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0:53:05

사상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영도구 CI.svg
영도구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진구
파일:동래구 CI.svg
동래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북구
파일:해운대구 CI.svg
해운대구
파일:사하구 CI.svg
사하구
파일:금정구 CI.svg
금정구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svg
강서구
파일:연제구 CI.svg
[[부산광역시청|
시청
]] 연제구
파일:수영구 CI.svg
수영구
파일:사상구 CI.svg
사상구
파일:기장군 CI.svg
기장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a44e><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a44e>
파일:사상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구청
감전동
괘법동 덕포동 모라동
삼락동 엄궁동 주례동 학장동
}}}}}}}}} ||
부산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사상구 CI.svg
사상구
沙上區
Sasang-gu
}}}
<colbgcolor=#00a44e><colcolor=#fff> 구청 소재지 학감대로 242 (감전동)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2[1]
면적 36.1㎢
인구 199,406명[2]
인구밀도 5,523.71명/㎢[3]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병길 (초선)
구의회
파일:zsdkl3gasdg.svg
5석[4]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석[5]

1석[6]

1석[7]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석[8]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대식 (초선)
상징 <colbgcolor=#00a44e><colcolor=#fff> 구화 철쭉꽃
구목 소나무
구조 까치
구가 사상구민의 노래
지역번호 05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리5. 인구6. 교통7. 경제
7.1. 금융
8. 문화/명소/상권9. 교육
9.1. 대학교9.2. 고등학교9.3. 중학교9.4. 초등학교9.5. 특수학교
10. 의료기관11. 정치12. 하위 행정구역13.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의 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1995년 3월 1일에 북구의 가운데 부분을 분리하여 모라동 남쪽 부분이 북구에서 독립하여 생겨난 곳이다. 따지고 보면 옛 동래군 사상면의 관할구역이 그대로 자치구로 승격한 셈이다.[9]

흔히 사하구, 강서구, 북구와 함께 낙동강 벨트의 한 축으로서 서부산권에 속하는 지역이며 북부산이라는 명칭은 공식적으로 쓰이는 명칭은 아니지만 북구를 가리킨다.

2. 상징

파일:attachment/erqerqwer.jpg
사상구청. 2002년 준공되었다.
파일:사상구 마스코트.jpg
사상구 마스코트이자 캐릭터 '신바람이'.[10]
파일:external/pbs.twimg.com/pPvyH86g.jpg
파일:external/smartsiren.co.kr/sinbaram_400x400.png

3. 역사

금관가야시기엔 현재의 경부선보다 고도가 낮은지대, 주례역 삼거리 서쪽 지역 및 사상공단 일대의 경우,거의 해수면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경상도 동래군 사천면의 영역에 해당한다.

4. 지리

부산의 대표적인 공업지구인 사상공단이 있는데 1968~1975년에 걸쳐 조성된 공단이다.# 공단이 조성된 땅은 낙동강 삼각주처럼 점토로 이루어진 충적평야였던 곳으로 폭우가 쏟아지기라도 하면 꼼짝없이 홍수 피해가 극심한 곳이었으며 1991년에 태풍 글래디스로 인하여 구포에서 낙동강 제방이 붕괴되어 낙동강 물이 범람하여 서부터미널 일대까지 홍수 피해를 입은 전적이 있다.

공단에 인접한 주거지가 으레 그렇듯이 주거환경에 있어서는 다른 자치구에 비해 평판이 나쁘다. 사실 모라동[13]과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은 택지로써 괜찮게 개발되기는 했지만 공장과 주거지가 확실하게 분리되지 않은 감전동이나 삼락동,[14] 덕포동일수록 이런 경향이 현저하다. 더군다나 사상공단에 입주해 있는 업체들이 하나같이 공해 산업으로 악명높은 주물업체라서.

학장천, 감전천, 삼락천 같은 자연하천이 흐른다.

