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7:15:19

북구 갑(부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북구(부산광역시)/정치
,
,
,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중·영도 서·동
조승환 곽규택 정성국 이헌승
동래 북 갑 북 을
서지영 박수영 전재수 박성훈
사하 갑 사하 을
주진우 김미애 이성권 조경태
금정 강서 연제 수영
백종헌 김도읍 김희정 정연욱
사상 기장
김대식 정동만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북구 갑 (부산)
구포동, 덕천동, 만덕2동, 만덕3동
北區 甲
Buk A
}}}
<nopad> 파일:국회선거구 북구 갑(부산).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21,889명 (2024)
상위 행정구역 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북구 일부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덕천1동, 덕천2동, 덕천3동, 만덕2동, 만덕3동
신설 년도 1988년, 2024년
이전 선거구 북구·강서구 갑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전재수

1. 개요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3. 폐지?
[clearfix]

1. 개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활한 선거구.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전재수 의원이다.

명지오션시티 입주에 따른 강서구 인구 증가로 강서구가 인구 하한선을 돌파함에 따라 강서구가 강서구 단독 선거구로 분리되고, 기존 북구·강서구 갑과 북구·강서구 을이 각각 북구 갑과 북구 을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북구·강서구 갑이 관할하던 지역 중 만덕1동을 제외한 전 지역을 승계하여 신설되었다.

과거 사상구가 분구하기 전 13~14대 총선 때도 '북구 갑'이라는 선거구가 있었는데, 당시의 갑 선거구 중 구포동, 덕천동, 만덕동(만덕1동 제외) 지역을 그대로 승계했다.

현재 북구의 인구 추계상 2028년 제2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바로 폐지되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남구처럼 합구되는 단명 선거구가 될 가능성이 높다.[1]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

<rowcolor=#fff> 총선 당선인 당적 임기
제13대 문정수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제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2년 5월 30일 ~ 1995년 6월 7일[2]
북구·강서구 갑 선거구 분구
제22대 전재수
파일:zsdkl3gasdg.svg
2024년 5월 30일 ~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구포1동, 구포2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1동, 덕천2동,
만덕동, 삼락동, 모라동, 덕포1동, 덕포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성만(張聖萬) 29,960 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5.16% 낙선
2 문정수(文正秀) 67,968 1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57.09% 당선
3 김용호(金溶鎬) 20,241 3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17.00% 낙선
4 이재수(李再壽) 86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72% 낙선
선거인 수 154,944 투표율
77.38%
투표 수 119,900
무효표 수 863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장성만13.jpg 파일:문정수13대.jpg 파일:김용호13.jpg 파일:이재수13.jpg }}}}}}}}}
두 현역 지역구 의원인 민정당 장성만 후보와 민주당 문정수 후보가 맞붙었다. 선거 초기에는 박빙 승부가 예상되었다. 부산이 민주당 강세지역이지만, 장성만 의원도 국회부의장까지 역임한 거물이고 동서학원 이사장으로 지역에 여러 학교를 운영하는등 영향력이 막강했다.

하지만 개표 결과, 민주당 문정수 후보가 소속 정당의 이점을 십분 활용해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되었다. 20년이 지난 이후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때 장성만 전 국회부의장의 아들인 한나라당 장제원 후보가 북구에서 분구된 사상구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된다. 그리고 현재 동서학원의 핵심인 동서대학교는 장제원의 형인 장제국씨가 총장으로 재임중이다.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구포1동, 구포2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1동,
덕천2동, 만덕1동, 만덕2동, 모라1동, 모라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문정수(文正秀) 56,333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8.75% 당선
2 안경률(安炅律) 21,586 3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8.68% 낙선
3 김갑주(金甲柱) 9,105 4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7.88% 낙선
4 장성만(張聖萬) 28,517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4.68% 낙선
선거인 수 170,771 투표율
68.31%
투표 수 116,649
무효표 수 1,108

2.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덕천1동,
덕천2동, 덕천3동, 만덕2동, 만덕3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전재수(田載秀) 43,548 1위

파일:zsdkl3gasdg.svg
52.31% 당선
2 서병수(徐秉洙) 38,850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6.67% 낙선
7 배기석(裵基石) 836 3위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1.00% 낙선
선거인 수 121,889 투표율
68.93%
투표 수 84,012
무효표 수 778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191919><bgcolor=#152484> 22대 총선 부산 북구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전재수 서병수
득표수
(득표율)
43,548
(52.31%)
38,850
(46.67%)
+4,698
(△5.64)
84,012
(68.93%)
구포1동 49.74% 49.17% △0.57 64.80
구포2동 51.92% 47.32% △4.60 66.38
구포3동 52.46% 46.62% △5.84 60.98
덕천1동 48.75% 50.08% ▼1.33 67.51
덕천2동 49.27% 49.66% ▼0.39 64.70
덕천3동 49.08% 49.83% ▼0.75 64.97
만덕2동 54.80% 44.43% △10.37 70.19
만덕3동 50.42% 48.38% △2.04 72.06
후보 전재수 서병수 격차
거소·선상투표 53.27% 45.33% △9.94
관외사전투표 61.49% 37.20% △24.29
재외투표 77.61% 21.64% △55.97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부산 북구 갑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전재수 서병수 격차
전체 54.2% 44.7% 9.5%p
강서구의 인구 증가로 인한 지역구 분리 여부가 관건이었는데, 선관위에서 내놓은 조정안은 강서구를 단일 선거구로 독립시키고 혼자가 된 북구를 갑과 을 둘로 쪼개기였다.

