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8c8c70>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행정구역)/대한민국|{{{#fff 자치시}}}]] | ||||||||||||
계룡시 | 공주시 | 논산시 | 당진시 | ||||||||||
보령시 | 서산시 | 아산시 | 천안시 | ||||||||||
[[군(행정구역)/대한민국|{{{#fff 자치군}}}]] | |||||||||||||
금산군 | 부여군 | 서천군 | 예산군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청양군 | 태안군 | [[충청남도청| 도청 ]] 홍성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a65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a650> | 충청남도 서천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군청 서천읍 | 장항읍 | |||||||||
면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기산면 | 마산면 | 마서면 | 문산면 | 비인면 | }}} | |||||
충청남도의 자치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 | 서천군 舒川郡 Seocheon County | }}} | ||||||||||
<nopad> | |||||||||||||
군청 소재지 | 서천읍 서림로 19 | ||||||||||||
광역자치단체 | 충청남도 | ||||||||||||
하위 행정구역 | 2읍 11면 | ||||||||||||
면적 | 366.12km² | ||||||||||||
인구 | 48,204명[1] | ||||||||||||
인구밀도 | 132.03명/㎢[2] | ||||||||||||
군수 | | 김기웅 (초선) | |||||||||||
군의회 | | 5석[3] | |||||||||||
| 2석[4] | ||||||||||||
도의원 | | 1석[5] | |||||||||||
| 1석[6] | ||||||||||||
국회의원 | | 장동혁 (보령·서천 / 재선) | |||||||||||
상징 | 군화 | 동백꽃 | |||||||||||
군목 | 곰솔 | ||||||||||||
군조 | 검은머리물떼새 | ||||||||||||
|
[clearfix]
1. 개요
브랜드 마크 | 서래새[7] |
서천군청 | 국립생태원 |
충청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군.
군청 소재지는 서천읍이며 행정구역은 2읍 11면이다. 북쪽으로 보령시, 동쪽으로 부여군, 남쪽으로 금강을 경계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서해와 연한다.
준평원 지형으로 농업이 발달한 한 편, 장항을 중심으로는 공업이 발달한 농공업 도시이다. 장항선 철도를 비롯해 서해안고속도로와 서천공주고속도로가 지난다.
유네스코와도 인연이 있는 도시인데, 2011년에 한산모시짜기가 인류무형문화유산에, 2021년엔 서천갯벌을 포함한 우리나라의 갯벌이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다.
과거 서천군(舒川郡), 한산군(韓山郡), 비인군(庇仁郡)이 1914년에 서천군으로 통합되었다. 신라 문무왕 16년(서기 676년)에 현 장항읍 앞바다인 기벌포(伎伐浦)에서 시득(施得)이 이끄는 신라 수군과 설인귀(薛仁貴)가 지휘하는 당(唐) 수군 간에 나당전쟁 최후의 전투인 기벌포 전투가 벌어진 역사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2. 역사
서천군/역사 문서로.3. 지리
충청남도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365.6㎢로, 충청남도 총 면적의 4.4%를 차지한다. 2읍 11면, 172개의 법정리(행정리는 316개)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으로 부여군, 북쪽으로 보령시, 남쪽으로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와 접해 있고, 서쪽으로는 서해안에 연해 있다. 장항선과 서해안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가 지난다. 항구는 서면의 홍원항(洪元港), 비인면의 비인항(庇仁港), 장항읍의 장항항(長項港)이 있다.
보령시와 부여군의 경계에 장태산(將胎山, 367m) · 원진산(遠進山, 271m) · 노고산(老姑山, 229m) · 석천산(石泉山, 209m) 등이 있고, 군내에 천방산(千房山, 324m) · 희이산(希夷山, 329m) · 월명산(月明山, 298m) 등 300m 내외의 산이 있다.
