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사상구 문서 참고하십시오.
관련 문서: 사상구/정치
부산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중·영도 | 서·동 | ||
조승환 | 곽규택 | 정성국 | 이헌승 | |
동래 | 남 | 북 갑 | 북 을 | |
서지영 | 박수영 | 전재수 | 박성훈 | |
사하 갑 | 사하 을 | |||
주진우 | 김미애 | 이성권 | 조경태 | |
금정 | 강서 | 연제 | 수영 | |
백종헌 | 김도읍 | 김희정 | 정연욱 | |
사상 | 기장 | |||
김대식 | 정동만 | |||
◀ 제21대 | }}} }}}}}} |
대한민국의 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사상구 사상구 일원 沙上區 Sasang | }}}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181,823명 (2024) | |||||
상위 행정구역 | 부산광역시 | |||||
관할 구역 |
| |||||
신설년도 | 1996년 | |||||
이전 선거구 | 사상구 갑, 사상구 을 | |||||
국회의원 | | 김대식 |
[clearfix]
1. 개요
1995년 사상구가 북구에서 분리, 신설되면서 출범한 선거구인데, 사상구가 신설될 당시엔 인구 상한선 초과로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삼락동을 사상구 갑으로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을 사상구 을 선거구로 편성하였다.그러나 1996년에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단 1번 뿐이고, 그 이후로는 사상구의 인구가 줄면서 단일 선거구로 병합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이다.
2. 분석
요약하자면 낙동강 벨트에 속한 곳 중 하나로, 과거 문재인 前 대통령이 2012년 19대 총선 당시에 이 곳에서 초선 의원을 지낸 바 있다. 그러나 인접한 북구나 사하구에 비하면 민주당계 정당에 대한 지지세가 약한 편이라 민주당계 정당이 한끗 차이로 패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기준으로 민주당계 출신 국회의원은 훗날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이 되는 문재인이 유일하다.[1]또 이 지역구는 윤핵관 장제원 전 의원의 영향력이 강한 곳으로, 이 지역구에서 3번 출마하여 3번 모두 당선되었다. 현 국회의원인 김대식 의원 또한 장제원 일가의 사학재단 산하인 동서대학교 교수 출신으로 장제원의 측근으로 분류된다.
동별로 살펴보면 학장동과 엄궁동이 상대적으로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편이고 감전동과 모라3동은 노년층 인구가 많아 상당히 보수 성향이 강한 편인데, 문재인 전 대통령조차도 감전동에선 이겨보지 못했을 정도였다.
다만 낙동강 벨트답게 부산광역시에선 보수세가 약한 곳이다. 실제로 2012년 대선부터 2022년 대선까지 3연속으로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40% 이상 득표했었다.[2] 총선에서도 한 자릿수 격차가 나는 경우가 많아 어느 정당이든 인물론으로 승부를 걸어볼만한 지역구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제16대 | 권철현 |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제17대 |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장제원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문재인 |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제20대 | 장제원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제21대 |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
제22대 | 김대식 | | 2024년 5월 30일 ~ (예정) |
3.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사상구 사상구 일원[사상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권철현(權哲賢) | 68,751 | 1위 |
| 65.21% | 당선 | |
2 | 이은수(李恩洙) | 14,512 | 3위 |
[[새천년민주당|]] | 13.76% | 낙선 | |
3 | 이상덕(李相德) | 3,343 | 4위 |
[[자유민주연합|]] | 3.17% | 낙선 | |
4 | 신상우(辛相佑) | 18,823 | 2위 |
[[민주국민당(2000년)|]] | 17.8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05,828 | 투표율 51.86% |
투표 수 | 106,737 | ||
무효표 수 | 1,308 |
||<-6><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a8><bgcolor=#0000a8> 16대 총선 부산 사상구 개표 결과 ||
사상구의 인구가 인구 상한선에 미달되면서 이 선거부터 합구되어 단일 선거구로 선거를 치르게 되었다. 그리하여 사상구 갑의 현역 국회의원이었던 권철현 의원과 사상구 을의 현역 국회의원이었던 신상우 의원 두 사람 중 한 명은 선거에 나올 수 없게 되었다. <colbgcolor=#eee,#353535> 정당 | 한나라당 | 새천년민주당 | 민주국민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권철현 | 이은수 | 신상우 | ||
득표수 (득표율) | 68,751 (65.21%) | 14,512 (13.76%) | 18,823 (17.85%) | +49,928 (△47.36) | 106,737 (51.86%) |
삼락동 | 62.25% | 16.31% | 18.32% | △43.93 | 46.45 |
모라1동 | 70.73% | 11.50% | 13.08% | △57.65 | 52.62 |
모라2동 | 69.13% | 10.62% | 17.35% | △51.78 | 49.80 |
모라3동 | 64.22% | 14.90% | 17.00% | △47.22 | 49.89 |
덕포1동 | 61.45% | 17.64% | 17.50% | △43.95 | 47.11 |
덕포2동 | 66.70% | 13.25% | 16.65% | △50.05 | 49.95 |
괘법동 | 65.23% | 15.58% | 16.40% | △38.83 | 48.56 |
감전1동 | 58.94% | 15.49% | 22.60% | △32.34 | 49.92 |
감전2동 | 61.94% | 12.79% | 22.35% | △39.59 | 52.25 |
주례1동 | 66.51% | 15.50% | 15.30% | △51.21 | 51.22 |
주례2동 | 66.68% | 11.49% | 19.66% | △47.02 | 53.94 |
주례3동 | 68.13% | 11.86% | 17.74% | △50.39 | 52.84 |
학장동 | 65.18% | 13.55% | 18.22% | △36.96 | 53.57 |
엄궁동 | 66.42% | 12.96% | 17.85% | △48.57 | 49.18 |
후보 | 권철현 | 이은수 | 신상우 | 격차 | |
부재자투표 | 53.43% | 19.02% | 19.93% | △33.50 |
한나라당 총재였던 이회창은 신상우 의원이 과거 민주계 대표 인사라는 이유로 컷오프하고 권철현 후보를 사상구 후보로 공천했다. 그러자 이에 분개한 신상우 의원은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이기택, 김윤환 등과 함께 민주국민당을 창당하여 민주국민당 후보로 출마했다.
