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20:25:59

조남풍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초대
백선엽
2대
송요찬
3대
유재흥
4대
김종오
5대
이한림
6대
박임항
7대
민기식
8대
장창국
9대
김계원
10대
서종철
11대
한신
12대
최세인
13대
이소동
14대
정승화
15대
김학원
16대
윤성민
17대
김윤호
18대
소준열
19대
정진권
20대
안필준
21대
정호근
22대
이진삼
23대
이문석
24대
조남풍
25대
이준
26대
오영우
27대
이재관
28대
김석재
29대
김판규
30대
김종환
31대
정수성
32대
김병관
33대
김태영
34대
김근태
35대
정승조
36대
박정이
37대
박성규
38대
신현돈
39대
장준규
40대
김영식
41대
박종진
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명칭 변천: 제1군사령관(초대~37대) ▸ 제1야전군사령관(37대~41대)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조남풍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재향군인회 심볼.svg
대한민국재향군인회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백홍석
제2대
박승훈
제3·4대
신태영
제5대
김일환
제6대
이선근
제7대
이대영
제8대
이형근
제9대
김홍일
제10대
김성은
제11·12대
이성호
제13-17대
김일환
제18-21대
이맹기
제22대
김종환
제23대
백석주
제24대
최경록
제25·26대
소준열
제27·28대
장태완
제29·30대
이상훈
제31·32대
박세직
제33·34대
박세환
제35대
조남풍
제36대
김진호
제37대
신상태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30074><tablebgcolor=#130074>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30074><tablebgcolor=#130074>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육군전투병과교육기지사령관
초대
오덕준
2대
박병권
3대
김익렬
4대
김동빈
5대
임충식
6대
한신
7대
신재식
8대
송호림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31대
32대
최평욱
33대
김진영
34대
조남풍
35대
편장원
36대
박세환
37대
박광영
38대
오영우
39대
최돈걸
40대
박용득
41대
박영익
42대
김승광
43대
신일순
44대
류해근
45대
이상태
46대
박영하
47대
이영계
48대
한기호
49대
박성규
50대
황인무
51대
류제승
52대
김종배
53대
나상웅
54대
장재환
55대
제갈용준
56대
최영철
57대
윤의철
58대
박상근
59대
정철재
60대
강건작
61대
이규준
62대
정진팔
63대
김봉수
※ 초대~00대 : 소장 · 00대~현재 : 중장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8b623e><tablebgcolor=#8b623e>
파일:KIMUSA_LOGO.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8b623e><tablebgcolor=#8b623e>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군 중장.svg
특무부대장 (1950~1960)
초대
김형일
제2대
백인엽
제3대
이한림
제4대
김종면
제5대
김창룡
제6대
정인택
제7대
김재현
제8대
하갑청
제9대
이소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방첩부대장 (1960~1968)
제10대
