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15:16:28

만다라



1. 불교의 미술
1.1. 설명1.2. 티베트 불교의 만다라1.3. 대중 매체에서
2. 심리치료에서의 만다라3. 전근대 동남아시아의 정치체제4. 한국 소설
4.1. 영화4.2. TV
5. 웹툰 나이트런만다라(나이트런)

1. 불교의 미술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파일:1px 투명.svg불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세계관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상징 법륜 ·
경전 불경 · 결집
종파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계율 5계 · 오신채
사원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미술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법구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의식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사십구재) · 참선 · 사경
문화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불자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기타 가부좌 · 사리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만다라 / 曼陀羅, 曼荼羅 / Mandala / मण्डल, maṇḍala

밀교를 중심으로 활성화된 불교미술. '만다라'라는 단어는 산스크리트어로 '' 또는 '둘러싸다'를 의미한다.

"간다라 미술" 할 때 간다라와 혼동하지 말자. 또 심리치료사나 요가를 하는 사람들이 만다라를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런 것들은 불교의 만다라와는 이름만 같을 뿐 상징과 의미가 완전히 다르므로 주의할 것.[1]

1.1. 설명

[ ▼ 태장계 만다라 ]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px>
파일:external/www.bukon.idv.tw/a27c.jpg
||

[ ▼ 금강계 만다라 ]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px>
파일:external/www.bukon.idv.tw/a27e.jpg
||

[ ▼ 태장계 종자자 만다라 ]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px>
파일:external/www.ysbla.org.tw/image005.gif
||

한중일 세 나라는 일반적으로 대일경(大日經)과 금강정경(金剛頂經)의 묘사를 근거로 하여 만다라를 그린다. 위 사진들은 모두 일본밀교의 만다라이다.[2]

대일경에 나오는 만다라를 태장계(胎藏界), 금강정경에 나오는 만다라를 금강계(金剛界)라고 일컫는다. 그리고 각 본존을 상징하는 범자(梵字)로 만든 만다라를 종자자(種子字)만다라라고 일컬으며, 본존들의 상징물들로 구성한 만다라는 삼마야계(三摩耶界)만다라라고 부른다.

불교에서 만다라를 사각형 또는 원형의 신성한 단에 경전에 의거하여 조성하고, 모든 의식이 끝난 뒤에는 반드시 파괴함이 원칙이나, 때로 완성된 만다라를 회화로 그려 경배와 명상의 대상으로 모시기도 한다.[3]

1.2. 티베트 불교의 만다라

[ ▼ 티베트 불교의 만다라 ]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px>
파일:external/www.onmarkproductions.com/nair16th-mandala.jpg
||

티베트 불교에서는 물감이 아니라 색색의 모래로 만다라를 만드는데, 이를 만드는 광경은 장관이라 할 만하다. 색모래로 만든 만다라를 의식과 기도가 끝나고 마지막에 모두 쓸어 모아 강에 흘려버린다. 이는 세상의 모든 아름다움이 덧없으며 세상에 모든 것에 집착할 의미가 없음을 상기하기 위함이며, 남은 만다라를 삿된 무리(이교도/악령)들이 악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4](참조 1, 참조 2)

티베트는 일본밀교와 달리 주로 금강정경에 근거하여 만다라들을 그린다. 일본의 만다라가 본존을 직접 그린 만다라, 종자자 만다라, 삼마야계 만다라를 모두 구별해서 그리는 것과는 달리, 티베트 밀교는 이 세 가지를 모두 조합하여 만다라를 조성한다. 물론 이 세 가지 만다라를 따로 그리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모든 본존들을 조각하여 만든 입체적 만다라를 최고로 여긴다.[5] 그러나 입체 만다라는 만들기가 어렵고 보존이 어려워서 현존하는 것은 몇 점 되지 않는다.

2000년대 이후부터 한국에 티베트 불교가 들어와 만다라가 조금씩 대중에게 알려졌는데, 이 틈을 파고 돈에 눈이 먼 상인들이 만다라가 무슨 부적인 마냥 '이 만다라는 이런 데 좋네, 저 만다라는 여기에 특효네.' 하면서 만다라를 인쇄하거나 이상한 모양으로 조각해서 파는 것이 빈번하다. 그러나 이런 만다라는 완전히 잘못되었다. 실제 티베트 불교를 수행하는 수행인들은 이러한 광경을 보면 놀라 뒤집어지다 못해 이런 만다라를 사거나 파는 사람들을 걱정한다.[6]

1.3. 대중 매체에서

묘하게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일본 만화에서 자주 등장한다. 특히 그 만화의 장르가 공포나 심령, 오컬트라면 열에 아홉은 등장한다.

2. 심리치료에서의 만다라

파일:external/rdice.net/1721mandalajung.ab94b306.jpg
파일:external/fthmb.tqn.com/zTX4oBLTB-579bef145f9b589aa991816f.jpg[7]

분석심리학의 창시자인 카를 구스타프 융이 주장한 개념으로써, 심리치료의 한 기법이기도 하다. 1의 만다라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이 만다라는 위쪽에 설명된 만다라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힌두교, 불교, 도교 등의 동양종교와 연금술과 같은 신비주의적인 사상을 비롯하여, 중세 그리스도교의 예수, 장미, 십자가 그림 등에는 공통적으로 하나의 중심을 둘러싸고 있는 순환적인 원형 혹은 정사각형의 형태가 공통적으로 발견되는데, 융은 이러한 그림들이 무의식의 의식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 통합적인 인격을 상징한다고 보고 이를 만다라라고 불렀다.

