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7:25:47

덕천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평덕선의 동명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덕천역(평덕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덕천역
파일:Busan2.svg 파일:Busan3.svg
해운대 · 장산 방면

구 명
← 1.2 ㎞
호포 · 양산 방면

수 정
1.5 ㎞ →
역명 표기
2호선 덕천
Deokcheon
德川 / [ruby(徳川, ruby=トクチョン)]
3호선
주소
2호선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지하14 (덕천동)
3호선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대로 지하39 (덕천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덕천역 (2, 3호선 통합) / 제2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2호선 부산교통공사
3호선
개업일
2호선 1999년 6월 30일
3호선 2005년 11월 28일
역사 구조
2호선 지하 2층(심도: 13.31m)
3호선 지하 3층(심도: 20.83m)
승강장 구조
2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횡단 불가)[2]
3호선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
2.1. 역무시설2.2. 환승 계도 안내방송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
6.1. 만덕대로 가변 정류장6.2. 금곡대로 가변 정류장6.3. 백양대로 가변 정류장6.4. 마을버스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 역 정보

파일:20231005 2호선 덕천역 대합실.jpg 파일:20231005 3호선 덕천역 대합실.jpg
<rowcolor=#fff> 2호선 대합실 3호선 대합실[3]

2.1. 역무시설

역명은 지명인 덕천동에서 유래했는데, 덕천동은 예전에 덕개촌이라고 불린 마을이다. 금정산에서 발원해 덕천동 인근을 지나 낙동강으로 흐르는 개천을 덕천이라고 불렀으며, 그에 따라 지역 명칭이 덕천이 된 것이다.

부역명은 부산과학기술대학교[4]였으나 부역명 계약종료로 삭제되었다. 그런데 이 역에서 부산과학기술대학까지는 무려 약 2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그것도 비탈길을 타고 올라가야 한다. 차라리 구명역 2번 출구쪽이 더 가까울 정도다.[5] 이 역에서 부산과학기술대학교로 가고 싶으면 1번 출구로 나와서 덕천교차로 정류장에서 46번이나 160번, 북구6번을 이용해야 한다.

덕천교차로 밑에 위치한 부산 도시철도 2호선부산 도시철도 3호선환승역이며, 부산 북구에서 하나밖에 없는 도시철도 환승역이다. 덕천교차로는 14번 국도의 경유지이자 35번 국도의 시점으로 낙동대로, 만덕대로, 백양대로금곡대로의 4개 대로의 시점으로 유명하다. 자로 서면역이나 반월당역처럼 정확하게 교차하는 형태가 아니라 2호선 역이 북쪽인 금곡대로 방면으로, 3호선 역이 동쪽인 만덕대로 방면으로 치우쳐 있는 형태라서 지도상으로 보면 자 모양의 형태를 지닌다.(공덕역5호선, 6호선 간 환승과 비슷하다.) 더군다나 3호선과 2호선 양산행 승강장으로 향하는 환승통로가 그렇게 좁지 않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헬게이트가 열린다.[6] 3호선 연결 통로에서 이번 차를 놓칠까봐 전력질주하는 승객과 그걸 보고도 출입문을 닫으려고 하는 기관사와의 심리전이 장난이 아니다.

2, 3호선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7]

참고로 2호선에는 양방향 열차가 이 역에 들어오기 전에 드리프트를 지나는 소리가 합쳐저서 안내방송이 잘 들리지 않는다.[8] 사실 역구내 소음문제는 2호선의 많은 역에서 문제였으며, 열차 도착 안내방송전부터 곡선구간 소음이 먼저 들렸던 적이 있다. 스크린도어 설치 후에 소음문제는 어느정도 해소되었다.