원진산에서 발원한 도마천(都馬川)이 봉선지(鳳仙池)에서 한산천(韓山川)과 합류하여 길산천(吉山川)을 이루어 금강에 흘러들며, 판교면 북동부에서 발원한 판교천(板橋川)이 남류하다가 남산들에서 서쪽을 지나 장구만(長久灣)으로 흘러 황해로 흐른다. 이들 하천유역에는 넓은 평야가 형성되고 관개시설도 잘되어 있어서 논농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서천은 너른 갯벌을 보유하고 있다. 리아스식 해안으로 4m가 넘는 조수간만의 차가 있어 간석지가 발달돼 있다. 2021년엔 서천갯벌을 포함한 한국의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지정되었고, 2022년엔 서천군이 람사르습지도시로 지정됐다.[8]
4. 인구
서천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61,159명 |
1970년 146,212명 |
1975년 140,670명 |
1980년 129,512명 |
1985년 109,837명 |
1990년 100,545명 |
1995년 85,221명 |
2000년 75,259명 |
2005년 64,322명 |
2010년 60,085명 |
2015년 56,910명 |
2020년 51,866명 |
2024년 12월 48,20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천읍 12,776명 |
장항읍 10,820명 | |
마서면 4,503명 | |
서면 4,057명 | |
비인면 2,812명 | |
한산면 2,351명 | |
화양면 2,077명 | |
종천면 1,982명 | |
판교면 1,938명 | |
기산면 1,475명 | |
마산면 1,395명 | |
문산면 1,185명 | |
시초면 1,156명 | |
2024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 읍면별 인구 #===
장항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22,205명 |
1970년 24,995명 |
1975년 26,171명 |
1980년 30,881명 |
1985년 23,107명 |
1990년 23,378명 |
1995년 19,286명 |
2000년 18,025명 |
2005년 14,787명 |
2010년 13,651명 |
2015년 12,422명 |
2020년 11,126명 |
2024년 8월 10,82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서천읍 인구 추이[9] (1966년~현재) |
1966년 20,471명 |
1970년 17,744명 |
1973년 7월 1일 마서면 남산리 → 서천면 편입 |
1975년 18,677명 |
1979년 5월 1일 서천군 서천면 → 서천읍 승격[10] |
1980년 17,366명 |
1985년 16,058명 |
1990년 15,716명 |
1995년 15,431명 |
2000년 14,876명 |
2005년 14,203명 |
2010년 14,287명 |
2015년 14,656명 |
2020년 13,744명 |
2024년 8월 12,77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마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20,087명 |
1970년 17,737명 |
1973년 7월 1일 마서면 남산리 → 서천면 편입 |
1975년 15,901명 |
1980년 13,794명 |
1985년 11,935명 |
1990년 10,951명 |
1995년 9,690명 |
2000년 8,048명 |
2005년 6,842명 |
2010년 6,263명 |
2015년 5,575명 |
2020년 4,939명 |
2024년 8월 4,50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화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3,833명 |
1970년 11,723명 |
1973년 7월 1일 화양면 구동리 → 한산면 편입 |
1975년 10,839명 |
1980년 8,475명 |
1985년 6,918명 |
1990년 5,303명 |
1995년 6월 15일 기산면 내동리 일부 → 화양면 금당리 편입 |
1995년 4,696명 |
2000년 3,886명 |
2005년 3,148명 |
2010년 2,812명 |
2015년 2,594명 |
2020년 2,264명 |
2024년 8월 2,07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기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0,393명 |
1970년 8,909명 |
1973년 7월 1일 기산면 이사리 → 마산면 편입 |
1975년 7,560명 |
1980년 5,995명 |
1985년 5,674명 |
1990년 4,363명 |
1995년 6월 15일 기산면 내동리 일부 → 화양면 금당리 편입 |
1995년 3,326명 |
2000년 2,771명 |
2005년 2,254명 |
2010년 2,011명 |
2015년 1,858명 |
2020년 1,674명 |
2024년 8월 1,47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한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2,928명 |
1970년 10,796명 |
1973년 7월 1일 화양면 구동리 → 한산면 편입 한산면 송림리 → 마산면 편입 |
1975년 10,488명 |
1980년 8,775명 |
1985년 7,401명 |
1990년 6,449명 |
1995년 5,121명 |
2000년 4,361명 |
2005년 3,523명 |
2010년 3,152명 |
2015년 2,813명 |
2020년 2,540명 |
2024년 8월 2,35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마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7,455명 |
1970년 6,417명 |
1973년 7월 1일 기산면 이사리 → 마산면 편입 한산면 송림리 → 마산면 편입 |