5. 인구

파일:사상구 CI.svg부산광역시 사상구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5년 3월 1일 북구 일부 지역[15] → 부산광역시 사상구 승격 분리
1995년 293,924명
2000년 301,127명
2005년 277,481명
2010년 257,843명
2015년 237,711명
2020년 212,586명
2024년 10월 199,4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장동 26,533명
모라제1동 26,366명
엄궁동 24,440명
괘법동 24,276명
주례제2동 21,659명
주례제1동 16,543명
주례제3동 12,223명
덕포제2동 12,155명
감전동 12,125명
덕포제1동 11,572명
모라제3동 9,286명
삼락동 5,198명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
법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례동 49,920명
모라동 35,177명
학장동 26,198명
괘법동 24,315명
엄궁동 24,002명
덕포동 23,663명
감전동 11,835명
삼락동 5,103명
2024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추이 #===
파일:사상구 CI.svg 삼락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1,575명
1970년 2,401명
1975년 6,122명
1980년 18,616명
1985년 21,495명
1990년 18,061명
1995년 14,269명
2000년 11,550명
2005년 9,833명
2010년 8,630명
2015년 7,191명
2020년 6,002명
2023년 9월 5,32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사상구 CI.svg 모라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3,830명
1970년 5,084명
1975년 9,215명
1980년 20,215명
1985년 23,439명
1990년 38,012명
1991년 9월 15일 모라동 → 모라제1동, 모라제2동 분동
1994년 7월 1일 모라제2동 → 모라제2동, 모라제3동 분동
1995년 43,308명(모라제1동 13,799명 + 모라제2동 29,509명)
2000년 39,009명(모라제1동 10,449명 + 모라제2동 28,560명)
2005년 35,917명(모라제1동 9,159명 + 모라제2동 26,758명)
2007년 12월 31일 모라제1동 + 모라제2동 → 모라제1동 합동
2010년 34,196명
2015년 30,082명
2020년 28,199명
2023년 9월 26,61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파일:사상구 CI.svg 모라제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4년 7월 1일 모라제2동 → 모라제2동, 모라제3동 분동
1995년 24,097명
2000년 20,260명
2005년 17,439명
2010년 15,642명
2015년 13,518명
2020년 11,022명
2023년 9월 9,47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사상구 CI.svg 덕포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1,846명
1970년 3,440명
1975년 14,577명
1980년 29,719명
1982년 9월 1일 덕포동 → 덕포제1동, 덕포제2동 분동
1985년 24,991명
1990년 24,496명
1995년 18,423명
2000년 15,198명
2005년 14,211명
2010년 12,455명
2015년 12,328명
2020년 8,892명
2023년 9월 10,82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사상구 CI.svg 덕포제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덕포동 → 덕포제1동, 덕포제2동 분동
1985년 9,495명
1990년 17,628명
1995년 18,706명
2000년 17,800명
2005년 16,529명
2010년 16,466명
2015년 14,735명
2020년 13,200명
2023년 9월 12,23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사상구 CI.svg 괘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5,349명
1970년 9,576명
1975년 15,618명
1980년 26,848명
1985년 32,132명
1990년 31,793명
1995년 23,628명
2000년 24,924명
2005년 24,258명
2010년 22,028명
2015년 21,424명
2020년 22,045명
2023년 9월 24,46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사상구 CI.svg 감전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2,584명
1970년 4,475명
1975년 16,830명
1979년 8월 8일 감전동 → 감전제1동, 감전제2동 분동
1980년 35,058명(감전제1동 17,994명 + 감전제2동 17,064명)
1985년 35,153명(감전제1동 18,374명 + 감전제2동 16,779명)
1990년 34,186명(감전제1동 19,256명 + 감전제2동 14,930명)
1995년 24,810명(감전제1동 14,351명 + 감전제2동 10,459명)
2000년 18,900명(감전제1동 10,424명 + 감전제2동 8,476명)
2005년 17,443명(감전제1동 8,906명 + 감전제2동 8,537명)
2007년 12월 31일 감전제1동 + 감전제2동 → 감전동 합동
2010년 16,162명
2015년 15,479명
2020년 13,829명
2023년 9월 12,3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사상구 CI.svg 주례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3,528명
1970년 9,226명
1975년 22,932명
1979년 1월 1일 주례동 → 주례제1동, 주례제2동 분동
1980년 16,830명
1985년 21,966명
1990년 40,860명
1991년 9월 15일 주례제1동주례제1동, 주례제3동 분동
1995년 19,529명
2000년 19,499명
2005년 19,630명
2010년 18,353명
2015년 16,198명
2020년 15,551명
2023년 9월 16,68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사상구 CI.svg 주례제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1월 1일 주례동 → 주례제1동, 주례제2동 분동
1980년 24,702명
1985년 29,785명
1990년 27,300명
1995년 22,491명
2000년 30,051명
2005년 29,986명
2010년 27,314명
2015년 25,640명
2020년 23,455명
2023년 9월 21,9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사상구 CI.svg 주례제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1년 9월 15일 주례제1동 → 주례제1동, 주례제3동 분동
1995년 22,901명
2000년 20,096명
2005년 18,061명
2010년 16,712명
2015년 15,117명
2020년 13,405명
2023년 9월 12,32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사상구 CI.svg 학장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1,625명
1970년 2,192명
1975년 8,233명
1978년 2월 15일 학장동 일부 → 부산시 서구 서대신제4동 편입
1980년 15,773명
1985년 18,259명
1990년 20,432명
1995년 38,769명
2000년 42,505명
2005년 40,178명
2010년 35,778명
2015년 33,374명
2020년 28,998명
2023년 9월 26,81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파일:사상구 CI.svg 엄궁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1,875명
1970년 2,316명
1975년 5,496명
1980년 13,613명
1985년 20,616명
1990년 28,524명
1995년 24,910명
2000년 33,746명
2005년 31,314명
2010년 34,107명
2015년 32,630명
2020년 27,988명
2023년 9월 24,66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6.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a44e><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a44e>
파일:사상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a44e> 감전천로 · 강선로 · 광장로 · 괘감로
냉정로 · 농산물시장로
대동로 · 덕상로 · 동주로
모덕로 · 모라로
사상로 · 삼덕로 · 삼락천로 · 새벽로 · 새벽시장로
양지로 · 엄궁남로 · 엄궁로 · 엄궁북로 · 엄궁중로 · 운산로
장인로 · 주감로 · 주례로 · 진사로
하신번영로 · 학장로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부산 도시철도 2호선사상로가야대로를 따라서 지나가며 경부선 사상역이 이곳에 있다. 하지만 여객취급은 거의 개점휴업상태나 다름없을 정도로 정차 편수가 적다.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이 역을 경유하고 부산김해경전철사상하단선이 사상역에서 시종착하기 때문에 향후 사상역은 왕십리역에 버금가는 환승의 요충지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안그래도 서부산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이 사상역 근처에 있다.