그 밖에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에선 의사 출신의 이은수 후보를 공천했고, 자민련에서도 이상덕 후보를 공천했지만 존재감은 희미했다. 당시만 해도 부산은 민주당계 정당의 사지였다.
그리하여 사상구 갑 국회의원 vs 사상구 을 국회의원 구도가 되었다. 신상우 후보가 만만찮은 인물이기에 권철현 후보가 좀 힘들지 않겠느냐는 예상도 있었다. 그래서 상당히 박빙 구도로 흘러갈 것으로 보였으나 예상과 다르게 보수층 유권자들이 한나라당 권철현 후보에게 대거 결집하면서 박빙은커녕 권철현 후보가 65.21% 득표율로 2위 신상우 후보, 3위 이은수 후보의 득표율을 합친 것보다도 2배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가볍게 재선에 성공하였다.
권철현 후보의 재선에 제동을 걸 유력한 인물로 꼽혔던 신상우 후보는 겨우 17.85% 득표에 그쳐 선거 비용 전액 보전만 겨우 성공했고 브레이크는커녕 액셀러레이터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동별로 살펴보면 권철현 후보는 감전 1동 1곳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60% 이상의 득표율을 올리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그나마 감전 1동도 58.94%로 역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본인의 자택이 있었던[4] 모라동에선 70% 내외의 득표율을 올리며 압도적인 힘을 과시했다.
반면, 신상우 후보는 감전동에서만 겨우 20% 이상의 득표를 했을 뿐 나머지 지역에서는 20% 득표율도 올리지 못하며 무너졌다. 그리고 이은수 후보는 지역감정의 벽을 넘어서지 못하고 한계를 절감해야 했다. 이 당시만 하더라도 새천년민주당은 부산 시민들에게 '호남당'으로 인식되었던 당이었다. 그나마 덕포 1동에서 7표 차, 주례 1동에서 13표 차로 신상우 후보를 제치고 2위를 기록한 걸 빼면 모든 동에서 3위에 그쳤다.
3.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사상구 사상구 일원[사상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권철현(權哲賢) | 67,960 | 1위 |
| 52.74% | 당선 | |
2 | 한승종(韓承宗) | 1,686 | 4위 |
[[새천년민주당|]] | 1.30% | 낙선 | |
3 | 정윤재(鄭允在) | 56,158 | 2위 |
[[열린우리당|]] | 43.58% | 낙선 | |
4 | 김상길(金相吉) | 1,254 | 5위 |
| 0.97% | 낙선 | |
5 | 이상덕(李相德) | 1,787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11,749 | 투표율 61.41% |
투표 수 | 130,088 | ||
무효표 수 | 1,243 |
||<-5><tablealign=center><bgcolor=#0095da><tablebordercolor=#0095da> 17대 총선 부산 사상구 개표 결과 ||
지역구를 수성해야 할 한나라당에선 현역 의원 권철현 후보가 3선에 도전했다. 그리고 열린우리당에선 8년 전에 사상구 을에 출마했다가 낙선했던 정윤재 후보가 재도전에 나섰다. <colbgcolor=#eee,#353535> 정당 | 한나라당 | 열린우리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권철현 | 정윤재 | ||
득표수 (득표율) | 67,960 (52.74%) | 56,158 (43.58%) | +11,802 (△9.16) | 130,088 (61.41%) |
삼락동 | 50.06% | 46.01% | △4.05 | 54.79 |
모라1동 | 58.21% | 37.98% | △20.23 | 58.64 |
모라2동 | 53.41% | 43.26% | △10.15 | 64.02 |
모라3동 | 52.03% | 44.06% | △7.97 | 57.48 |
덕포1동 | 50.44% | 44.62% | △5.82 | 57.33 |
덕포2동 | 51.35% | 45.25% | △6.10 | 55.77 |
괘법동 | 51.84% | 44.98% | △6.86 | 58.52 |
감전1동 | 52.78% | 43.74% | △9.04 | 54.51 |
감전2동 | 55.20% | 41.75% | △13.45 | 57.02 |
주례1동 | 54.37% | 42.51% | △11.86 | 60.85 |
주례2동 | 55.48% | 41.79% | △13.69 | 63.83 |
주례3동 | 56.20% | 41.05% | △15.15 | 63.76 |
학장동 | 52.37% | 44.62% | △7.65 | 63.41 |
엄궁동 | 50.62% | 46.06% | △4.56 | 59.57 |
후보 | 권철현 | 정윤재 | 격차 | |
부재자투표 | 45.31% | 41.58% | △3.73 |
그 밖에 새천년민주당에선 한승종 후보가 출마했고 지난 선거 때 자민련 후보로 출마한 이상덕 후보가 이번엔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또 녹색사민당에서도 김상길 후보가 출마 했다.
