띠장식.png 파일:external/www.ibulgyo.com/82784_20222.jpg
위의 중앙에 구멍이 뚫린 원형(혹은 타원형) 판형장식 위에 일자형 장식을 놓고 생기는 두 활꼴의 구멍 중 하나에 두 가사띠를 겹쳐서 넣고 일자형 장식 위를 가로질러 나머지 활꼴 구멍에 그 두 가사띠를 넣어서 당시면서 조인다. 즉, 왈자조리개를 조일 때를 생각하면 된다.

한국의 가사는 거의 대부분이라 해도 좋을 정도로 안따르와사+상가띠 형태에 가깝다. 독특하게 단추나 고름, 혹은 가사띠 장식[7]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 형태는 안쪽 면을 앞쪽으로 오도록 했을 때거대한 붉은색 직사각형 천에 한 모서리의 왼쪽의 끝부분보다 어느 정도 여유를 두고 떨어진 곳에 끈이나 모서리에 맺음단추나 고름이 달렸고, 이 천의 모서리 부분에서 어느 정도[8] 아랫부분에(안쪽 면) 중앙에서 살짝 왼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단추고리나 나머지 고름이 달렸다.

또한 가사의 모습으로 종파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갈색, 혹은 갈색에 원이삼점 문양을 넣은 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붉은색 혹은 붉은색에 범어 진언을 넣은 가사는 대한불교천태종, 붉은색에 전통 가사의 형태를 계승하여 맺음단추를 쓰지 않고 귀퉁이에 천(天)자를 비롯해 한국의 전통 가사유물에서 보이는 다양한 자수와 무늬를 화려하게 놓은 가사를 사용하는 곳은 한국불교태고종이다. 다만 '어느 정도'라고 한정해서 써 놓았듯이, 군소 종단들의 가사는 고유한 가사보단 전술한 대형종단 가사와 큰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아 가사만으로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대한불교화엄종의 가사는 태고종과 비슷하고, 대한불교법화종 가사는 조계종과 큰 차이가 없거나, 또는 황색 가사를 착용한다. 법화종의 종정은 황색/금색 장삼을 입고 금빛 문자를 수놓은 괴색 가사를 수하는 듯하다.

의천, 사명당 문서의 그림에서 볼 수 있다시피 고려~조선시대엔 홍색의 가사가 주류였으나, 1947년 봉암사 결사 당시 성철스님의 주도로 괴색[9]을 사용하기 시작하여[10] 오늘날 조계종의 가사 색깔이 되었다. 태고종에선 해당 색을 규정한 율장을 비유적 표현으로 보고, 전통의 계승이란 의미로 홍색을 착용한다. [11]

3.2.2. 입는 방법

방향은 입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
  1. 왼쪽 부분을 어깨에 걸고 오른쪽 부분을 겨드랑이 아래 허리에 두른다.[12]
  2. 왼쪽 부분의 고름(혹은 단추)과 오른쪽 부분의 고름(혹은 고리)를 매듭을 짓는다. 이때 오른쪽 부분의 남는 천은 그냥 접어 내려뜨린다.

파일:r8zFPY9.jpg
파일:MKiQA0U.jpg
호국승군무예의 고수 청산스님의 가사. 입으면 대략 이런 모습이 된다. 다만 이건 왼쪽 소매를 장삼에 꿰메어 붙여놓았다. 가사는 대한불교화엄종의 가사다.참조링크

3.2.3. 변형

파일:external/v4imgs.pointshop.co.kr/cd000289.jpg

일반적인 가사를 대가사(大袈裟)라고 부르고 위와 같이 간략화된 형태를 만들어 반가사(半袈裟)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활동에 자유로워 짬이 찬 스님들(...)이 자주 사용한다.

파일:external/www.bulgyonews.kr/1370317069503.jpg
2015년 현 진각종 통리원장 회정정사사진출처
파일:external/www.milgyonews.net/nepal2.jpg
진각종 승직자들의 모습.사진출처

진각종의 경우 위 사진과 같은 낙자(絡子)를 착용한다. 진각종 외에도 포교사/법사 자격증을 가진 재가신자가 법회를 할 경우 낙자를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조계종에서도 군종 승려의 활동성을 위해 군복 위에 착용하는 낙자 형태의 전시가사를 2018년부터 도입하였다.군종교구 홈페이지 [13]

3.3. 일본의 가사

일본의 종단별 가사

파일:external/www.beopbo.com/767-15-1-3.jpg

일본 고야산진언종 금강봉사 승려들의 가사.사진출처 한국과 달리 무늬가 대체로 화려한 편이고, 착용방식도 가사띠와 고리로 매는 형태가 많다. 전통적인 웃따라상가 형태의 가사는 5조와 7조 형태가 주류이다.