박창록
제11대
이철희
제12대
김재춘
제13대
정승화
제14대
박영석
제15대
윤필용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보안사령관 (1968~1977)
제16대
김재규
제17대
강창성
제18대
김종환
제19대
진종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군보안사령관 (1977~1991)
제19대
진종채
제20대
전두환
제21대
노태우
제22대
박준병
제23대
안필준
제24대
이종구
제25대
고명승
제26대
최평욱
제27대
조남풍
국군기무사령관 (1991~2018)
제28대
구창회
제29대
서완수
제30대
김도윤
제31대
임재문
제32대
이남신
제33대
김필수
제34대
문두식
제35대
송영근
제36대
김영환
제37대
허평환
제38대
김종태
제39대
배득식
제40대
장경욱
제41대
이재수
제42대
조현천
제43대
이석구
제44대
남영신
2018년 군사안보지원사령관으로 축소 개편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37f33>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37f33>
대한민국 육군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초대
권준
제2대
미상
제3대
미상
제4대
미상
제5대
미상
제6대
미상
제7대
미상
제8대
송요찬
제9대
미상
제10대
미상
제11대
미상
제12대
미상
제13대
미상
제14대
미상
제15대
미상
제16대
미상
제17대
채명신
제18대
류병현
제19대
정순민
제20대
윤필용
제21대
김학원
제22대
이희성
제23대
정득만
제24대
미상
제25대
미상
제26대
미상
제27대
미상
제28대
미상
제29대
손길남
제30대
이상규
제31대
미상
제32대
미상
제33대
조남풍
제34대
미상
제35대
이유수
제36대
정정택
제37대
김희상
제38대
미상
제39대
미상
제40대
미상
제41대
박경서
제42대
미상
제43대
미상
제44대
미상
제45대
엄기학
제46대
권오한
제47대
이석구
제48대
김선호
제49대
유기종
제50대
양태봉
제51대
최장식
제52대
김성구
}}}}}}}}}}}}}}}
<colbgcolor=#006633><colcolor=#ffffff>
제24대 제1야전군사령관
{{{#ffffff 조남풍
趙南豊[1]
으로 등재돼 있다.] | Cho Nampoong}}}
파일:조남풍.jpg
출생 1938년 6월 5일 ([age(1938-06-05)]세)
충청남도 서천군
본관 풍양 조씨[2]
종교 가톨릭 (세례명: 세바스찬)
학력 서천중학교 ('55년 졸업)
동래고등학교 ('58년 졸업)
육군보병학교 (졸업)
육군대학 (졸업)
국방대학원(현 국방대학교) ('80년 졸업)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3] / 석사[4])
동국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5])
경력 스탠퍼드 대학교 후버연구소 연구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겸임교수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제35대 중앙회장
글로벌전략개발원 이사장
군사 경력
임관 육군사관학교 (18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62년 ~ 1993년
최종 계급 대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육군 제1야전군사령관
주요 보직 제5공수특전여단 26특전대대장
특수전사령부 특수전학교장
제20기계화보병사단 62연대장
제1공수특전여단장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국군보안사령관
육군교육사령관