이 역과 숙등역 사이에 유치선이 있다. 그러나 3호선은 노선 길이가 짧다 보니 중간 주박이 없다.[9]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행 막차가 23:31분에 도착하는데 환승객들을 위해 약 3~4분 가량 기다려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만약 장산행 막차를 놓쳤다면 23:48분에 전포행 막차가 도착한다. 전포행 막차 또한 환승객들을 위해 3분 가량 기다려준다. 동래 이북이나 해운대 방면으로 가려는 승객이라면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영행 막차를 타고 연산역에서 재빨리 1호선 노포행 막차로 환승하자. 또한 수영역에서 환승하면 막전차인 장산행 막차로 갈아탈 수 있다! 물론 전포행 막차를 타고 서면 이남으로 내려가려면 서면에서 1000번이나 1004번 심야노선을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1995년 2월 16일부산 도시철도 3호선 노선을 기존의 덕천역 종착에서 대저역으로 연장하는 안이 잠정적으로 결정되었고# 이후 1996년에 변경된 계획안이 그대로 반영됐다.#[10]

3호선의 경우 숙등역과 덕천역간의 거리가 짧아 과거 대저행 열차 한정으로 "내리실 문은 왼쪽입니다."라고 짧게 방송했었다. 지금은 전부 저렇게 방송한다.

서울로 치면 당산역과 비슷한 포지션이다. 녹색 노선금색 노선환승역이며, '~포'자를 끼고 있는 동네에 인접하다는 점, 시내의 커다란 강과 인접한 점, 유동인구가 많고 상권이 발달해 있으며 만남의 장소로 손꼽히는 스팟이라는 점이 공통적이다.

과거에는 항상 이 역에 도착한 수영행은 텅 비어있고 대저행은 우르르 빠져나가서 휑했었다만 경전철이 개통한 후에는 그렇지않다.

2.2. 환승 계도 안내방송

3. 역 주변 정보

이 역 인근은 화명동과 함께 북구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북구 상권에서 가장 빼놓을 수 없는 곳이 바로 구포시장이다. 그외에도 뉴코아아울렛 덕천점, 메가박스 덕천, 부산북구문화빙상센터, 부민병원, 구포 예식장, 근로복지공단 부산북부지사, 덕천초등학교, 덕성초등학교가 인접해있다. 따라서 시간대에 관계없이 항상 복잡하며, 덕천교차로를 지나는 버스노선도 많아서 환승 거점으로도 중요하다.

덕천동 소재지만, 1번과 3번 출구는 구포동에 있다. 1번 출구는 계단, 3번 출구는 엘리베이터로 모두 구포시장 방면으로 평소에도 이용객이 많은데 구포장날(3일, 8일)이 되면 헬게이트가 열릴 정도로 붐빈다. 이에 지난 21대 총선에서 전재수 후보는 1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고, 박민식 후보는 엘리베이터를 추가 설치하겠다는 공약으로 맞대응했다. 현실적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는 동안, 1번 출구 계단 폐쇄가 불가피하여 최소 6개월 이상의 공사기간 동안 엄청난 혼잡도와 이용객 불편이 우려된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원칙적으로 에스컬레이터에는 손수레, 캐리어를 소지하고 탑승할 수 없기 때문에 구포시장 방문객이 거의 90%를 차지하는 1번 출구 이용객의 안전이 우려된다. 그리고 에스컬레이터는 대부분 중국산 부품으로 경복궁역 사고에서 볼 수 있듯이 부품 수급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고장 발생시 장기간 1번 출구를 폐쇄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덕천역 근무자들은 두 후보 모두 엘리베이터 추가 설치를 공약해주기를 바랬는데 전재수 후보의 승리로 에스컬레이터 설치로 방향이 잡혔다.