1975년 6,179명 |
1980년 5,131명 |
1985년 4,130명 |
1990년 3,597명 |
1995년 2,755명 |
2000년 2,266명 |
2005년 1,900명 |
2010년 1,653명 |
2015년 1,564명 |
2020년 1,494명 |
2024년 8월 1,39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
시초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8,002명 |
1970년 6,805명 |
1975년 5,596명 |
1980년 4,581명 |
1985년 3,854명 |
1990년 3,278명 |
1995년 2,458명 |
2000년 2,066명 |
2005년 1,655명 |
2010년 1,430명 |
2015년 1,366명 |
2020년 1,286명 |
2024년 8월 1,15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
문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8,769명 |
1970년 8,285명 |
1975년 6,515명 |
1980년 5,104명 |
1983년 2월 15일 문산면 등고리·금덕리 → 판교면 편입 |
1985년 3,692명 |
1990년 3,321명 |
1995년 2,453명 |
2000년 1,974명 |
2005년 1,655명 |
2010년 1,463명 |
2015년 1,351명 |
2020년 1,262명 |
2024년 8월 1,18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
판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8,899명 |
1970년 7,667명 |
1973년 7월 1일 종천면 흥림리 → 판교면 편입 |
1975년 8,146명 |
1980년 6,530명 |
1983년 2월 15일 문산면 등고리·금덕리 → 판교면 편입 |
1985년 6,328명 |
1990년 5,540명 |
1995년 3,924명 |
2000년 3,292명 |
2005년 2,646명 |
2010년 2,426명 |
2015년 2,338명 |
2020년 2,135명 |
2024년 8월 1,93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
종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8,535명 |
1970년 7,366명 |
1973년 7월 1일 종천면 흥림리 → 판교면 편입 |
1975년 6,452명 |
1980년 5,661명 |
1985년 4,958명 |
1990년 4,298명 |
1995년 3,764명 |
2000년 3,241명 |
2005년 2,683명 |
2010년 2,394명 |
2015년 2,284명 |
2020년 2,049명 |
2024년 8월 1,98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
비인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0,637명 |
1970년 9,234명 |
1975년 9,250명 |
1980년 8,142명 |
1985년 7,609명 |
1990년 6,383명 |
1995년 5,624명 |
2000년 4,607명 |
2005년 3,871명 |
2010년 3,629명 |
2015년 3,296명 |
2020년 2,950명 |
2024년 8월 2,81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8,917명 |
1970년 8,534명 |
1975년 8,887명 |
1980년 9,077명 |
1985년 8,173명 |
1990년 7,968명 |
1995년 6,693명 |
2000년 5,876명 |
2005년 5,155명 |
2010년 4,914명 |
2015년 4,793명 |
2020년 4,403명 |
2024년 8월 4,05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
5. 교통
자세한 내용은 서천군/교통 문서 참고하십시오.6. 경제
6.1. 산업
【농업】서천은 기름진 농경지와 풍부한 농업용수 등 농업에 유리한 자연·지리적 여건을 갖췄다. 군 면적의 38%가 전답(田畓)으로 논이 29%, 밭이 9%를 차지한다. 쌀 재배가 활발한데, 이는 서천이 준평원화한 지형이기 때문이다. 차령산맥(車嶺山脈)의 말단이 군 북부에 미치고 있으나 그 이외의 지역은 대체적으로 평지다. 가을철 너른 들판에 누렇게 익은 벼가 물결치는 모습은 서천을 대표하는 풍경이기도 하다. 2024년 쌀 생산량은 53,486톤으로 도내 2위, 전국 8위의 생산량이다.[11]
쌀 외의 생산 작물들로는 고구마, 수박, 토마토, 마늘, 쪽파, 고추 등이 재배되나 생산량은 많지 않은 편이다. 최근엔 재배지의 북상으로 감 재배 농가도 부쩍 늘어 도내 감 전체 생산량의 14.5%를 차지한다. 그 밖의 특용작물로는 참깨, 들깨, 인삼 등이 생산된다.
【공업】
장항읍 일대에 공업이 발달했다. 1936년에 지어진 장항제련소는 광복 이후 국영으로 운영되었으나 민영화 이후 여러 번 주인이 바뀌었다가 럭키금성그룹이 인수했으며, 지금은 LS메탈 장항공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 밖에 니꼬동제련 장항공장, 퍼시픽글라스 본사, 비료회사 풍농의 생산공장,[12] 한솔제지 장항공장 등이 소재한다. 장항읍과 마서면에 걸쳐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를 새로이 조성하고 있으며, 선진뷰티사이언스, 동양케미칼 등이 입주해 있다. 그 밖에 종천면과 서면에 농공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발전(發電)】
서천은 발전(發電)도시이기도 한데, 발전용량 1,018MW 규모의 한국중부발전 신서천발전본부가 서면 마량리에 위치하고 있다. 발전을 위한 무연탄 운송용 철도인 서천화력선이 1983년부터 2018년까지 운영되다가 舊서천화력발전의 폐지와 더불어 폐선하였다. 철도 영업거리는 21.7km로 장항선 간치역과 서천화력발전소가 있었던 동백정역 구간을 운행했다.