선거 직전에 터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사태 역풍으로 열린우리당이 반사이익을 얻었기에 이곳 역시 넘어가는 게 아닌가 하는 예측이 있었다. 그러나 아직 부산은 보수 정당의 텃밭이었고 재선을 한 권철현 후보의 관록을 정윤재 후보가 넘어서진 못했다. 결국 개표 결과 52.74% : 43.58%로 권철현 후보가 득표율 9.16%p, 득표 수 11,802표 차로 꺾고 3선에 성공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당선자 권철현 후보는 모든 동 및 부재자투표까지 퍼펙트하게 승리했다. 삼락동에선 171표 차, 모라 1동에선 702표 차, 모라 2동에선 1,271표 차, 모라 3동에선 655표 차로 승리했고 덕포 1동에선 372표 차, 덕포 2동에선 465표 차로 승리했다.
또 괘법동에서도 736표 차로 승리했으며 감전 1동에서 364표 차, 감전 2동에서 552표 차로 이겼다. 주례 1동 역시 1,062표 차, 주례 2동에서도 1,701표 차, 주례 3동에서 1,324표 차로 이겼다. 그리고 학장동에서 1,406표 차, 엄궁동에서도 614표 차로 이겼으며 부재자투표도 권철현 후보가 175표 차로 이겼다.
다만 정윤재 후보도 무려 43.58%나 득표하며 현재까지 사상구에 출마한 민주당계 정당 후보들 중 최고 득표율을 올렸을 정도로 선전했기에 다음 총선 때 도전하면 또 좋은 결과를 이룰 수 있을 가능성도 없진 않았다.
그러나 이 선거 이후 공직 생활(국무총리 민정2비서관, 청와대 의전비서관)과 대학 교수를 지내는 등 사실상 정계 은퇴했다.[6]
3.3.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사상구 사상구 일원[사상2]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장제원(張濟元) | 35,039 | 1위 |
| 45.48% | 당선 | |
4 | 조차리(曺차리)[8] | 12,096 | 3위 |
[[민주노동당|]] | 15.70% | 낙선 | |
6 | 강주만(姜柱萬) | 28,485 | 2위 |
[[미래희망연대|]] | 36.97% | 낙선 | |
7 | 김명온(金明溫) | 1,410 | 4위 |
[[평화통일가정당|]] | 1.8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07,579 | 투표율 37.76% |
투표 수 | 78,379 | ||
무효표 수 | 1,349 |
||<-6><tablealign=center><bgcolor=#0095da><tablebordercolor=#0095da> 18대 총선 부산 사상구 개표 결과 ||
보수정당인 한나라당은 이 곳에서 3선을 지낸 현역 의원 권철현을 컷오프하고 사상구에서(당시에는 북구 일원) 11~12대 국회의원을 지낸 장성만 전 국회부의장의 차남이자, 제17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명박 캠프 외곽조직이었던 선진국민연대의 교육문화위원장 장제원을 공천했다. 이때 컷오프된 권철현 의원은 이후 주일대사로 부임하게 된다. <colbgcolor=#eee,#353535> 정당 | 한나라당 | 민주노동당 | 친박연대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장제원 | 조차리 | 강주만 | ||
득표수 (득표율) | 35,039 (45.48%) | 12,096 (15.70%) | 28,485 (36.97%) | +6,554 (△8.51) | 78,379 (37.76%) |
삼락동 | 44.11% | 15.41% | 37.80% | △6.31 | 30.89 |
모라1동 | 46.10% | 15.70% | 36.47% | △9.63 | 35.02 |
모라3동 | 43.34% | 17.34% | 36.69% | △6.65 | 39.96 |
덕포1동 | 45.63% | 16.24% | 35.73% | △9.90 | 34.14 |
덕포2동 | 45.15% | 16.01% | 36.92% | △8.23 | 35.22 |
괘법동 | 42.74% | 14.76% | 40.20% | △2.54 | 34.29 |
감전동 | 48.35% | 12.36% | 37.48% | △10.87 | 33.72 |
주례1동 | 43.37% | 14.85% | 40.24% | △3.13 | 35.63 |
주례2동 | 46.00% | 15.06% | 37.50% | △8.50 | 40.52 |
주례3동 | 46.02% | 14.46% | 38.18% | △7.84 | 40.52 |
학장동 | 45.37% | 15.40% | 37.72% | △7.65 | 38.73 |
엄궁동 | 45.0% | 16.79% | 36.68% | △8.32 | 35.02 |
후보 | 장제원 | 조차리 | 강주만 | 격차 | |
부재자투표 | 51.27% | 21.21% | 25.03% | △26.24 |
한편 민주당계 정당인 통합민주당 역시 지난 선거 때 권철현 후보를 상대로 43.58%나 득표하며 선전했던 정윤재 후보가 불출마를 하면서 인물을 대체해야 했는데, 마땅한 인물 하나도 구하지 못했는지 그대로 공천을 포기했다.