1993년 3월 28일 구포역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가 일어난 장소와 매우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덕천역 7번 출구 기점으로 서쪽에 위치하고 펌프장 저수장을 북쪽으로 약간 끼고 있는 경부선 선로 구간이 바로 당시 사고 현장이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하면서 지하상가(숙등역과 연결되어 있다)와 쇼핑몰 뉴코아아울렛 덕천점[11]이 생겨 소박하나마 번화가의 요소(패밀리 레스토랑과 멀티플렉스 극장까지)를 완성시켰다. 그래서 더욱 붐비는 중이다.[12]

인근에 북구 최대의 번화가인 구포시장이 있으며, 구포시장 근처엔 구포시장 버스환승센터가 설치되어 버스 환승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단 일부 버스 노선은 방향 특성상 이 곳에 정차하지 않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보행자의 횡단이 많은 시장 근처에 환승센터를 도로 중앙에 설치하여 무단횡단으로 인한 사상사고가 잦다. 관련기사 그러다보니 구포장날과 주간엔 경찰이나 노인일자리 계도요원을 배치하여 계도를 실시한다.

일부 양산시 시내버스 노선이 이 역을 종점으로 하고 있기는 한데, 타려면 10번 출입구에서 한참을 더 걸어야 한다. 거리로는 300m 정도다.

3.1. 출구 정보

파일:Busan2.svg파일:Busan3.svg 덕천역 출구 정보
2호선 덕천역 대합실 이용
1구포시장
부산과학기술대학교
2덕천초등학교
덕천2동우체국
적십자 덕천헌혈의집
3구포성심병원
4만덕 방면
5미래안 통증의학과의원
6수정안과의원
7미래로병원
8부산독일보청기
10화명동 방면
덕천2동주민센터
부산실내빙상장/북구문화예술회관
포도원교회
굿윌치과병원
3호선 덕천역 대합실 이용
9만덕 방면
국민건강보험공단
12근로복지공단
국민연금공단
구포119안전센터
메가박스 덕천
사암당한의원 부산센터

4. 일평균 이용객

덕천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도시철도 간의 직접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2a5caa><bgcolor=#2a5caa> 연도 || 파일:Busan2.svg || 파일:Busan3.svg ||<bgcolor=#2a5caa> 총합 ||<bgcolor=#2a5caa>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27,454명 미개통 27,454명 비고
2003년 25,614명 25,614명
2004년 23,730명 23,730명
2005년 21,989명 9,822명 31,811명 [13]
2006년 13,650명 10,520명 24,170명
2007년 12,370명 12,116명 24,486명
2008년 13,847명 14,603명 28,450명
2009년 14,248명 16,211명 30,459명 }}}}}}}}}
2010년 14,851명 17,577명 32,428명
2011년 16,012명 20,094명 36,106명
2012년 14,829명 22,849명 37,678명
2013년 14,383명 24,285명 38,668명
2014년 14,438명 24,526명 38,723명
2015년 14,177명 24,719명 38,896명
2016년 14,454명 25,178명 39,632명
2017년 14,540명 25,318명 39,858명
2018년 14,193명 24,581명 38,774명
2019년 13,978명 24,856명 38,834명
2020년 10,436명 18,811명 29,247명
2021년 10,481명 19,223명 29,704명
2022년 11,085명 20,803명 31,888명
2023년 11,548명 21,633명 33,181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5. 승강장

5.1.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파일:20241120 233 덕천역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파일:20241117 233 덕천역 역명판.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명판
파일:313.gif
역 안내도
구명
수정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사상·서면·수영·벡스코·장산 방면
화명·금곡·호포·남양산·양산 방면
상대식 승강장으로 3호선 승강장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있으며, 직접 횡단할 수 없다.

부산 2호선의 승강장은 1편성 10개 칸까지 대응 가능하지만 실제 전동차는 1편성 6칸으로 운행하는데, 개통 당시부터 2012년까지는 양산&호포행 열차의 정차위치가 수정역 방면 끝쪽에 치우쳐 있어 구명역 방면으로 치우쳐진 3호선 환승통로로 갈 때 최소 80여m를 추가로 걸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2012년부터 구명역 방면 끝쪽으로 정차위치가 변경되었다.

5.2. 부산 도시철도 3호선

파일:313덕천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15]
파일:20231001 3호선 덕천역 역명판.jpg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역명판
파일:덕천역3호선스크린도어위역명판.jpg
3호선 스크린도어 위에 있는 역 정보
숙등
구포
파일:Busan3.svg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미남·종합운동장·거제·연산·수영 방면
구포·강서구청·체육공원·대저 방면
섬식 승강장이다. 대저행 기준으로 마지막 지하역이며, 이 역은 구포역 방향으로 3퍼밀[16]의 상구배가 있다.

