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체신부장관 (1948~1994)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윤석구 | 제2대 장기영 | 제3대 이순용 | 제4대 조주영 | 제5대 강인택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
제6대 이광 | 제7대 이응준 | 제8대 곽의영 | 제9대 오정수 | 제10대 최용덕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11대 이상철 | 제12대 조한백 | 제13대 한통숙 | 제14대 배덕진 | 제15대 김장훈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6대 홍헌표 | 제17대 김홍식 | 제18대 김병삼 | 제19대 박경원 | 제20대 황종률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21대 김태동 | 제22대 김보현 | 제23대 신상철 | 제24대 문형태 | 제25대 장승태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26대 박원근 | 제27대 이재설 | 제28대 배상욱 | 제29대 윤흥정 | 제30대 김기철 |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31대 최광수 | 제32대 최순달 | 제33대 김성진 | 제34대 이자헌 | 제35대 이대순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36대 오명 | 제37대 최영철 | 제38대 이우재 | 제39대 송언종 | 제40대 윤동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보통신부장관 (1994~2008)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41대 경상현 | 제42대 이석채 | 제43대 강봉균 | 제44대 배순훈 |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45대 남궁석 | 제46대 안병엽 | 제47대 양승택 | 제48대 이상철 | ||||||
<nopad> 참여정부 | |||||||||
제49대 진대제 | 제50대 노준형 | 제51대 유영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과학기술처장관 (1967~1998)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초대 김기형 | 제2대 최형섭 | 제3대 최종완 | 제4대 성좌경 | 제5대 이정오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6대 김성진 | 제7대 전학제 | 제8대 이태섭 | 제9대 박긍식 | 제10대 이관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11대 이상희 | 제12대 정근모 | 제13대 김진현 | 제14대 김시중 | 제15대 정근모 | |||||
<nopad> 문민정부 | |||||||||
제16대 구본영 | 제17대 김용진 | 제18대 권숙일 | |||||||
과학기술부장관 (1998~2003)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19대 강창희 | 제20대 서정욱 | 제21대 김영환 | 제22대 채영복 | 제23대 박호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 (2003~2008) | |||
<nopad> 참여정부 | |||||||||
제24대 오명 | 제25대 김우식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2008~2013)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51대 김도연 | 제52대 안병만 | 제53대 이주호 | 제54대 서남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2013~2017)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최문기 | 제2대 최양희 | 제3대 유영민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2017~현재) |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유영민 | 제2대 최기영 | 제3대 임혜숙 |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4대 이종호 | 제5대 유상임 | }}}}}}}}} |
윤흥정 관련 틀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29대 체신부장관 윤흥정 尹興禎 | Yoon Heung-jung | |||
출생 | 1926년 10월 26일 | ||
평안북도 초산군 | |||
사망 | 2002년 9월 15일 (향년 75세) | ||
서울특별시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장군제1묘역 15번 | ||
본관 | 파평 윤씨 # | ||
재임기간 | 제29대 체신부장관 | ||
1980년 5월 22일 ~ 1980년 9월 1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형제자매 | 동생 윤흥기 | |
배우자 | 정인진[1] | ||
자녀 | 아들 윤상민, 윤석민, 윤덕민 | ||
학력 | 평양제1고등보통학교 (졸업)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 8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사) | ||
군사 경력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8기)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1949년 ~ 1980년 | |||
최종 계급 | 중장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 전투병과교육기지사령관 | ||
참전 | 6.25 전쟁 베트남 전쟁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군인, 관료.2. 생애
1926년 10월 26일 평안북도 초산군에서 태어나 1945년 평양제1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48년에 육군사관학교 8기로 임관하여 군인의 길을 걷는다.이후 중장까지 진급하여 주월남 한국군 행정부사령관, 육군 5군단 군단장을 거쳤고, 전투병과교육사령부 사령관을 지내는 중 10.26 사건 이후 계엄이 선포되면서 전라남북도 계엄분소장에 임명되었고, 1980년 5월에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31사단장 정웅 소장과 함께 광주에 투입된 계엄군의 초기 진압작전을 지휘한다.