그밖에 민주노동당에서는 조차리 후보가 출마했고, 친박연대에서도 강주만 후보를 공천해 내보냈다. 당시 선거 판세가 워낙 기울어진데다 제1야당인 통합민주당은 아예 공천을 포기해버렸기에 지난 선거 때 정윤재 후보를 지지해주었던 유권자들 상당수가 걍 투표도 포기해버리는 일이 발생했다. 덕분에 투표율이 40%도 채 되지 않았고, 전국 평균 투표율보다 10% 가까이 더 낮았다.[9]
선거 판세는 친이 장제원 vs 친박 강주만 양강 구도로 흘러갔다. 최종 결과는 45.48% : 36.97%로 장제원 후보가 득표율 8.51%p, 득표 수 6,554표 차이로 강주만 후보를 꺾고 당선되면서 처음으로 국회에 발을 들여놓았다.
하지만 민주노동당 조차리 후보도 민주당계 정당과 진보정당에게는 험지인 부산에서 15.7%나 득표하며 선거 비용 전액 보전에 성공해 첫 선거 치고는 꽤나 선전했다.
애초에 부산은 울산광역시나 창원시와 달리 민주노동당 지지세가 강한 편도 아닌 동네기에 조차리 후보가 지난 총선 때 정윤재 후보를 대체할 수도 없었다. 물론 그 점을 감안하면 꽤 호성적이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당선자 장제원은 모든 동 및 부재자투표까지 모두 승리했다. 다만 삼락동, 괘법동, 주례 1동에선 각각 141표 차, 155표 차, 161표 차 접전이 펼쳐졌다. 그 밖의 동들은 비교적 여유롭게 장제원 후보가 승리했다.
3.4.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사상구 사상구 일원[사상2]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손수조(孫受祚) | 51,936 | 2위 |
[[새누리당|]] | 43.75% | 낙선 | |
2 | 문재인(文在寅) | 65,336 | 1위 |
[[민주통합당|]] | 55.04% | 당선 | |
6 | 나경수(羅敬洙) | 749 | 3위 |
[[국민생각|]] | 0.63% | 낙선 | |
7 | 손현경(孫鉉暻) | 668 | 4위 |
| 0.5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08,214 | 투표율 57.42% |
투표 수 | 119,555 | ||
무효표 수 | 866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d400><bgcolor=#ffd400> 19대 총선 부산 사상구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손수조 | 문재인 | ||
득표수 (득표율) | 51,936 (43.75%) | 65,336 (55.04%) | -13,400 (▼11.29) | 119,555 (57.42%) |
삼락동 | 47.13% | 51.84% | ▼4.71 | 50.72 |
모라1동 | 44.10% | 54.98% | ▼10.88 | 56.49 |
모라3동 | 47.20% | 51.38% | ▼4.18 | 56.78 |
덕포1동 | 46.14% | 52.85% | ▼6.71 | 54.12 |
덕포2동 | 41.79% | 57.32% | ▼15.53 | 57.17 |
괘법동 | 44.39% | 54.65% | ▼10.26 | 54.75 |
감전동 | 50.69% | 48.27% | △2.42 | 52.62 |
주례1동[A] | 45.19% | 53.89% | ▼8.70 | 56.29 |
주례2동 | 43.41% | 55.53% | ▼12.12 | 57.22 |
주례3동 | 43.91% | 55.04% | ▼11.13 | 59.51 |
학장동 | 43.09% | 55.81% | ▼12.72 | 59.56 |
엄궁동[12] | 39.89% | 59.16% | ▼19.27 | 58.11 |
후보 | 손수조 | 문재인 | 격차 | |
국외부재자투표 | 27.34% | 71.22% | ▼43.88 | |
국내부재자투표 | 36.08% | 57.73% | ▼21.65 |
사상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손수조 | 문재인 | 격차 |
전체 | 40.7% | 58.4% | 17.7%p |
한편 이 당시 상대 당인 새누리당은 친박이 실권을 쥐고 있었는데, 본래 사상구에서 오랫동안 기반을 다져온 권철현과 현역 의원 장제원은 모두 친이였기에 공천 컷오프의 희생양이 되어 이 선거에서 출마하지 못했고, 박근혜 키즈 중 하나로 유명한 손수조가 공천을 받았다.[13]
그러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원한 친구로 이미 전국적으로 유명인사가 된데다 정계에 입문한 그 순간부터 '대권잠룡'으로 거론된 문재인의 대항마로 붙이기엔 손수조라는 인물은 사상구민들에게도 매우 생소하고 뜬금없는 인물이었고 나이도 겨우 27세에 불과한 말 그대로 완전 '정치 신인'이었다.
그 때문에 일각에서는 일부러 문재인의 승리를 주목받지 못하게 하려고 이렇게 피라미급 주자를 내보낸 게 아니냐는 음모론 아닌 음모론까지 나왔다.[14]
무엇보다 애초에 두 후보 간 정치적 체급 차이가 커도 너무 컸기에 이미 선거 전부터 승패 여부는 당연히 안 봐도 뻔했고, 개표 결과 예상대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55.04% : 43.75%로 득표율 11.29%p, 득표 수 13,400표 차로 손수조 후보를 무난하게 누르고 당선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때 신설된 이래로 사상구에서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당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아울러 부산광역시 전체를 통틀어서도 3당 합당 이후 사하구 을의 조경태에 이어 두 번째였다.