1. 개요2. 생애3. 주요 역임 보직4. 기타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자 정치학 박사로 제1야전군사령관,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제35대 중앙회장을 역임한 월남전 참전군인이다. 육군사관학교 18기로 육군 제1야전군사령관, 육군교육사령관, 국군보안사령관,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제1공수특전여단장을 역임했다. 예편후 동국대학교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동국대 겸임교수,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제35대 중앙회장으로 활동했다. 현재 (사)글로벌전략개발원 이사장이다.

2. 생애

1938년 6월 5일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의 아버지 조진구(趙珍九, 1903. 6. 3 ~ 1982. 5. 3)[6]와 어머니 안동 권씨 권월수(權月洙, 1911. 2. 8 ~ 2014. 8. 14)[7] 사이에서 5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서천중학교, 동래고등학교, 육군사관학교(18기)를 졸업하고[8] 1990년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안보행정 전공으로 행정학 석사 학위, 1998년 7월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1958년 육군사관학교 18기로 입교하였으며, 육사 럭비부 선수로 선발되어 활약하였다. 1960년 전후 육사 럭비부는 국내 럭비대회를 휩쓸어 국가대표급 럭비팀이란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1962년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32년간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위관 시절 전방에서 제28보병사단 소대장을 마치고, 제1공수특전단에서 근무하였다. 1960년대초 한국군 장교 가운데 매우 드문 경우로 일반 공수교육 뿐만 아니라 스카이다이빙(HALO) 자격증까지 받은 특전사 고공강하 및 특수전 전문요원으로 활약했다. 또한 제1공수특전단에서 공수교육 교관 및 태권도 교관(태권도 5단)으로 신규 부임 장교와 장병들의 공수교육훈련을 담당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제1공수특전단의 지휘관으로 정병주 장군이 부임하였는데 공수부대 요원의 필수 요건인 공수훈련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공수부대 최고 지휘관의 담당교관으로 조남풍 중위가 선발되어 정병주 장군에게 공수교육 훈련을 하였다고 한다. 훈련 당시 정병주 장군은 조남풍 중위의 FM식 공수훈련에 무척 고생하였으나, 그 덕분에 정병주 장군은 조남풍 중위와 여러 병사들과 최초의 낙하산 강하에 성공하고 아주 기뻐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상기한 에피소드 외에도 공수특전단에서 여러 사건들이 있었는데 가장 유명한 사건은 강하 훈련중 한강에 빠진 병사를 조남풍 중위가 단신으로 구조한 사건이다. 한강 개발 이전인 1960년대 중반까지 제1공수특전단은 흑석동과 반포지구 강변의 모래사장(1960년대는 한강 준설사업과 강남개발 시작 이전)을 낙하 목표지점으로 군수송기에서 집단강하 훈련을 하였다. 어느 겨울날 강하훈련 도중에 해당 사건이 발생하였다. 집단 강하중 특전병사 한 명이 돌풍에 휘말려 낙하 목표지점인 반포지구 백사장을 벗어나 낙하산을 맨 채로 한강으로 낙하하여 강물에 휩쓸려 내려가는 매우 위험한 사고가 발생하였다. 사고 직전에 인근 백사장에 낙하했던 조남풍 중위는 사고를 목격하고 인명구조가 시급하다고 판단하여 본인의 생명도 보장되지 않는 상황이지만 낙하복을 입은 채 겨울철(2월) 차가운 한강물로 혼자서 뛰어들었다. 사고 병사는 자신의 낙하산에 묶인 채 강물로 밀려들어가 떠내려갔으며 이런 사고는 대부분 익사하게 된다고 한다. 조남풍 중위는 홀로 빠르게 헤엄쳐서 물속의 특전병사에 접근하여 구조하려고 하였으나, 강물에서 낙하산에 묶여있는 병사를 구조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으며, 금새 두명 모두 하류으로 떠내려갔다. 차가운 한강물에서 물속으로 빨려들어가 두 사람이 같이 죽을 위기가 닥쳤으나, 조남풍 중위는 포기하지 않고 물속에서 사투를 벌인 끝에 사고발생 병사의 낙하산을 분리하고 인명구조 원칙대로 병사를 껴안고 헤엄쳐서 간신히 강변 백사장으로 끌고 올라오는데 성공하였다. 사고발생 당시 한강변 공수부대원들은 조남풍 중위까지 강물에 떠내려가고 시야에서 사라지자 십중팔구 둘다 죽었을 것이라고 걱정하면서도 바로 강변 수색에 나섰다고 한다. 결국 조남풍 중위의 동기생 장교가 포기하지 않고 짚차를 몰아 반포지구에서 흑석동을 지나 대략 1-2킬로미터 하류의 한강대교 인근 백사장에서 저체온증으로 탈진하였지만 생존한 조남풍 중위와 사고병사를 발견하였고, 이에 놀라고 기뻐하며 바로 병원으로 후송했다고 한다. 갑작스럽게 발생한 위험한 사고에서도 조남풍 중위가 겨울철 한강물로 뛰어들어가 위기에 빠진 부하 병사의 생명을 구조한 사건에 대해 공수특전단 및 육군 본부에서는 희생정신과 책임감을 높이 평가하였고, 조남풍 중위에게 "육군참모총장 표창"을 수여했다.