일본 선종과 정토진종 승려들은 5조 가사의 일종인 낙자(絡子, 일본어 발음으로는 라쿠스)와 스톨 형태의 윤가사(輪袈裟, 일본어 발음으로는 와게사)를 많이 착용한다. 낙자라는 표현은 한국과 일본에서 서로 다르게 쓰이고 있다. 한국에서는 스톨 형태의 가사를 낙자라고 부르는데, 일본에서는 목에 거는 형태의 5조 가사를 낙자라고 부른다.

파일:external/shorinjikempo.or.jp/aun_k_vol24.jpg
일본에서는 낙자(絡子)라고 부르는 목에 거는 형태의 5조 가사를 착용한 승려.

파일:external/stat.ameba.jp/t01460323_0146032312522142347.jpg
윤가사(輪袈裟)를 착용한 승려. 한국에서 낙자(絡子)라고 부르는 스톨 형태의 가사를 일본에서는 윤가사(와게사)라고 부른다. 이런 형태의 가사는 당나라측천무후가 축소시켜 선승에게 법의 위에 입게 한 것에서 나왔다.

파일:external/www.ibulgyo.com/107406_43092.jpg
한국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과 만난 일본 정토진종 부원장 하야시 스님.(사진출처:불교신문)

3.4. 중국의 가사

파일:external/kr.people.com.cn/F201307101135342240987011.jpg
중국 북방 소재 불교 승려 가사(사진 출처: 소림사[중국 하남성 소재])

파일:external/image.kmib.co.kr/201510241938_61180009992359_1.jpg
남방 지역 소재 불교 사찰에서 입는 승려 복장(사진 출처: SBS "주먹쥐고 소림사" TV방영분)

3.5. 스리랑카의 가사

파일:external/www.hyunbulnews.com/269456_33346_5648.jpg

3.6. 태국의 가사

파일:external/www.hyunbulnews.com/275878_41157_334.jpg

3.7. 미얀마의 가사

파일:external/www.47news.jp/TR2013121901330.jpg
통견 가사를 착용한 동자승의 탁발 행렬

파일:external/www.ibulgyo.com/98565_34508.jpg

여자 수행자들은 분홍색 옷 위에 가사를 접어서 감아 고정시킨다. 미얀마를 비롯한 상좌부 불교에서는 비구니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위 여자들은 승려가 아니고 '띨라신'이라 불리는 평신도들이다.


[1] 괴색(칙칙한 붉은색)이라는 뜻이다.[2] 굳이 왼쪽 어깨만 가리는 이유는 인도에선 신성한 일에 오른손을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오른팔을 드러내야 승려로 활동할 때 편해서일 것으로 추정된다.[3] 경주남산 삼릉계2-삼릉계 제2사지의 유적 , 2011년 4월 16일, 솔뫼[4] 그리스에서 입던, 토가의 원형.[5] 상의를 탈의해도 이건 꼭 걸치고 있는 경우가 많다.[6] 마하야나 가사와 테라와다 가사는 어떻게 다른가?, 2014년 3월 18일, 진흙속의연꽃[7] 주로 고대에 많이 쓰였다.[8] 사람의 어깨에서 겨드랑이까지의 길이 정도의 간격 정도.[9] 갈색계열의 색으로 청 흑 적의 3색을 섞어 기존의 원색을 파괴했다는 뜻. 율장에 근거함.[10] 이때 송광사에 소장되어있던 지눌국사의 가사를 참고하였다고 한다.[11] 오늘날 사극 드라마 등지에서 승려 캐릭터가 긍정적/부정적으로 묘사될 때 캐릭터가 착용한 가사의 색깔로도 시비가 붙는 경우가 있다. 신돈(드라마)에서도 조계종과 태고종 모두에서 개산조사로 모시는 보우(고려)국사가 갈색 가사를, 신돈이 홍가사를 착용하는 모습으료 묘사되어 문제가 제기된 적이 있다.[12] 왼쪽 부분의 남는 긴 천은 소매(?)가 된다.[13] 반가사와 낙자는 일본에서 유입된 복식으로 일부에선 가사를 착용하는 이유와 맞지 않다고 하여 대가사만을 착용토록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군승의 경우도 과거 한때 종단에서 반가사를 지급한 적이 있었으나 2008년부터 대가사 지급으로 바뀌었고, 일선 현장에서의 어려움으로 인해 다시 낙자형태로 바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