문재인 전 의원은 이 선거 승리를 통해 본격적으로 대권 도전을 노리게 되었다. 이후 당해 겨울 18대 대선에서는 박근혜에게 패배했으나, 5년 후 19대 대선에서 마침내 대한민국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동별로 살펴보면, 문재인 후보는 감전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삼락동에서 164표 차, 모라1동에서 1,659표 차, 모라3동에서 296표 차, 덕포1동에서 360표 차, 덕포2동에서 1,146표 차, 괘법동에서 1,009표 차, 주례1동에서 694표 차, 주례2동에서 1,495표 차, 주례3동에서 864표 차로 크게 이겼다.
그리고 거기에 더해 학장동에서 2,067표 차로 또 문 후보 본인의 자택이 있는 엄궁동[15]에서 무려 2,888표 차로 크게 누르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그 밖에 부재자투표 역시도 문재인 후보가 도합 924표 차로 승리했다.
반면 손수조 후보는 오로지 본인의 출생지 감전동에서만 166표 차로 이겼고, 나머지 지역들에선 모두 패배했다. 그러나 만 27세의 정치 신인으로서 야당의 유력 대권 잠룡 문재인을 상대로 무려 43.75%를 얻었기에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순수하게 손수조 후보 본인의 능력이라기보다는 이 지역에 깊게 뿌리 박혀 있었던 콘크리트 보수층빨이었다고 보는 게 더 합리적이다.[16]
아무리 사상구가 낙동강 벨트에 속하는 곳이라고는 하지만 이 곳도 엄연히 영남 지역인 만큼 40% 이상의 콘크리트 보수층이 존재하는 곳이다. 거기에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문재인 견제를 위해 은근히 푸쉬도 많이 해 줬던 것도 있다.[17] 물론 이것이 사실로 드러나기까지는 4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3.5.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사상구 사상구 일원[사상2]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손수조(孫受祚) | 30,463 | 3위 |
[[새누리당|]] | 26.61% | 낙선 | |
2 | 배재정(裵在禎) | 41,055 | 2위 |
| 35.87% | 낙선 | |
5 | 장제원(張済元) | 42,924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7.50%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00,808 | 투표율 57.72% |
투표 수 | 115,903 | ||
무효표 수 | 1,461 |
||<-6><tablealign=center><bgcolor=#808080><tablebordercolor=#808080> 20대 총선 부산 사상구 개표 결과 ||
정당 |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무소속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손수조 | 배재정 | 장제원 | ||
득표수 (득표율) | 30,463 (26.61%) | 41,055 (35.87%) | 42,924 (37.50%) | -1,869 (▼1.63) | 115,903 (57.72%) |
삼락동 | 32.40% | 28.75% | 38.86% | ▼10.11 | 51.40 |
모라1동 | 26.45% | 35.07% | 38.48% | ▼3.41 | 56.09 |
모라3동 | 32.97% | 31.70% | 35.33% | ▼3.63 | 56.92 |
덕포1동 | 28.27% | 33.67% | 38.05% | ▼4.38 | 56.57 |
덕포2동 | 26.79% | 36.72% | 36.49% | △0.23 | 56.33 |
괘법동 | 27.56% | 35.26% | 37.17% | ▼1.91 | 50.66 |
감전동 | 28.16% | 31.91% | 39.93% | ▼8.02 | 51.35 |
주례1동[A] | 26.35% | 35.60% | 38.05% | ▼2.45 | 57.01 |
주례2동 | 24.89% | 37.93% | 37.18% | △0.75 | 56.73 |
주례3동 | 22.59% | 33.42% | 43.99% | ▼10.57 | 60.41 |
학장동 | 26.05% | 36.31% | 37.64% | ▼1.33 | 58.77 |
엄궁동 | 25.16% | 36.94% | 37.90% | ▼0.96 | 58.34 |
후보 | 손수조 | 배재정 | 장제원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1.94% | 30.38% | 27.69% | ▼14.25 | |
관외사전투표 | 25.19% | 46.90% | 27.91% | △18.99 | |
국외부재자투표 | 12.92% | 74.72% | 12.36% | △62.36 |
사상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손수조 | 배재정 | 장제원 | 격차[20] |
전체 | 27.2% | 36.8% | 36.0% | 0.8%p경합 |
시종일관 배재정 후보와 장제원 후보의 일기토가 이어져 개표율 75% 시점까지도 당선 유력/확실 선언 없이 득표율 2%p 내외의 치열한 경합을 벌였다. 결국 최종 개표 결과 장제원이 접전 끝에 37.5% : 35.87%로 1.63%p 차로 신승하며 재선에 성공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당선자 장제원 후보는 덕포 2동과 주례 2동을 제외한 나머지 동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삼락동에선 313표 차, 모라 1동에선 465표 차, 모라 3동에선 239표 차로 이겼고, 덕포 1동에서 261표 차, 괘법동에서 172표 차, 감전동에서 524표 차로 이겼으며, 주례 1동에서 223표 차, 주례 3동에서 778표 차, 학장동에서 203표 차, 엄궁동에서 139표 차로 2위 배재정 후보를 이겼다. 다만 거소 및 선상투표와 국외부재자투표에선 3위를 기록했다.