북구 갑은 기존 북구·강서구 갑에서 만덕1동을 뺀 나머지 지역들이고, 북구 을은 기존 북구 화명동, 금곡동에 만덕1동이 들어가는 것이다. 참고로 만덕1동은 화명동, 금곡동과는 금정산에 가로막힌 실질 월경지이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전재수 의원이 2월 21일 단수공천을 받아 3선 도전을 하게 됐다.

국민의힘에서는 당협위원장이었던 박민식 전 의원이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연속으로 패하였으며, 또한 2022년 6월 보궐선거 이후로 이 지역구에는 두번 다시는 출마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표하면서 새 인물을 구해야 했다.

이후 무려 5선 중진(해운대구·기장군 갑 4선+부산진구 갑 초선)에 해운대구청장, 부산광역시장을 지낸 국민의힘의 원로 서병수 의원을 자객 공천한다는 보도가 나온 이후 서 의원이 이를 받아들였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2024년 2월 18일, 국민의힘 서병수 의원이 전략공천되었다.

한편 2024년 2월 29일, 오랫동안 진통을 겪었던 선거구 획정안이 여야 합의로 국회를 통과하면서 '북구·강서구 갑/을'이 '북구 갑/을'과 '강서구'로 분구되면서 '북구 갑'이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민주당 전재수 의원의 지지세가 가장 강한 만덕1동이 북구 을로 이동하면서 승리를 자신하던 전 의원으로서는 고민의 여지가 생겼다.

이후 2024년 3월 2일, 민주당 정명희 전 북구청장이 을 선거구에 전략 공천되면서 전 의원은 그대로 갑 선거구에 출마하게 되었다.

개표 결과 전재수 의원이 큰 격차로 승리하면서 3선에 성공했으며, 다른 부산 지역구들은 물론 지난 국회까지만 해도 민주당 의원이 현역으로 딱 지키고 있던 사하구 갑과 남구에서도 민주당 후보들이 다 패배하는 바람에 22대 국회에서 부산의 유일한 민주당 의원이 되었다.

심지어 만덕1동이 북구 을로 넘어갔음에도 격차는 21대 총선보다 더 벌어졌다. 그렇게 서병수 의원은 22대 총선에서 부산광역시에 출마한 모든 국민의힘 후보들 중 유일하게 패배한 후보가 되었다.

이러한 승리의 요인에는 전재수 의원의 지역구 관리 평가가 매우 좋으며[3], 상대 서병수 의원의 부산광역시장 시절 시정 평판이 상당히 나빴던 게 큰 영향을 끼쳤다.[4][5]

한편 PK에서 민주당 현역 의원이 있는 지역구에 중진 의원을 자객 공천한 국민의힘의 전략이 이 곳에서는 전혀 먹히지 않았다.[6][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폐지?

선술했듯이 북구 자체가 인구가 감소하고 있기에 단명 선거구가 될 가능성이 높은데, 실제로 북구의 인구 변화를 감안하면 다음 총선부터 단일 선거구가 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1] 실제로 부산시인 경우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명지신도시가 있는 강서구, 일광신도시정관신도시가 있는 기장군을 제외하면 전부 인구가 감소하고 있기에 가능성이 높다.[2] 임기 도중 사퇴 (부산광역시장 선거 출마)[3] 심지어 국민의힘 지지자들조차도 전재수 의원의 지역구 관리를 인정할 정도이다. 그만큼 당을 떠나 인물론이 먹히는 것이다. 이는 사하구 을 조경태 의원의 민주당 시절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4] 부산시장에 당선되기 이전에 해운대구청장을 지냈고 해운대구에서만 4선을 했던 터라 동부산을 과하게 편애하고 서부산을 홀대하는 행보를 보였다. 당장 이 지역구에 속한 구포역구포 경유 KTX 감차 등이 본격적으로 이뤄진 게 서병수 시정 때의 일이다.[5] 20대 총선 이전까지 수차례 선거에서 선전하거나 승리하여 민주당계에 좌절감을 심어주던 박근혜 정부 시절 서병수는 여야 1대 1 매치가 성사된 상태에서 오거돈에게 초접전 끝에 가까스로 승리했다.(당시 부산광역시의원 비례대표는 범여권이 범야권을 더블스코어 차이로 앞섰다.) 그의 부산 민심이 얼마나 부정적인지 알 수 있는 대목.[6] 양산시 을에서만 성공했고, 이 곳과 김해시 을에서는 실패했다.[7] 양산시 을에 공천된 김태호 후보는 양산시를 관할하는 경상남도지사를 두 번 해본 경험이 있는 후보였다. 물론 북구 갑에 공천한 서병수 후보도 북구를 관할하는 부산시장을 한 번 해본 경험은 있지만, 전술했듯이 서부산과 관련된 행보가 매우 안 좋았으니 당연지사이다. 반면 김해시 을에 공천된 조해진 후보는 애당초 김해시와는 접점이고 연고고 정치적 기반이고 어떠한 것도 전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