1967년초 베트남 전쟁 파병을 신청하고 전투가 가능한 보병부대 중대장에 지원하였나, 최종적으로 주월한국군 100군수기지사령부 경비중대장에 보임되었다. 당시 100군수기지사령부는 주월한국군의 모든 부대에 보급할 각종 치장물자 및 각 주둔지역 보급활동, 그리고 인쇄시설 및 대규모 차량부대, 육군항공부대(헬리콥터 등)까지 보유한 주월한국군 활동을 뒷받침할 핵심기지를 건설중이었다. 주월한국군 사령부 설치와 더불어 신규 편제된 제100군수사령부는 대규모의 군수기지가 필요했으며, 이에 퇴원한 부상병들 위주로 신설된 군수기지사령부의 '경비중대'는 신편 부대로써 부대훈련과 더불어 대규모 기지 건설작업을 담당한 공병들과 같이 열대의 정글 지대에서 작전활동을 해야하는 악조건에서도 성공적으로 경비작전을 실시하였으며, 대규모 군수기지사령부 시설이 완공되면서 외곽지대에 여러 개의 방어진지를 구축하여 사령부 방어와 경계작전을 실시하였다. 때마침 1968년초 베트남 구정연휴 휴전기간에 남베트남 공산게릴라, 즉 베트콩의 기습적인 "구정 공세"가 발생하여 주베트남 미국대사관 내부까지 베트콩에게 뚫리는 등 미군과 남베트남은 큰 혼란에 빠졌으나, 주월한국군 군수기지사령부는 구정공세 직전 경계작전의 전과 덕분에 단 한발의 기지내 박격포탄 공격도 받지 않고 베트남 각지에 주둔한 한국군 부대들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었다. 이는 군수기지사령부 경비중대가 평소 준비한 견고한 외곽방어 진지 구축 및 적극적인 기지주변 위력정찰로 베트콩이 은닉한 무기와 아지트를 발견하여 사전에 베트콩의 공격 기도가 제압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이러한 전공으로 조남풍 중대장과 다수의 경비중대원들이 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1968년 중반 베트남 전장에서 귀국하였는데 당시 한국은 북한 무장공비들의 청와대 기습 사건(1.21사태) 등 북한군의 비정규전 도발 위협이 심각한 상황이었으며, 이러한 북한 특수부대 및 무장간첩의 도발에 대비하기 위해서 조남풍 대위도 수도경비사령부에 배치되어 30경비대대 중대장, 33경비대대 부대대장(현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으로 근무하게 되었다. 이후 제1보병사단 11연대 작전주임(연대 작전참모), 육군특수전사령부 특수전교육대 대장(현 특수전학교장), 수도군단 작전참모 등 주로 전방지역 보병부대에서 작전 및 교육을 맡아서 대간첩작전 실전수행 및 최정예 비정규 특수전 부대들을 양성하였다. 중령 시절 육군특수전사령부 제5공수특전여단 26대대 대대장, 대령 시절 제20보병사단 62연대 연대장을 맡아 특전사 최초의 천리행군 및 동하계 훈련을 실시하고, 특전사령부의 공개적인 시범행사를 수 차례 담당하여 완수하였고, 팀스프리트 훈련(한미군 연합훈련) 등을 통해 정예한 보병부대를 양성하였다.

1983년에 육군 준장으로 진급하여 수도군단 제17보병사단 부사단장, 제1군단 참모장, 육군특수전사령부 제1공수특전여단 여단장을 역임하였다. 조남풍 준장은 제1공수특전여단장(1984-1986년) 시절 특전사의 다양한 시범행사를 주관했으며, 당시대에는 드물게 여단장도 낙하산을 매고 C-123 수송기에서 특전용사들의 강하훈련에 동참하였다. 한편 1984년 9월초에 발생한 1984년 서울 대홍수에서 공수부대원들과 출동하여 많은 서울시민을 구조하고 수해복구 활동을 하였다.

1986년에 소장으로 진급하여 수도기계화보병사단(수기사: 맹호사단) 사단장, 대한민국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을 순차적으로 역임하였다. 수도기계화사단 사단장 재직시에는 최초의 국산 기갑장비인 현대중공업K-1 전차대우중공업K200 장갑차의 실전 운용에서 발생한 많은 문제점들의 성능개선작업에 기여하였고, 방위산업체들과 같이 노력하여 최초의 한국산 전차와 장갑차의 기계회부대 전력화에 성공하였다. 그리하여 1987년에는 국내외 언론 및 귀빈을 초청한 최초의 한국산 K-1 전차를 국민들에게 공개한 '88전차 명명식'에서 수도기계화사단을 이끌고 기동/화력 시범행사를 주관하였다. 또한 당시 대규모 한미연합훈련이었던 '팀스프리트훈련'에서 K-1 전차K200 장갑차 등 국산기갑전력으로 구성한 수기사 기갑부대는 한강 도하작전 및 북진반격작전으로 구성된 야전기동훈련에서 사고 없이 대항군 목표지점을 점령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1988년에 조남풍 사단장은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으로 이동하였고, 당시 국가적 중대사였던 1988년 서울 올림픽기간을 전후한 육군의 경계작전을 육군본부에서 담당하여 '88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에도 기여하였다.