한편 2위 배재정 후보는 덕포 2동에서 15표 차, 주례 2동에서 86표 차로 장제원 후보를 이겼고 관외사전투표에서 1,187표 차로 크게 이겼다. 그 밖에 국외부재자투표에서도 장제원 후보를 111표 차로 이기며 턱밑까지 추격했지만, 끝내 1,869표 차라는 근소한 차이로 석패하고 말았다.
선거 외적으론 배재정 후보의 인지도가 3인방 중 가장 낮았다는 점, 그리고 선거 내적으론 삼락동과 모라 3동에서 3위에 그친 것과 주례 3동에서 의외로 표 차가 많이 벌어진 게 패인이었다. 그래도 인지도 면에서 본인보다 앞섰던 손수조 후보를 9.26%라는 다소 큰 격차로 따돌리고 2위를 했기에 다음 선거를 기약해볼 수 있게 되었다.
반면 3위 손수조 후보는 겨우 26.61% 득표로 3위에 그치면서 사실상 정치적으로 사망선고를 받았다. 비록 무소속 후보인 장제원이 당선되긴 했지만, 손수조 본인은 더불어민주당 배재정 후보에게도 패배해 3위로 낙선했기에 사하구 을의 최거훈에 이어 두 번째로 3당 합당 이후 부산에서 민주당계 정당 후보에게 2번 연속 패배한 후보라는 불명예를 얻게 되었다.
그리하여 최거훈과 마찬가지로 손수조 후보 역시 이후론 지역 정계에 발도 못 붙이는 신세로 전락하고 말았다. 또한 동년 가을, 자신의 후원자였던 박근혜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몰락하면서 숨줄만 겨우 붙어 있었던 정치 생명마저 완벽하게 끝장나버렸다.
결국 손수조 후보는 해당 선거를 마지막으로 정계를 떠나 2024년 현재 장례지도사가 되었다고 한다.[21] 손수조 후보는 오로지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만 배재정 후보를 43표 차, 장제원 후보를 53표 차로 누르고 1위를 했을 뿐이었다.
그 외에는 1위를 한 곳이 단 한 곳도 없었고, 삼락동과 모라 3동 단 두 곳에서만 배재정 후보를 각각 113표, 84표라는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2위를 했을 뿐이었다. 그밖에 국외부재자투표에서도 장제원 후보를 단 1표 차로 꺾고 2위를 했다.
3.6.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사상구 사상구 일원[사상2]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배재정(裵在禎) | 59,346 | 2위 |
| 46.54% | 낙선 | |
2 | 장제원(張済元) | 66,353 | 1위 |
[[미래통합당|]] | 52.03% | 당선 | |
7 | 이주천(李住天) | 809 | 4위 |
[[우리공화당(2020년)|]] | 0.63% | 낙선 | |
8 | 김준호(金峻琥) | 1,006 | 3위 |
[[국가혁명배당금당|]] | 0.7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1,651 | 투표율 67.36% |
투표 수 | 129,101 | ||
무효표 수 | 1,587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f426f><bgcolor=#ef426f> 21대 총선 부산 사상구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배재정 | 장제원 | ||
득표수 (득표율) | 59,346 (46.54%) | 66,353 (52.03%) | -7,007 (▼5.49) | 129,101 (67.36%) |
삼락동 | 44.75% | 53.75% | ▼9.00 | 59.86 |
모라1동 | 45.13% | 53.48% | ▼8.35 | 66.28 |
모라3동 | 41.58% | 56.51% | ▼14.93 | 65.95 |
덕포1동 | 43.07% | 55.39% | ▼12.32 | 67.67 |
덕포2동 | 45.71% | 53.10% | ▼7.39 | 65.41 |
괘법동 | 47.78% | 50.73% | ▼2.95 | 60.16 |
감전동 | 42.47% | 56.01% | ▼13.54 | 62.00 |
주례1동 | 45.70% | 52.66% | ▼6.96 | 66.59 |
주례2동 | 46.55% | 52.26% | ▼5.71 | 64.20 |
주례3동 | 43.19% | 55.61% | ▼12.42 | 69.67 |
학장동 | 47.28% | 51.29% | ▼4.01 | 67.27 |
엄궁동 | 47.05% | 51.86% | ▼4.81 | 68.35 |
후보 | 배재정 | 장제원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6.82% | 46.12% | △0.70 | |
관외사전투표 | 58.47% | 39.88% | △18.59 | |
국외부재자투표 | 73.72% | 26.28% | △47.44 |
사상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배재정 | 장제원 | 격차 |
전체 | 43.7% | 54.6% | 10.9%p |
제1야당이자 지역구 현역 의원인 장제원 전 수석대변인이 버티고 있는 미래통합당에서는 워낙 장 의원의 지역 입지가 탄탄한 탓에 당시 다른 도전자가 별로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장제원 의원은 예비후보로 등록하면서, 3선 도전을 위해 출마했고, 그 밖에 우리공화당에선 뉴라이트 계열 학자인 원광대학교 교수 이주천을 공천했고, 국가혁명배당금당에서도 김준호 후보를 공천했다.