6.2. 지역내총생산(GRDP)
'12~'21년 서천군 지역내총생산[13] |
6.3. 상권
실학자 서유구가 19세기 초 집필한 백과사전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의하면, 과거 서천의 상업활동은 정기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3·8일의 비인장과 신장, 1·6일의 종천장과 한산장, 4·9일의 장동장과 길산장, 5·10일의 판교장, 2·7일의 서천장 등이 열렸다. 지금은 1·6일의 한산장, 3·8일의 장항장, 4·9일의 비인장, 5·10일의 판교장 등 4개 정기시장이 열린다. 주요 상설 시장으로는 서천읍의 서천특화시장과 장항읍의 장항전통시장, 서면의 홍원항 수산시장이 있다.인구가 15만명을 넘었던 1960~70년대엔 서천읍에 극장이 있을 정도로 유동인구가 존재했으나, 이후 이농 현상으로 상권의 쇠락을 피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2010년경 이후로 서천읍에 여러 요식 브랜드가 상권을 형성해 나가고 있으며 장항읍과 마서면 등지엔 잘 꾸며 놓은 카페도 증가하고 있다.
6.4. 금융
서천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 |||
제1금융권 [괄호] | |||
국가기관 | |||
서천우체국 (13) | |||
특수은행 | |||
농협은행(중앙회) (3) | |||
시중은행 | |||
하나은행 (1) | |||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서천농협 (4) | 동서천농협 (3) | 서서천농협 (2) | 장항농협 (1) |
판교농협 (1) | |||
수산업협동조합 | |||
서천군수협 (2) | 서천서부수협 (1) | ||
새마을금고 | |||
서천군새마을금고(2) | |||
신용협동조합 | |||
서천신용협동조합 (2) | 비인신용협동조합(1) | 한산신용협동조합(1) | |
산림조합 | |||
서천군산림조합 (1) |
7. 관광
【생태관광】- 국립생태원[17]
2013년 마서면 일대 99만 8,000㎡의 부지(축구장 98개 크기)에 건립되어 약 4,500여 종의 동식물을 전시하고 있는 대형 국립 생태박물관. 한반도의 생태계를 비롯해 열대, 사막, 지중해, 온대, 극지 등 세계 5대 기후와 그곳에서 서식하는 동식물을 한눈에 관찰하고 체험해 볼 수 있는 고품격 생태연구·전시·교육 공간이다.
국립생태원 |
- 국립해양생물자원관[18]
2015년 장항읍 일대 32만 5,000㎡의 부지에 건립된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해양생물자원 연구를 위한 바이오뱅크, 배양실, 수장고, 실험실 뿐만 아니라 전시·교육 시설인 씨큐리움과 교육동 등을 갖추고 있다. 해양생물을 비롯해 미래해양산업, 해양 주제 영상, 4D 영상 및 기획전시 등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의 전시관을 갖추고 있으며, 5,200개의 표본병이 전시돼 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 서천군 조류생태전시관[19]
금강 하구에 위치한 서천은 겨울철 철새의 거처로 유명하다. 특히 저녁 노을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철새들의 군무는 장관을 이룬다. 그리하여 금강하굿둑은 철새를 촬영하기 위해 찾는 사진가들을 비롯해 가족, 연인들이 드라이브 코스로 즐겨 찾는다. 2009년에 개관한 조류생태전시관엔 서천에 자생하는 새들과 철새의 생태가 전시되어 있다. 2024년엔 '서천철새여행'을 개최하여 약 1만 명의 여행객이 방문하였다.[20]
금강하굿둑의 철새 |
【역사·문화】
- 문헌서원(文獻書院)
조선 선조 7년(1574년)에 고려의 충신이자 성리학자였던 이곡(李穀)과 이색(李穡) 부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기산면에 위치해 있다. 위패를 모신 사우와 목은 이색의 영당을 비롯해 유림들이 모여 학문을 토론하던 진수당, 6칸 규모의 2층 누각식 강당, 제기를 보관하는 전사청, 관리인 숙소인 수호사, 내·외삼문, 재실, 이색 신도, 이종덕 효행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문헌전통호텔'이라는 이름의 한옥 숙박시설도 운영하고 있다.#
문헌서원 |
- 한산모시관[21]
2011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선정된 한산모시짜기의 역사와 전통을 전시한 박물관으로 1993년에 개관하였다. 기능 보유자인 방연옥(중요무형문화재 제14호), 박미옥(충남무형문화재 제1호)이 이곳에서 전통의 맥을 잇고 있다. 전수교육관에서 미니베틀, 염색, 공예, 모시식품 등 다양한 모시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산모시문화제 |
- 판교 시간이 멈춘 마을[22]
판교면 현암리는 60~70년대 정취를 간직한 곳이다. 1930년대에 충남 3대 우시장(牛市場)이 있었던 판교는 장항선 판교역이 들어서면서 더욱 번성하였으나 여느 농촌과 다름 없이 이촌향도(離村向都)로 인해 1980년대부터 인구가 감소하며 현재는 한적한 마을로 남아 있다. 주조장, 극장, 철공소, 일본식 가옥 등 옛 건물이 그대로 남아 있어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 듯한 기분을 들게 하는, 레트로 정취를 가득 품은 마을이다. 냉면가게와 소고기집이 유명하다.
