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7 11:24:22

시왕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풍종호 무협소설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시왕(풍종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시왕(풍종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시왕(풍종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부여의 왕}}}에 대한 내용은 [[시왕(부여)]]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시왕(부여)#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시왕(부여)#|]]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풍종호 무협소설의 등장인물: }}}[[시왕(풍종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시왕(풍종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시왕(풍종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부여의 왕: }}}[[시왕(부여)]]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시왕(부여)#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시왕(부여)#|]]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파일:1px 투명.svg불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세계관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상징 법륜 · · 삼보
경전 불경(경장 · 율장 · 논장) · 결집
종파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계율 5계 · 오신채
사원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미술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법구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 마니륜 · 금강령 · 죽비 · 정병
의식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사십구재) · 참선 · 사경
문화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불자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기타 가부좌 · 사리 · 감로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불교 용어 }}}}}}}}}

1. 개요2. 설명3. 시왕과 담당하는 지옥4. 대중문화 속의 시왕

1. 개요

시왕()[1]불교 경전에서 등장하는 지옥의 신들이다. 《시왕경(十王經)》에서 언급되는, 명계(冥界)에서 사자(死者)에 대한 죄의 경중(輕重)을 다루는 10명의 들을 말한다.

2. 설명

사람이 죽으면 그날로부터 49일 되는 날까지 7일째마다 차례로 7번 시왕 앞에 나아가 생전에 지은 죄업의 경중과 선행 ·악행을 심판 받는다고 한다. 불가에서 49재(四十九齋)를 지내는 것도 여기에서 연유한다. 《시왕경》은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僞經)[2][3]이지만, 세속적인 권선징악의 요소가 짙기 때문에 선찰에서도 시왕을 모시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사찰에서는 보통 명부전 또는 지장전에 조상의 위패를 모시는 일이 많다. 또 욕계(欲界)의 6천(六天)과 4선천왕들을 일컫기도 한다.

저승에서도 지옥의 판관이기 때문에 흔히 생각하는 나라를 다스리는 군주가 아니며, 임기직이다. 이 때문에 한중일 할 것 없이 망자가 후임 염라대왕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내려온다. 각자 판결하는 죄과와 지옥이 있으며, 죄인들은 한 죄목으로 지옥에 떨어져 당분간 거기서 벌을 받은 뒤 다음 판관에게로 가서 다른 죄목을 심판받는다고 한다. 노가단풍아가씨와 범을왕이 각각 등장하는 <초공본풀이>와 <차사본풀이>는 모두 제주도에만 존재하는 신화인데, <바리공주>는 제주도에서 전승되지 않기 때문에 불가능한 말이다.

제주도 무속에서는 시왕이라고 부르는 저승왕이 사실 열다섯 명이다. 첫 번째 열명은 불교 시왕과 같지만 다섯 명이 더 있다. 이 다섯 시왕은 기본적인 열 명의 수하로 그 직능을 보좌하여 판결을 돕는다고 한다.[4] 마지막 왕은 '동자판관'이라고 부르는데, 어린 아이로서 망자에 대한 최종 판결을 내린다.

제주도 시왕맞이 굿에서 사람으로서 환생은 없다. 악인은 지네 같은 벌레나 말 같은 동물로 환생하고, 착한 사람은 저승에 있는 마을에서 평화롭게 영생을 누리거나 나비나 새로 환생한다.

일본 불교에는 십삼불(부동명왕, 석가여래, 문수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미륵보살, 약사여래,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아미타여래, 아축여래, 대일여래, 허공장보살)과 함께 시왕에 더해 연화왕(蓮華王), 기원왕(祇園王), 법계왕(法界王)이 추가된 십삼왕이 있다.

3. 시왕과 담당하는 지옥

각 시왕이 담당하는 지옥의 자세한 것은 지옥(불교) 항목을 참조할 것.
일반 사람들은 이 시왕까지 들르고 어디로 갈지 정해지는데 죄가 매우 중하거나 특별히 더 검증이 필요한 사람은 그 이후 3명을 더 봐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오도전륜대왕이 마지막으로 최종판결을 내려 망자들을 이제 어디로 보낼 지를 결정한다고. 이름의 뜻은 윤회를 끝내는 천상계를 제외한 인간계, 아수라계, 축생계, 아귀계, 지옥계의 5계중에 어디로 환생할 지를 결정해서 오(5)도전륜대왕. 죄인을 다섯갈래의 윤회의 길 중에서 갈 데를 정해 보내는 최종심 확정판결이다.
오도전륜대왕이 특별히 담당해 보는 죄목은 부모나 스승의 물건을 훔친 죄와 인간세상에서 남녀구별을 못하고 자식을 낳지 않은 죄다 커플천국 솔로지옥을 실천한다. 여담으로 사람이 은혜를 입고 그 은혜를 꼭 갚는 것을 중시해서 큰 가산점을 준다고 한다.

4. 대중문화 속의 시왕

파일:지옥의 시왕들.jpg
게게게의 키타로의 시왕들


[1] 본래 십왕이나 활음조 현상에 의하여 시왕이 되었다.[2] 척 봐도 불교와 고대 인도라기보다는, 중국 관료제의 특성이 두드러진다.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래되면서 인도의 야마도교의 태산부군의 습합으로 추정된다.[3] 그렇기 때문에 시왕지옥은 대승불교 이외 종파에는 존재하지 않는다.[4] 지장대왕(地藏大王), 생불대왕(生佛大王), 좌두대왕(左頭大王), 우두대왕(右頭大王), 동자판관(童子判官).[5] 독사지옥에 떨어지는 인간들은 중죄인들이라 성품이 사악하여 독사에 물리는 상처보다도 서로 쌈박질해서 더 피해를 입는다고 한다.[6] 여담으로 허리춤에 업경을 달고 다닌다.[7] 강세희의 재판 때[8] 강성훈이 노처녀 드립을 쳤을 때[9] 연화 대왕, 변생 대왕[10] 참고로 투니버스 판에선 키타로도 타요마라는 직역을 한 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