20대 총선 당시 무소속 출마를 강행한 장제원 의원과 새누리당의 공천을 받은 손수조 후보로 보수 표심이 분산되었음에도 불구, 장제원이 1.6%p 차이로 승리할 만큼 원래 지역 입지이 매우 강한 편이었지만, 2017년 19대 대선과 2018년 7회 지방선거에서는 모두 더불어민주당 문재인과 김대근이 대통령과 사상구청장으로 승리 한 바 있다.
하지만 2019년 이후 PK 지역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민심이 다시 어느 정도 돌아선 편이라 이번 총선에서는 다시 한번 접전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출구조사 결과 43.7% : 54.6%로 미래통합당 장제원 후보가 10.9%p 차이로 크게 승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표 결과 출구조사보다는 표 차가 줄어들어 52.03% : 46.54%로 득표율 5.49%p, 득표 수 7,007표 차이로 장제원 후보가 승리하며 3선에 성공했다.
결과적으로 보면 두 후보 간 격차가 벌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지난 총선 때는 보수 표심이 장제원과 손수조로 갈라졌는데, 그 때 두 사람의 득표율 합은 64.11%였다. 그러나 이번 총선에서 득표한 장제원 후보의 득표율은 그보다 12% 정도 낮았고 반대로 배재정 후보는 11% 정도 득표율이 더 올라갔다.
결국 이것은 지난 총선 때 손수조 후보를 지지했던 표심이 완전히 장제원 후보측으로 규합되지 않았다는 걸 말해준다. 아마도 장제원 의원 본인과 가족과 관련된 여러 논란으로 인해 적잖게 표심 이탈이 있었던 듯하다.
그러나 장제원 의원의 지역 기반이 탄탄했고, 거기에 민주당도 부산광역시에서 큰 악재가 있었기에 고전을 했을지언정 이기기는 했다고 볼 수 있다.
사실 사전투표만 계산하면[23] 배재정 후보가 25,354표 : 23,778표로 장제원 후보보다 1,576표 더 앞섰다. 그러나 본 투표일 투표 결과는 33,992표 : 42,575표로 장제원 후보가 배재정 후보를 무려 8,583표 차로 앞섰다. 즉, 본 투표일에 콘크리트 보수층 유권자들이 총 결집해서 장제원을 당선시킨 셈이다.
아마도 선거 직전 유시민의 범진보 180석 발언과 미래통합당의 막판 읍소 전략이 콘크리트 보수층 유권자들을 자극한 것도 한몫했을 것으로 보인다. 아무리 사상구가 낙동강 벨트에 속한 곳이라 해도 다른 부산권과 같이 40%[24] 내외의 콘크리트 보수층은 건재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어느 정도 납득이 되는 결과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당선인 장제원 후보는 사상구 내 모든 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삼락동에선 282표 차, 모라 1동에선 1,323표 차, 모라 3동에선 1,015표 차, 덕포 1동에선 729표 차로 승리했으며 지난 총선에서 적은 표 차로 패배했던 덕포 2동에서도 517표 차로 승리했다.
그 밖에 괘법동에선 322표 차, 감전동에선 1,016표 차, 주례 1동에선 602표 차, 주례 2동에선 682표 차, 주례 3동에선 983표 차, 학장동에선 647표 차, 엄궁동에선 750표 차로 승리했다. 반면에 배재정 후보는 동별 투표에서 이긴 곳은 없었고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3표 차, 관외사전투표에서 1,793표 차, 국외부재자투표에서 65표 차로 이겼을 뿐이었다.
3.7.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상구 사상구 일원[사상2]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배재정(裵在禎) | 56,659 | 2위 |
| 47.36% | 낙선[26] | |
2 | 김대식(金大植) | 62,975 | 1위 |
| 52.63%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81,823 | 투표율 66.70% |
투표 수 | 121,292 | ||
무효표 수 | 1,658 |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bgcolor=#e61e2b><tablebgcolor=#fff,#191919> 22대 총선 부산 사상구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배재정 | 김대식 | ||
득표수 (득표율) | 56,659 (47.36%) | 62,975 (52.63%) | -6,316 (▼5.27) | 121,292 (66.70%) |
삼락동 | 44.45% | 55.54% | ▼11.09 | 66.52 |
모라1동 | 44.58% | 55.41% | ▼10.83 | 65.90 |
모라3동 | 42.56% | 57.43% | ▼14.87 | 67.21 |
덕포1동 | 47.03% | 52.96% | ▼5.93 | 67.00 |
덕포2동 | 46.97% | 53.02% | ▼6.05 | 65.22 |
괘법동 | 48.10% | 51.90% | ▼2.20 | 57.34 |
감전동 | 42.22% | 57.77% | ▼15.55 | 60.56 |
주례1동 | 47.74% | 52.25% | ▼4.51 | 67.07 |
주례2동 | 46.40% | 53.59% | ▼7.19 | 60.38 |
주례3동 | 45.00% | 54.99% | ▼9.99 | 67.75 |
학장동 | 46.96% | 53.03% | ▼6.07 | 66.74 |
엄궁동 | 48.90% | 51.09% | ▼2.19 | 68.76 |
후보 | 배재정 | 김대식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7.99% | 52.00% | ▼4.01 | |
관외사전투표 | 58.27% | 41.72% | △16.55 | |
국외부재자투표 | 75.73% | 24.26% | △51.47 |
사상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배재정 | 김대식 | 격차 |
전체 | 49.7% | 50.3% | 0.6%p경합 |
장제원 의원의 불출마 선언 이후로는 김민수 해양수산부장관 정책보좌관, 김대식 경남정보대 총장, 이성권 부산시 경제부시장[28], 송숙희 전 사상구청장이 거론되었다. 2024년 2월 19일, 장제원 의원과 친분이 있는 김대식 총장이 단수공천되었다. 후보적합도 조사에선 송숙희 전 구청장에게 오차범위 밖으로 밀렸던지라# 송숙희 전 구청장이 반발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배재정 전 국무총리비서실장, 신상해 전 부산시의회 의장과 서태경 전 청와대 행정관, 김부민 전 부산시의원이 이 지역에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이후 배재정, 김부민, 서태경 3자 구도로 경선을 치르게 되면서 경선 결과 배재정 후보가 승리해 이 지역에 어느덧 3번째 도전을 하게 되었다.