서천 판교마을 풍경 |
- 이상재선생 생가지
한산면에 소재한 독립운동가 월남 이상재(月南 李商在) 선생의 생가지. 이상재 선생은 좌우로 나뉜 독립운동 진영을 충청도 특유의 유머와 여유로 중재하며 아우른 인물이었다. 이런 성향으로 인해 1924년 조선일보 사장으로 추대되었고, 1927년 좌우익 연합 독립운동 단체인 신간회(新幹會) 결성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
1920년 11월 4일 개최된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23]에서 시구하는 이상재 선생 |
- 한국최초 성경전래 기념관[24]
조선 순조 16년(1816년)에 영국 해군 대령 머리 맥스웰(Murray Maxwell)[25]이 서면 마량리에서 마량진 첨사 조대복(趙大福)에게 킹 제임스 성경을 건넨 것이 한국 최초의 성경 전래 기록으로 남아 있다. 200년 후인 2016년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서면에 설립된 기념관으로 기독교인들이 많이 찾는 관광지 중 하나다.
【자연 속의 휴식】
- 춘장대해수욕장
갯벌이 발달한 서천의 해안은 충청도 방언으로 '해루질'이라고 하는 조개잡기가 유명하다. 또한 서면의 춘장대해수욕장과 비인면의 비인해수욕장도 여름철 피서객들이 많이 찾는 곳인데, 이 중 춘장대해수욕장은 약 2km에 달하는 해변에 송림(松林)과 아카시아나무가 어우러진 매력적인 곳이다. 2024년 52일간의 해수욕장 개장 기간에 약 227만 명의 여행객이 찾았다.[26]
춘장대해수욕장 |
- 서천 치유의 숲[27]
희리산과 문수산의 푸른 숲에서 일상의 스트레스를 벗어버리고 정신과 육신을 휴식할 수 있는 곳. 개인 및 가족, 단체를 위한 산림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다양한 식생의 숲과 종천저수지에 연한 산책로, 어린이 놀이터 등이 갖춰져 있다.
서천 치유의 숲 |
- 장항송림산림욕장
약 1.5km에 이르는 고즈넉한 해송숲에서 평화로이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곳. 특히 여름철에 가득 피는 맥문동의 보랏빛 풍경이 장관을 이루며 8월말엔 '장항 맥문동 꽃 축제'가 열린다. 해안에 설치된 높이 15m, 길이 236m 규모의 스카이워크에서 기벌포(伎伐浦) 바다와 송림숲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장항 맥문동 꽃 축제 |
- 동백정(冬栢亭)
서면 마량리 해안 언덕에 위치한 정자로 겨울철에 만발하는 동백숲과 정자에서 바라보는 바다 풍경이 장관이다. 마량진항에서는 매년 12월 31일과 1월 1일에 해넘이 해돋이 행사가 열린다.
서천 동백정 |
- 신성리 갈대밭
한산면 신성리 금강변에 자생하는 총면적 250,000㎡ 규모의 갈대숲. 여름철엔 푸른색으로, 겨울철엔 황금빛으로 물든 갈대가 너울거리는 모습이 장관을 이룬다.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자이언트와 드라마 킹덤, 추노의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신성리 갈대숲 |
- 국립희리산해송자연휴양림[28]
종천면 희리산 143만㎥ 면적의 천연 해송림 속에 지어진 시설로, '해송자연휴양림'이라는 이름 그대로 상록수인 소나무가 주종을 이뤄 사시사철 푸르름을 간직한 곳이다. 통나무로 지어진 숙박시설을 갖추고 있어 가족 단위 여행객이 많이 찾으며 1실 5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해송휴양관도 갖춰져 있어 단체 수련회도 가능하다.