1989년에 중장으로 진급하여 대한민국 군사안보를 담당하는 국군보안사령부 사령관을 약 2년간 수행하였다. 이후 육군교육사령관 임기 도중 한국에서는 최초로 개최한(1991년 5월) "제15차 태평양지역 육군관리세미나(*PAMS: Pacific Armies Management Seminar))"의 공동대회장(Co-Chairman)을 맡아 대규모 군사외교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PAMS는 아시아/태평양 25개국 육군의 고위급 장성 및 장교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교류하는 군사외교 활동과 군사협력을 논의하는 심포지엄을 병행하는 행사로 과거에 한국군에서 주관한 경험이 없던 대규모 고위급 군사외교 행사였다. 당시 육군교육사령부는 동 행사를 통해서 한국의 발전한 경제와 사회, 우수한 문화를 외국군 주요 지도부에게 소개하고, 동시에 초창기 대비 괄목하게 발전한 현대 한국군의 발전한 실상을 알려서 아태지역 각국 군대 지휘부와 한국군 지휘부간 우호와 협력을 강화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92년초 한국군 최고계급인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여 제1야전군 사령관으로 제1야전군을 지휘하였고, 1993년 7월에 대한민국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1962년에 육군사관학교 졸업하고 32년간 육군 장교로 복무하면서 육군보병학교, 육군대학, 국방대학원(현 국방대학교),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서울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연세대학교 고위관리자과정 등을 수료하였다. 대장 예편한 후 본격적으로 한국의 국가안보와 한미동맹관계 발전을 위해 정치학자 및 사회활동가로 나섰다. 예편후 1993년말부터 약 2년간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후버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귀국 직후 동국대학교 정치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3년간 수학한 끝에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후 동국대 겸임교수로 동국대 및 육군 교육기관 등에서 한미군사동맹, 군사전략, 부대지휘, 실전경험 등의 강의를 하고, 다양한 안보관련 활동을 하였다.

2002년부터 2007년 사이 동국대학교 대학원 겸임교수로 후학을 양성하면서 한미동맹과 북한의 대남위협 대책, 그리고 한국사회의 안전보장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활동을 하였다. 2007년에 "사단법인 글로벌전략개발원"을 설립하여 학자, 안보전문가 및 회원들과 함께 한국의 안보정책 및 한미군사동맹 발전방안을 연구하면서 안보세미나의 개최, 한미 군대위문 문화행사 및 사회봉사 등 다양한 활동을 꾸준히 하였다.

2015~2016년에 제35대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중앙회장으로 선출되어 국내외에 소재한 한국군 재향군인회 전체 조직을 이끌었다. 재임 당시 향군 중앙조직의 체질개선 및 새로운 변화를 추진하였다. 당시 전임 회장들이 초래한 약 6천억원에 달하는 엄청난 재향군인회 부채 문제의 해결, 지방 및 해외 향군조직의 확대 및 활성화, 향군 안보교육 내용과 활동의 질적 개선, 한국전쟁 참전용사 위문 및 지원, 베트남전쟁 참전 재향군인의 지원 강화, 2015년에 발생한 DMZ 목함지뢰 매설 사건 중상자(육군 부사관 2인) 위문 및 지원, 한미 재향군인회 양국간 협력 증진, 2015년 미국 재향군인회(American Legion) 총회 참가하여 연설 등을 했으며, 특히 재향군인회에서 북한에 의해 강제억류된 "국군포로 송환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을 주장했다.

현재는 (사)글로벌전략개발원 이사장 및 풍양 조씨 대종회 고문을 맡고 있다.