선거 기간 내내 여조에서는 대부분 접전지로 분류되었고, 선거 당일 출구조사 결과 국민의힘 김대식 후보 50.3%, 민주당 배재정 후보 49.7%로 무려 0.6%p 격차의 초접전 지역구로 분류되었다.
실제 최종 개표 결과 김대식 후보가 52.6%로 승리하면서 이번에도 국민의힘이[29]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3번째 낙선을 당한 배재정 후보는 이번에 47% 득표를 하면서 자신이 얻었던 최다 득표율을 다시 한번 경신하는데 만족해야했다.
[1] 정확히 말하면 민주당의 정당 지지도나 대선, 지선에서는 득표율이 북구보다 좀 앞서고 사하구와 엎치락뒤치락 하는데, 총선에서는 장제원 집안의 영향력이 워낙 강하다보니 밀리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더 그런 인상을 준다.[2] 2012년 18대 대선과 2017년 19대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각각 43.89%, 41.38%를 득표했고, 2022년 20대 대선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40.09%를 득표해 3연속으로 40% 이상 득표율을 기록했다.[사상1] 삼락동, 모라1동, 모라2동, 모라3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1동, 감전2동,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4] 모라 2동 우성아파트 108동에 있었다.[사상1] 삼락동, 모라1동, 모라2동, 모라3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1동, 감전2동,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6] 일각에서는 2009년 당시 문화일보 등에서 보도한 이른바 '노무현 게이트'와 관련된 논란 때문에 더 이상 정치에 관심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사상2] 삼락동, 모라1동, 모라3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8] 순우리말 이름이다.[9] 물론 비단 사상구 뿐만 아니라 이 해 총선은 날씨 문제도 있고 해서 전국적으로 투표율이 저조했다.[사상2] 삼락동, 모라1동, 모라3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A] 손수조 후보의 출생지 및 성장지[12] 문재인 후보의 자택 소재지[13] 하지만 장제원은 자신이 속한 산악회에서 현금과 선물을 뿌려대다가 선관위에 고발을 당하면서 자의반 타의반 출마를 포기한 쪽에 가깝다. 권철현은 이미 이 동네에서 내리 3선을 해서 식상하다는 이미지에 가까웠는데다 주일대사를 수행하면서 중앙정계와 거리가 너무 멀어진 상태였으며 설상가상으로 친이여서 공천이 어려웠고 또한 나이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관선 및 민선 교육감을 내리 10년을 지낸 설동근의 공천이 유력했으나 뜬금없이 주례여고 학생회장을 빼면 지역 내 커리어도 없던 손수조라는 난생 처음 보는 인물이 갑툭튀해서 공천을 받아버린 것.[14] 문재인에게 "고작 손수조 같은 정치 신인을 꺾어온 게 대권주자냐?"라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새누리당의 전략이기도 하였다.[15] 롯데캐슬 리버에 전세집이 하나 있었다. 실제 본인의 자택은 양산시 웅상에 있었다.[16] 오히려 이런 지역구에서 과반이 넘는 55% 득표율로 압승한 문재인 당시 당선자의 영향력이 그만큼 대단했음을 입증하는 꼴이다.[17] 부산 같은 보수정당 우세 지역에 박근혜가 이례적으로 친히 지원 유세를 하러 왔을 정도였다.[사상2] 삼락동, 모라1동, 모라3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A] 손수조 후보의 출생지 및 성장지[20] 출구조사 결과 1위(배재정), 2위(장제원)간의 격차이다.[21] 이후 거처를 경기도 동두천시로 옮겨 그 곳에서 다시 재기를 도모하려고 햇지만, 지역구나 비례 어디에도 들지 못했다.[사상2] 삼락동, 모라1동, 모라3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23] 거소 및 선상투표 + 관외사전투표 + 국외부재자투표 + 관내사전투표.[24] 부산광역시의 비례대표 선거 결과 미래한국당이 42% 정도를 얻었다.[사상2] 삼락동, 모라1동, 모라3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26]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단일 후보[27] 장제원은 사상구에선 무소속으로도 당선된 적이 있을만큼 기반이 있는 반면, 서울에는 지역 기반도 없는데다 아들 문제나 본인의 처신 등으로 일반 대중들에게 인식이 좋지 않은 점도 있어 설사 험지가 아니라 하더라도 당선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28] 사하구 갑에 단수공천[29] 장제원 의원의 지지층을 대부분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