6. 연계 교통

6.1. 만덕대로 가변 정류장

덕천역(08-119/08-122)
일반
김해일반

6.2. 금곡대로 가변 정류장

덕천교차로(08-064/08-065/3304)[17]
일반 [심야]
양산일반 [심야] [심야]
덕천역(3305)
양산일반 [심야] [심야]

6.3. 백양대로 가변 정류장

6.4. 마을버스

7. 둘러보기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Busan3.svg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덕천지하상가를 통해 도보로 이동할 수 있다.[2] 3호선 환승통로를 통해서만 횡단이 가능하다.[3] 저 앞에 멀리 보이는게 덕천지하상가이며, 늦은밤에 쵤영된거라 대부분 영엽이 종료 되어, 어둡게 나온것이다. 대낮에 촬영하면 이용객들이 붐비기 때문에 사진 남기기가 어렵다.[4] 원래는 부산정보대학이었다가 2012년 3월부터 교명을 변경했다.[5] 서울의 총신대입구역, 남성역과 유사하다.[6] 사실 환승통로의 크기가 애매모호하다. 전동차 정차 위치와도 좀 떨어져 있어서 출입문이 닫힌다는 안내방송이 나오면 바로 다음 차를 타야 한다. 왜냐하면 다음 열차를 타지 말고 뛰어서 이번 열차를 탄다고 해도 출입문에 몸이나 가방 등이 끼기 때문이다.[7] 3호선 덕천역은 개통 당시부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2호선은 스크린도어가 2014년부터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되기 시작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1호선 동래역도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사실 두 역 모두 환승역 치고는 굉장히 늦게 설치되었다.[8] 호포, 양산행 열차일 경우에는 역에 들어서기 전에 R=200인 곡선 드리프트 구간이 3곳이 있고, 장산행 열차는 그나마 속도를 좀 내서 들어오지만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스크린도어 설치전에는 양산&호포행 열차가 이 역으로 들어올 때, 3호선 승강장에서도 소음이 크게 들릴정도로 상당했었다.[9] 구포철교 붕괴를 대비해 만들어 놓은 유치선이다. 구포철교가 붕괴되면 덕천역이 임시로 종점역의 역할을 맡게 된다. 철교 붕괴와는 다른 이유긴 하지만 2022년 태풍 힌남노2023년 태풍 카눈 당시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대저 구간의 운행이 통제됐을때, 임시로 종점역할을 맡은 적이 있다.[10] 다만 덕천역 이후 낙동강 횡단은 구포철교로 횡단하는 것이 아니고 하저터널로 통과하는 방식이였고 ## 1997년에 건설공법과 경비 및 공사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고가화로 결정됐고 구포역이 추가됐다.#[11] 구) 폴라렉스. 이후 이랜드그룹이 인수했다.[12] 주말 결혼식, 칠순잔치, 돌잔치가 있는 날이면 인근 도로가 자동차들로 인해 헬게이트를 이룬다.[13] 3호선의 2005년 자료는 개통일인 11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4] 3호선 북구 구간을 지나며 제2만덕터널을 통과하는 버스들은 동래구에서 아예 북쪽인 금정구로 넘어가버리든가, 계속 쭉 가도 수영구를 비껴서 바로 해운대구 쪽으로 빠져버린다.(200번, 307번) 남구 방면은 111번이 가긴하나, 얼마못가 부산진시장에서 회차한다.[15] 스크린 도어 위 색깔이 그 노선그 색깔을 닮았다.[16] 부산지하철 3호선 전동차 제작 사양서 부록 127쪽. 2002.10.[17] 08-064/08-065 정류장은 부산 버스, 3304 정류장은 양산 버스가 정차한다.[심야] 심야포함[심야] [심야] [심야] [심야] [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