이 외에도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연결되는 도시고속화도로동서고가로가 사상구의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며 감전나들목과 주례램프가 있다. 이 때문에 주례교차로를 중심으로 한 가야대로 일대는 항상 교통정체에 시달린다. 지나가는 고속도로로는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중앙고속도로가 있다.

6.1.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해당 문서로.

6.2. 관내 철도 목록

7. 경제

학장동, 감전동 일대에 있는 부산 최대의 공단인 사상산업단지가 지역 경제의 8할을 책임지고 있다. 그래서 공단의 존재 덕분에 경제력이 꽤나 높을 것처럼 보이겠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2021년 6월 기준 부산 지역별 평균소득 수준 조사 결과에서 사상구는 부산 전체 16개 구군들 중 14위(30,848천원)로 뒤에서 3위를 기록했다. 1위를 차지한 해운대구(36,789천원), 2위를 차지한 동래구(35,716천원)와는 매우 격차가 넘사벽이며, 꼴찌 중구(30,103천원), 15위 영도구(30,801천원)와 도찐개찐인 수준이다. 원래 사상구의 주물 공단이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잘 나간 편이었지만, 외환위기 때 수많은 회사들이 중국으로 옮겨갔고, 이후 중국에서 저렴한 인건비로 주물 수주를 왕창 쓸어가자 사상공단의 경쟁력과 평판이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공단들도 말이 공단이지 공단 내 공장의 1/3은 회사가 부도로 망해서 기계가 그대로 방치된 공실들이다.

의외로 외국인들의 소비 규모가 큰 지역이다. 2014년에는 부산에서 부산진구에 이어 2번째로 외국인이 신용카드를 많이 사용한 지역으로 꼽혔다. 사상공단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은데다 괘법동 일대에 다문화 거리가 들어서고, 주말이면 괘법동 홈플러스, 이마트를 이용하는 외국인 쇼핑객과 근처 수변공원을 이용하는 외국인 커플의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여기에 김해국제공항과 교통상 가깝다는 점 덕분에 외국인들이 이 곳에서 소비를 많이 하는 것도 보인다.