희리산자연휴양림 |
【축제】
- 서천 동백꽃 주꾸미 축제
- 서천 자연산 광어 도미 축제
- 한산모시문화제
- 춘장대해수욕장 여름문화예술제
- 장항 맥문동 꽃 축제
- 홍원항 전어·꽃게 축제
- 서천 마량진항 해넘이 해돋이
- 장항항 수산물 꼴갑축제
7.1. 특산물
모시, 소곡주, 김, 쭈꾸미, 박대 등이 유명하다.모시와 소곡주는 한산(韓山)이 산지로, 한산의 세모시 짜기는 중요무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고, 2011년엔 한산모시짜기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한산모시관에서 모시 재배와 모시를 이용한 직물제조 공정을 소개하고 있으며 매년 '한산모시제'를 개최한다.
그 기원이 백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소곡주(素麯酒)는 깊은 풍미로 오랫동안 사랑 받아 왔다.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 가던 선비가 소곡주 맛에 자리를 뜨지 못해 결국 시험을 보지 못 했다는 고사는 유명하다. 서천에는 제사 때 정종을 쓰지 않고 소곡주를 상에 올리는 집이 많다.
서천에서 생산하는 김은 보령의 대천김, 홍성의 광천김과 더불어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또한 서천은 서면을 중심으로 어업이 발달하여 꽃게, 홍어, 조기, 오징어, 쭈꾸미, 박대, 조개류 등 다양한 어종을 수확하는데, 특히 꽃게와 쭈꾸미가 유명하다. 홍원항 수산시장에 가면 철마다 나오는 여러 싱싱한 생선을 만날 수 있다.
8. 교육
충청남도 서천군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기산초등학교 | 마동초등학교 | 마산초등학교 | 문산초등학교 | |
부내초등학교 | 마동초등학교 | 비인초등학교 | 서남초등학교 | ||
서도초등학교 | 서면초등학교 | 서천초등학교 | 송림초등학교 | ||
송석초등학교 | 시초초등학교 | 오성초등학교 | 장항중앙초등학교 | ||
장항초등학교 | 한산초등학교 | 화양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충청남도 서천군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동강중학교 | 비인중학교 | 서림여자중학교 | |||
서면중학교 | 서천여자중학교 | 서천중학교 | |||
장항중학교 | 판교중학교 | 한산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충청남도 서천군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공동체비전고등학교 | 서천고등학교 | ⊙ 서천여자고등학교 | ◈ 서천여자정보고등학교 | ||
장항고등학교 | ◈ 장항공업고등학교 | ▣ 충남디자인예술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9. 정치
자세한 내용은 서천군/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10. 군사
- 대한민국 육군 제32보병사단 제97보병여단 제1대대(서천대대)
-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제1미사일방어여단 예하 방공포대가 주둔해 있었으나 2020년 초 철수하였다.
11. 하위 행정구역
자세한 내용은 서천군/행정 문서 참고하십시오.12. 여담
-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성경이 들어온 도시가 서천이다. 조선 순조 16년(1816년)에 영국 해군 대령 머리 맥스웰(Murray Maxwell)[29]이 이끄는 알세스테(Alceste)호가 서면 마량리에 닿았는데, 당시 비인현감 이승렬(李升烈)과 마량진 첨사 조대복(趙大福)이 이를 조사하는 중에 맥스웰이 조대복에게 킹 제임스 성경을 건넸다.
그런 영향으로 서천은 개신교의 교세가 강하다. 충청도에서 개신교 신자 비율이 50%를 넘는 유일한 곳이며,[30] 동시에 충청도에서 인구 및 전체 교회 수 대비 예장합동의 교세가 가장 강한 곳이다.
- 다큐멘터리 3일 2015년 10월 18일자 방영분에서 서천 판교마을의 3일을 촬영하였다. 과거에는 큰 마을이었으나 지금은 과거를 간직한 쓸쓸하지만 향수를 자극하는 풍경을 보여주었다.
- 박원숙의 같이 삽시다의 촬영지로 선정되어 2023년 상반기 동안 서천군과 주변 인접 관광지를 소개했다.
