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23:56:06

국제슬로시티

파일:국제슬로시티 로고.svg
연맹본부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오르비에토
가맹 현황 33개국 291개 도시 (2023년 8월 기준) [1]
국내본부 서울본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88길 10, 2015호
(대치동, 신안메트로칸)
부산분사 부산광역시 사상구 광장로 99, 403호
(괘법동, 도원빌딩)
법인 비영리 단체
대표이사 손대현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명예교수)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의미3. 가맹 도시
3.1. 대한민국3.2. 세계3.3. 인증 시도 도시

[clearfix]

1. 개요

슬로시티는 슬로 푸드(Slow food)운동에서 시작되었다. 패스트푸드의 대명사인 맥도날드1986년 이탈리아 로마 매장을 열자 이탈리아 사람들은 큰 충격을 받았고, 지역 고유의 전통 음식을 지키려는 모임이 곳곳에서 생겨나기 시작했다. 슬로푸드 운동의 세가 확장되어 1999년 10월, 이탈리아의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i) 시장인 故 파올로 사투르니니(Paolo Saturnini)에 의해 오르비에토(Orvieto), 포지타노(Positano), 브라(Bra)의 시장들이 모여 음식에만 국한하지 말고, 도시의 삶 전체에 느림을 도입하자는 뜻을 모았다. 이들이 내건 운동명칭이 이탈리아어로 '치따 렌타(Citta Lenta)'나 '치따슬로(Cittaslow)'라고 불리는 '슬로시티(Slowcity)'운동이다.

2. 의미

3. 가맹 도시

3.1. 대한민국

파일:국제슬로시티 로고.svg 대한민국 국제슬로시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춘천시 | 영월군
제천시
예산군 | 태안군 | 서천군
전주시
목포시 | 신안군 | 완도군 | 담양군 | 장흥군
상주시 | 청송군 | 영양군
김해시 | 하동군
}}}}}}}}} ||

3.2. 세계

튀르키예 21개, 중국 13개, 일본 2개, 대만 4개가 슬로시티로 인증을 받았다.
이외에 독일, 영국, 네덜란드, 폴란드, 스페인, 포르투갈, 스위스유럽 전역에 걸쳐 다양한 슬로시티가 있다.

3.3. 인증 시도 도시


[1] 한국의 국제슬로시티 인증 도시 : 17개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