또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도 있는데, 서부터미널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보다 오히려 수요가 더 높고 공급도 더 높아 이용객들이 부산의 버스 터미널들 중에서 가장 많으며 버스 기사들을 포함 직원들도 부산의 버스 터미널들 중에서 가장 많다. 물론 규모 자체는 노포동터미널이 더 크다. 심지어 수도권, 충청권으로 갈 때 노포동을 놔두고 사상에서 시외버스를 탑승한 뒤 마산에서 환승해서 가기도 한다. 사실 이는 노포동터미널이 지나치게 부산의 외곽에 있고 주변에 공동묘지(부산영락공원)가 있기 때문에 그렇다. 추가로 시외버스를 타고 공단이 많은 경상남도 쪽으로 가는 외국인들도 많다.

7.1. 금융

사상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부산사상우체국 (7)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4)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6)
시중은행
신한은행 (1) 우리은행 (2)
하나은행 (2) 국민은행 (4)
iM뱅크 (1)
지방은행
부산은행 (13) 경남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중부산농협 (3) 부경양돈농협 (1) 부경원예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제1,2구잠수기수협 (1) 경남정치망수협 (1)
새마을금고
승학새마을금고 (5) 주례새마을금고 (2) 부산주례새마을금고 (3) 백양새마을금고 (3)
늘푸른사상새마을금고 (5) 사상중앙새마을금고 (2) 감전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사상신용협동조합 (4) 서부산신용협동조합 (2)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진주저축은행 (1)

8. 문화/명소/상권

9. 교육

9.1. 대학교


사상구에 있는 네 개의 대학 중 부산디지털대와 동서대, 경남정보대 3개는 지역구 국회의원을 거쳐 국회부의장까지 역임한 장성만동서학원 소유다. 현재는 장남 장제국이 물려받았다. 지금도 사상구에는 이 동서학원이라는 사학재단의 영향력이 강하게 남아 있다. 차남 장제원이 부친이 닦아 놓은 지역구에서 아들숱한 범죄들에도 불구하고 3선이나 했으니 말이다.

한편 신라대학교는 장성만 일가와는 관련 없는 박영학원 소유로,[19] 예전에는 사상구가 아닌 연제구 연산동에 있다가 이전해 왔다. 원래 위치는 현재의 이마트 연산점 인근이었으며, 병설 중학교인 신라중학교가 부일여자중학교였을 때 위치도 이마트 연산점 맞은편(현 경동메르빌아파트 부지)이었다.

9.2. 고등학교

파일:사상구 CI_White.svg 부산광역시 사상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구덕고등학교 대덕여자고등학교 부산항공고등학교 사상고등학교 주례여자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면적이 상당히 넓은 구인 반면 고등학교는 여섯 곳 뿐이라 고등학교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그 와중에도 부산항공고등학교특성화고이며 부산산업학교는 직업학교라 직업반들만 갈 수 있기 때문에[20] 실질적인 일반계 고등학교는 넷 뿐이며 남녀공학은 하나도 없다.[21][22] 때문에 주례동(주례역, 냉정역 부근)에 사는 사람들은 부산진구의 고등학교로 통학하는 편이고 삼락동, 모라동에 사는 사람들은 북구의 고등학교로 통학하는 편이다.[23] 엄궁동 거주자는 사하구 하단동에 위치한 건국고등학교부산여자고등학교로 가기도 하고 학장동의 경우 여고생들은 부산서여자고등학교[24], 남고생 중 구덕고등학교가 과밀 현상이 발생하면 구덕터널을 넘어서 학군을 넘나들며 서구에 있는 경남고등학교나 남녀공학인 부경고등학교, 특성화고인 경성전자고등학교부산관광고등학교로 올 정도이다. 거짓말이 아니라 실제로 학장동에서는 사상고로 가는 것보다 구덕터널 하나 넘어서 동대신동으로 가면 바로 경남고랑 부경고로 갈 수 있다.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로 학년당 130~160명대의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다.

9.3. 중학교

파일:사상구 CI_White.svg 부산광역시 사상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덕포여자중학교 동주중학교 모동중학교 모라중학교 신라중학교
엄궁중학교 주감중학교 주례여자중학교 주례중학교 학장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9.4. 초등학교

파일:사상구 CI_White.svg 부산광역시 사상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감전초등학교 괘법초등학교 구학초등학교
덕상초등학교 덕포초등학교 동궁초등학교
동주초등학교 모덕초등학교 모동초등학교
모라초등학교 모산초등학교 사상초등학교
삼덕초등학교 서감초등학교 엄궁초등학교
주감초등학교 주양초등학교 주학초등학교
창진초등학교 학장초등학교 학진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9.5. 특수학교