13. 출신 인물
- 곽영달(1959)
- 구기찬 : 전 대전광역시 행정부시장
- 구덕환
- 구만섭 :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 구재서 : 前 육군훈련소장.
- 김경제(1957)
- 김기웅 : 現 충청남도 서천군수
- 김동수 : 前 공정거래위원장, 기획재정부 제1차관, 한국수출입은행장
- 김성태 : 現 중소기업은행장
- 김승겸 : 現 합동참모의장, 위의 구재서 예)소장과 육사 42기 동기이다.
- 김옥선 : 남장여자 정치인, 제7, 9, 12대 국회의원
- 김은기 : 前 공군참모총장. 제2롯데월드 설립에 끝까지 반대하다 해임되었다.
- 김응수 : 영화배우
- 김인전
- 김정렬(1961)
- 김종남(1966)
- 김종갑 : 군인, 정치인, 제6대 국회의원
- 김진동
- 김진규(배우) : 1960년대 최고의 영화배우
- 김철배
- 김해리 : 치어리더
- 김현(디자이너)
- 김호겸(1889)
- 김홍열(군인)
- 나소열 : 제42 ~ 44대(민선 3 ~ 5기) 서천군수.
- 나신찬
- 나태주 : 시인
- 나하나 : 뮤지컬 배우
- 나학균
- 나한일 : 영화배우
- 나희집
- 노대래 : 前 공정거래위원장, 조달청장, 방위사업청장
- 노박래 : 제45, 46대(민선 6, 7기) 서천군수
- 노승우 : 정치인, 제14, 15대 국회의원
- 노철래[31] : 정치인
노홍철: 본적만 두고 있다.기산면 두북리 63-1- 노희대 : 이분이 바로 노홍철의 아버지.
- 노희두 : 민주화 운동가
- 류승룡 : 영화배우
- 박덕배 : 전 농림수산식품부 제2차관
- 박민수(가수)
- 박술녀 : 한복 디자이너
- 박영조
- 박종호(1961)
- 박형순
- 방비석
- 방일홍
- 백남치 : 교육자, 정치인, 제13 ~ 15대 국회의원
- 백의종
- 보겸 : 유명 유튜버이자 아프리카TV의 BJ. 초중고교를 다 서천에서 다녔다.[32][33]
- 서형달
- 설경구 : 영화배우
- 송태호
- 신맹순
- 신석초 : 시인. 출생지는 충남 서천군 화양면 활동리관련 내용
- 신재민 : 기자, 정치인
- 신직수 : 前 중앙정보부장
- 안동수
- 안홍렬
- 양경규
- 여인웅
- 오세옥
- 오태석 : 한국의 극작가, 연극 연출가. 극단 목화의 대표. 동랑 유치진의 직계 제자로 서울예술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임 중.[34]
- 우설민
- 우연이 : 가수
- 우희창 : 정치인, 제4, 5대 국회의원
- 유석상
- 유승광
- 유영태(1936)
- 윤석구
- 윤영희(1961)
- 이긍규 : 정치인
- 이빈 : 만화가.[35]
- 이상돈(1948)
- 이상락
- 이상용 : 방송인. 우정의 무대 진행자로 유명하다.
- 이상익 : 정치인
- 이상재 : 독립운동가
- 이영규
- 이원승
- 이준구 :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이준희(1970)
- 이철구 : 경찰청 경비/사이버안전국장, 대구지방경찰청장
- 이훈구(1896)
- 전영환
- 전옥현
- 전익현
- 전형식
- 정해구
- 조규광
- 조남풍
- 조동준
- 조성연(정치인)
- 조소연
- 조이환
- 조중연 : 정치인
- 지관근
- 천뚱
- 최기복
- 최용규(1956) : 제16, 17대 국회의원
걸출한 배우들이 꽤 배출됐다. 류승룡, 설경구, 김응수 세 명이 지금까지 출연한 영화의 누적 관객수가 2억 명(!)에 육박한다.