융 자신도 이러한 만다라 그림들을 그리면서 내적 균형을 잡아가기도 하였으며 그것을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과정으로서 진정한 자신을 찾아가는 중요한 과정으로 보았다.[8] 이는 현대 심리치료에서도 계승되어, 현대에 와서 이 만다라 기법은 미술치료, 놀이, 수행 및 안정 등을 위해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미술치료에서 만다라 색칠의 그 의미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내면으로의 회귀와 만남 그리고 자아실현 이라는 사람이라면 꼭 필요한 삶의 단초를 충족시키는데 있다. 이런 기본적인 사람의 욕구가 충족됨으로써 만다라 색칠하기는 그 효과가 여러 방면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만다라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 참고.

3. 전근대 동남아시아의 정치체제

어원은 1. 다른 지역의 봉건제와 비슷한 체제로 후견 세력과 피후견 세력의 계약관계의 체제이다. 그러나 군주 개인의 카리스마와 친분으로 유지되는 체제라서 다음 군주 대에 계약을 갱신해야 한다. 이로 인해 동남아시아의 제국은 군주가 사망하면 순식간에 해체되기도 했다. 도시국가 연맹체에 가까운 봉건제로 다른 지역의 봉건제들보다 안정성이 낮은 체제라고 볼 수 있다.

4. 한국 소설

소설가 김성동이 1978년에 "한국문학"이란 잡지에 발표한 소설로 원래는 중편소설이었지만 이후 단행본으로 출간할때 작가가 장편소설로 개작했다. 이문열사람의 아들이 기독교적인 배경에서 종교의 문제를 파헤친 소설이라면, 김성동의 만다라는 불교적 배경에서 종교의 문제를 파헤친 소설이다.

좌익 경력으로 처형된 아버지로 인해 괴로워 하다 승려가 된 법운과 파계승 지산의 이야기를 통해서 깨달음과 실존의 문제를 논하고 있지만, 작가의 불교에 대한 이해가 너무 얕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9]

4.1. 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만다라(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임권택감독에 의해서 1981년 영화화 되었는데, 법운역에 안성기, 지산역에 전무송이 캐스팅 되었다.

4.2. TV


1986년 1월 25일 KBS 2TV TV 문학관 214화로 방영되었다.

5. 웹툰 나이트런만다라(나이트런)

만다라(나이트런)으로
[1] 연꽃 무늬나 기하학적 도형을 여러 원색으로 칠하면 만다라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그냥 무시하자.[2] 일본밀교의 만다라라고 해도 일본밀교는 중국밀교를 복붙했을 뿐이라 도상이 똑같다. 9세기 중반 당나라 무종 때 당나라에서 유학한 일본 승려 엔닌의 기록에 "만다라를 베껴 그렸다. 모두 원본과 동일하여 흡족하다."하는 것이 있다. 또한 현재 일본 히에이잔이 보관하는 엔닌의 만다라는 위의 만다라와 동일하다.(장신구나 장엄물 같은 세부사항만 다르다.) 그러므로 현재 맥이 끊긴 우리나라의 신라와 고려의 밀교도 분명 위와 동일한 만다라를 조성하는 문화양식이 있었을 것이다. 즉 결론적으로 한중일 삼국의 만다라는 동일했다.[3] 만다라는 모두 네 가지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1.색을 입힌 모래로 만들기. 2.진흙이나 금속을 사용하여 입체로 만들기. 3.비단이나 종이 위에 회화로 그리기. 4.깊은 명상의 상태에서 선정(禪定)으로써 드러내기. 이중 첫번째는 원 만다라의 규칙에 따라 만들어 사용한 뒤 파괴된다. 또 네 번째는 만다라를 수행자가 마음속으로 관하여 상상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물질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4] 하우스 오브 카드(미국 드라마)에서도 한 에피소드가 통째로 이 만다라에 관한 내용인데, 여기에서도 백악관에 초청된 티베트 승려들이 만다라를 완성한 후 솔(귀얄)로 쓸어서 파괴한다. 프랭크는 하필 공무중이라 이 완성의 순간을 보지 못했는데, 클레어가 그래도 파괴하기 전에 완성본 사진은 찍어놨으니 다행이라고 위로한다.[5] 일본에도 이러한 방식이 있지만, 일본의 입체 만다라는 티베트와 달리 만다라의 가장 핵심부분 혹은 중심부분만 입체로 만들고 나머지는 벽화를 배치하거나 건축물을 배치하여 처리한다. 하지만 티베트는 말 그대로 만다라 전체를 입체로 만들어 피라미드처럼 배치한다.[6] 만다라 자체가 불, 보살들의 세계. 깨달음의 영역들을 표시하는 상징이다. 앞서 설명했던 만다라가 상징하는 의미와 수행자들이 애써 만든 만다라가 완성되면 곧 이를 파괴하는 깊이 있는 이유를 상기하자.[7] 심리치료용 만다라 도안. 여기다가 내담자가 색을 칠하는 식으로 그림을 꾸미며 치료를 진행[8] 쉽게 말하자면 자아 탐색과 통합과정 + 내적 균형잡기로써 이 만다라 기법을 사용한다는거다.[9] 참고로 작가인 김성동은 스님 출신이었으나, 등단작인 목탁조가 당대의 불교계를 비하했다는 이유로 파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