그러나 당시 전두환, 노태우 등의 하나회가 실권을 장악한 신군부 측 인사가 아니었던 윤흥정은 11공수특전여단의 증파를 비롯하여 광주 시민들에 대하여 강경한 진압을 주장하던 신군부의 개입을 막지 못했고[2], 결국 5월 21일에 계엄분소장이 소준열 소장으로 교체됨에 따라 윤흥정은 예편되어[3] 체신부장관으로 입각한다.
체신부 장관 퇴임 후에는 구미수출산업공단 이사장과 성우회 사무총장을 역임하였다.
3. 기타
12.12 군사반란 당시 육군본부 측 진압군으로 출동한 제9공수특전여단장 윤흥기 준장이 윤흥정 장군의 동생이었는데, 윤흥기 준장 또한 12.12 이후 군부를 장악한 하나회에 의해 여단장 자리에서 물러났다.[4]드라마 제5공화국에서 배우 박영태가 5.18 민주화운동 당시의 윤흥정을 연기한 바 있다.[5]
4.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08080; border-right: 10px solid #808080;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bgcolor=#ffffff,#1f2024>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4>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08080; border-right: 10px solid #80808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 직위 | 명단 | ||
경제기획원장관 |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808080> 이한빈 → 김원기 | |||
국토통일원장관 | 이규호 → 최완복 | |||
외무부장관 | 박동진 | |||
내무부장관 | 김종환 | |||
재무부장관 | 김원기 → 이승윤 | |||
법무부장관 | 백상기 → 오탁근 | |||
국방부장관 | 주영복 | |||
문교부장관 | 김옥길 → 이규호 | |||
농수산부장관 | 이재설 → 정종택 | |||
상공부장관 | 정재석 → 신병현 | |||
건설부장관 | 최종완 | |||
보건사회부장관 | 진의종 | |||
교통부장관 | 유양수 → 김재명 | |||
체신부장관 | 배상욱 → 윤흥정 | |||
문화공보부장관 | 이규현 → 이광표 | |||
총무처장관 | 김용휴 | |||
과학기술처장관 | 성좌경 | }}}}}} }}}}}}}}} |
[1] 丁麟鎭. 나주 정씨(羅州 丁氏) 정규창(丁奎昌, 1914. 11. 22 ~ 1996. 10. 28)의 7남 10녀 중 장녀이다.[2] 청문회에 출석했을 때는 기관장들과 사회 계층의 인물들이 자신에게 계엄군의 만행에 대해 항의할 때 자기 자신이 군복을 입고 있는 것 자체가 부끄럽고 한심스러울 정도의 항의를 받았다고 진술한 바 있었다. 당시의 항의 방문단은 장형태 전라남도지사, 정시채 전남부도지사, 구용상 광주시장, 이대순 전라남도교육감, 윤공희 주교 등 전라남도 내의 기관장들. 명망이 있는 사회 유지들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한다.[3] 계엄군의 진압작전에 소극적이었던 정웅 소장 또한 마찬가지로 예편당한다.[4] 진압군 주요 지휘관이었음에도 살아남아 소장까지 올랐지만 사단장은 해보지도 못했다.[5] 윤공희 주교가 그에게 광주 시민들이 공수부대의 얼룩무늬 군복만 봐도 치가 떨린다고 이야기를 하며 철수가 안된다면 일반 작업복으로 갈아입히는 조치 및 연행한 광주 시민들을 풀어주라는 항의를 하자, "알겠습니다... 연행한 광주 시민들은 전원 석방하도록 하고 오늘 이 시간 이후로 과잉진압이 없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라고 약속을 하지만 그에게 주어진 실권은 크지 않았고 이 소식을 들은 전두환이 대노하며 전남북 계엄사령관을 교체해야겠다며 성질을 부리는 장면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