14.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국제슬로시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 춘천시 | 영월군 | |
제천시 | ||
예산군 | 태안군 | 서천군 | ||
전주시 | ||
신안군 | 완도군 | 담양군 | 장흥군 | ||
상주시 | 청송군 | 영양군 | ||
김해시 | 하동군 |
[1]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2] 2024년 10월 기준.[3] 서천군 가선거구 (장항읍, 마서면, 화양면, 기산면, 한산면, 마산면): 김경제, 김원섭
서천군 나선거구 (서천읍, 시초면, 문산면, 판교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 이지혜, 한경석
서천군 비례대표 : 홍성희[4] 서천군 가선거구 (장항읍, 마서면, 화양면, 기산면, 한산면, 마산면): 김아진
서천군 나선거구 (서천읍, 시초면, 문산면, 판교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 이강선[5] 서천군 제2선거구 (서천읍, 시초면, 문산면, 판교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 신영호 (초선)[6] 서천군 제1선거구 (장항읍, 마서면, 화양면, 기산면, 한산면, 마산면): 전익현 (재선)[7] 서천군 마스코트. 서천의 특산품인 한산모시 줄기와 잎을 모티브로 하여 머리모양을 형상화하였다.[8] 관련기사#[9] 1966년 조사에서 서천읍으로 오기되어 있음.[10]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수 있다에 따라 승격[11] 관련 기사#[12] 지금은 본사를 마포구로 옮겼지만 장항에서 창업한 회사이다. #[13] 자료출처#[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7] 홈페이지#[18] 홈페이지#[19] 홈페이지#[20] 관련기사#[21] 홈페이지#[22] 브런치 '술담화'님의 포스트#[23] 전국체전의 전신[24] 홈페이지#[25] 인물정보#[26] 관련기사#[27] 홈페이지#[28] 홈페이지#[29] 인물자료#[30] 충남 서해안이 대체로 개신교 교세가 강한 편이지만 50%를 넘는 곳은 서천이 유일[31] 노홍철의 할아버지 항렬이다.[32] 대학은 위에서도 설명한 서천과 교류가 잦은 군산대학교[33] 부모님은 서천에 거주 중이시고 본인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었으나 2023년 9월 근황을 알리는 영상에서 본가인 서천에서 지내고 있음을 밝혔다.[34] 정확히는 초등학교 시절만 고향 서천에서 보낸 것으로 보이며, 한 때 그의 제자 박영규가 소유, 임대했던 대학로 일대 소극장의 이름이 '아룽구지'였는데, 이 아룽구지가 바로 오태석 교수의 고향인 現 시초면 선암1리 일대의 옛 지명이다.[35] 대표작 중 하나인 안녕 자두야를 보면 외가가 서천군에 있었다는 언급이 나온다.
서천군 나선거구 (서천읍, 시초면, 문산면, 판교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 이지혜, 한경석
서천군 비례대표 : 홍성희[4] 서천군 가선거구 (장항읍, 마서면, 화양면, 기산면, 한산면, 마산면): 김아진
서천군 나선거구 (서천읍, 시초면, 문산면, 판교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 이강선[5] 서천군 제2선거구 (서천읍, 시초면, 문산면, 판교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 신영호 (초선)[6] 서천군 제1선거구 (장항읍, 마서면, 화양면, 기산면, 한산면, 마산면): 전익현 (재선)[7] 서천군 마스코트. 서천의 특산품인 한산모시 줄기와 잎을 모티브로 하여 머리모양을 형상화하였다.[8] 관련기사#[9] 1966년 조사에서 서천읍으로 오기되어 있음.[10]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수 있다에 따라 승격[11] 관련 기사#[12] 지금은 본사를 마포구로 옮겼지만 장항에서 창업한 회사이다. #[13] 자료출처#[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7] 홈페이지#[18] 홈페이지#[19] 홈페이지#[20] 관련기사#[21] 홈페이지#[22] 브런치 '술담화'님의 포스트#[23] 전국체전의 전신[24] 홈페이지#[25] 인물정보#[26] 관련기사#[27] 홈페이지#[28] 홈페이지#[29] 인물자료#[30] 충남 서해안이 대체로 개신교 교세가 강한 편이지만 50%를 넘는 곳은 서천이 유일[31] 노홍철의 할아버지 항렬이다.[32] 대학은 위에서도 설명한 서천과 교류가 잦은 군산대학교[33] 부모님은 서천에 거주 중이시고 본인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었으나 2023년 9월 근황을 알리는 영상에서 본가인 서천에서 지내고 있음을 밝혔다.[34] 정확히는 초등학교 시절만 고향 서천에서 보낸 것으로 보이며, 한 때 그의 제자 박영규가 소유, 임대했던 대학로 일대 소극장의 이름이 '아룽구지'였는데, 이 아룽구지가 바로 오태석 교수의 고향인 現 시초면 선암1리 일대의 옛 지명이다.[35] 대표작 중 하나인 안녕 자두야를 보면 외가가 서천군에 있었다는 언급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