3. 주요 역임 보직

4. 기타

[국제 행사]
* 제15차 태평양지역 육군관리세미나 공동대회장 (Co-Chairman of the 15th PAMS(Pacific Armies Management Seminar))
- 공동대회장 : 한국 육군 조남풍 중장 및 미육군 키크라이터 중장
. 조남풍 중장, 대한민국 육군교육사령관 (ROK Army Lieutenant General Cho Nam-Poong)
. 키크라이터 중장, 미국 육군 태평양사령관 (U.S.Army Lieutenant General Claude M. Kicklighter)
- 장소 : 서울 하얏트호텔 그랜드볼룸
- 기간 : 1991년 5월 22일 ~ 5월 27일
- 참가 : 아시아/태평양 25개국 육군 대표 200여명 (한국,미국,캐나다,호주,필리핀,태국,일본,말레이시아 등)
[사회 경력]
* 1989년~91년 : 육군사관학교(陸軍士官學校: Korea Military Academy) 제18기(아사달) 동기회장
* 1994년~95년 :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 후버 연구소(Hoover Institution) 객원연구원
* 1996년 : 국제라이온스협회(Lions Club International) 354-A지구 동행라이온스클럽 초대 회장
* 1998년 : 동국대학교(東國大學校: Dongguk University) 대학원(大學院) 강사(講師: lecturer)
* 2002년~07년 : 동국대학교(東國大學校: Dongguk University) 대학원(大學院) 겸임교수(兼任敎授: adjunct professor)
* 2002년 : 국민통합21 안보위원장, 정몽준(鄭夢準: Chung Mong-joon) 대통령선거 공동선대위원장 겸 특보단장 (안보특보)
* 2007년 : 사단법인 Global전략개발원(Global戰略開發院) 초대 이사장(理事長)
* 2007년 12월 : 이명박(李明博: Lee Myung-bak) 대통령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자문위원
* 2009년 : 한국소기업소상공인연합회 고문
* 2012년 7월 : 박근혜(朴槿惠: Park Geun-hye) 대통령 후보 선거대책본부 직능총괄본부 상임특보 및 안보전략본부장
* 2014년 : 장애인미디어인권연대 상임고문
* 2015~16년 : 대한민국 재향군인회(大韓民國 在鄕軍人會: Korean Veterans Association) 제35대 회장(會長:Chairman)
* 2021년 10월 : 故노태우(盧泰愚: Roh Tae-woo) 전 대통령 국가장 장례위원회 위원
* 현재 : 풍양 조씨 대종회(豐壤 趙氏 大宗會) 고문
* 현재 : 사단법인 Global전략개발원(Global戰略開發院) 이사장(理事長)
[88전차 명명식]
* 1987년 9월 18일 : 육군 승진훈련장에서 열린 "88전차(K-1 전차) 명명식" 시범행사 주관
[9] 최초의 한국산 "88전차(K-1 전차) 명명식"

[1] 풍양조씨한산군파세보 권1 843쪽에는 趙[2] 회양공파-한산군파 26세.[3] 안보행정 전공[4] 석사 학위 논문 : 韓·美(한·미) 軍事協力關係(군사협력관계)의 發展方案(발전방안)에 관한 硏究(연구)(1990).[5] 박사 학위 논문 : 韓·美(한·미) 軍事同盟體制(군사동맹체제)에 관한 硏究(연구) : 構造變化(구조변화)와 發展方案(발전방안) 摸索(모색)(1998. 7).[6]九라고도 한다.[7] 권종원(權鍾遠)의 딸이다.[8] 사실상 영남 인맥으로 볼 수 있다.[9]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두환 대통령, 정부요인, 김영삼 야당총재 등 주요 정치인,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 육군 수뇌부, 한국주재 해외 무관들, 국내외 언론사까지 대대적으로 참석한 "88전차 명명식"에서 수도기계화사단(사단장 조남풍 소장)이 최초 국산전차인 "88전차"(K-1 전차) 기동훈련 및 화력 성능시범을 성공적으로 완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