10. 의료기관

종합병원으로 부산보훈병원(475병상)과 좋은삼선병원(375병상)이 모두 주례동에 있다. 모두 구 경계에 있다 보니 지역 주민들이 이용하기에는 편리하지 않은 편.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상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상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1] 8개 법정동, 12개 행정동[2] 2024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4년 10월 기준.[4] 사상구 가선거구 (삼락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이정욱
사상구 나선거구 (모라1동, 모라3동): 김향남
사상구 다선거구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정춘희
사상구 라선거구 (학장동, 엄궁동): 정두희
사상구 비례대표: 황수진
[5] 사상구 가선거구 (삼락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김종선
사상구 다선거구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윤숙희
사상구 라선거구 (학장동, 엄궁동): 김정옥
사상구 비례대표: 김윤경
[6] 사상구 나선거구 (모라1동, 모라3동): 이종구[7] 사상구 가선거구 (삼락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신혜정 의원 사직으로 인한 공석[8] 사상구 제1선거구 (삼락동, 모라1동, 모라3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윤태한 (초선)
사상구 제2선거구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 김창석 (초선)
[9] 사상구 아랫동네인 사하구도 동래군 시절에는 사하면이라 마찬가지라 볼 수 있겠지만 정확히는 사하면 시절의 관할구역은 사하구와 서구 암남동까지 포함했다. 그러니까 지금의 사하구는 사하면에서 서구 암남동을 뺀 나머지 영역이라 볼 수 있다. (정확히는 암남동이 먼저 부산으로 편입되었고, 나머지 지역은 나중에 부산으로 편입되었다.)[10] 사상구의 미래상인 ‘첨단문화도시'의 모습이자, 머리 위의 바람개비를 이용하여 사상구 곳곳을 날아다니며 신바람을 일으키는 귀염둥이라고 한다.[11] 당시 면사무소는 현재의 사상초등학교 옆에 있는 사상교회교육관 자리에 있었고 1962년까지 면사무소로서 기능을 하였다. 사상구 지역의 부산시 편입 직후부터 2002년 5월 중순까지 사상구청, 구의회 및 보건소를 신축하여 이전하기 전에는 북구(1995년 3월 1일 이후에는 사상구) 보건소로 사용되었다.[12] 같이 폐지되는 구포출장소와 한데 묶어 출범하였다.[13] 사실 모라1동은 30~40%가 공장이 차지하지만 나름 괜찮게 개발된 지역이다. 경부선 선로를 기준으로 나뉘어져 공장과 주거단지가 나누어져 있다.[14] 사람들이 오해하는 게 있는데 공단의 반은 삼락동 안에 포함되어있다. 삼락동이 워낙 땅덩어리가 넓어서 사상의 괘법부터 북구의 구포 사이가 다 삼락동이기 때문에 공단 중간에 있는 하천을 경계삼아 덕포, 모라, 삼락이 나눠진다.[15] 모라제1동, 모라제2동,모라제3동, 삼락동, 덕포제1동, 덕포제2동, 괘법동, 감전제1동, 감전제2동, 주례제1동, 주례제2동, 주례제3동, 학장동, 엄궁동[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9] 위치도 주례동에 있는 동서학원과 달리 괘법동이다.[20] 각 고등학교 직업반 학생들끼리 서로 모여서 직업훈련을 하는 학교이다. 이 때문에 자체 교복은 없으며 특수학교로 취급받는다.[21] 구덕고랑 사상고는 남자고등학교이고 대덕여고랑 주례여고는 여자고등학교다.[22] 그마저도 구덕고랑 사상고는 도로 주변에 학교가 있어 접근성이 좋으나 주례여고랑 대덕여고가 접근성이 몹시 좋지 않기때문에 부산진구나 서구, 사하구에 위치한 학교들로 많이 가는 편이다.[23] 이들 동네는 구포3동에 위치한 성도고등학교삼정고등학교로 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낙동고등학교화명신도시에 위치한 화명고등학교, 금곡고등학교로 가기도 한다.[24] 주례여고로 갈 수 있으나 67번을 타면 환승없이 서여고로 바로 이어준다. 또한 주례여고는 환승을 해서 가야 하며 동서대 인근에 위치해서 접근성이 매우 병맛이다.[25] 학교 안에서 굴뚝에서 연기나오는 모습이 심심찮게 보인다.[26] 바로 옆에 페인트 공장이 있다.[27] 학교는 북구 만덕동 일대에서 다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