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00:30:33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니은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가수에 대한 내용은 니은(가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 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
[ 옛한글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
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각자
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
병서
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



1. 개요2. 음3. 자형4. 단독 용법
4.1. 축약어 'ㄴ'
4.1.1. '' 의 줄임4.1.2. ''의 줄임, 동사 과거형/형용사 현재형 어미
4.2. 댓글 기호 ㄴ
5. 여담

1. 개요

<colbgcolor=#ddd,#383b40> 분류 자음(마찰성 비강음)
[clearfix]
한글 자모의 두 번째 글자. "니은"이라고 읽는다.

2.


IPA에서 규정하는 표준 발음상으로는 영어의 [n] 발음과 거의 비슷하나, 실제 발화상으로는 영어 화자들의 n보다 한국어 화자들의 ㄴ의 혀끝이 조금 더 뒤로 가는 경우가 많다. 혀끝을 윗잇몸에 붙이고[1] 콧구멍길을 열고 혀끝을 떼면서 내는 치경 비음([n])이 이 소리가 난다. 단어 처음의 ㄴ은 비음성이 약해져서 변이음 [n͊]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것을 다른 언어 화자들은 [d]로 인식하기도 한다. #1 #2

뒤에 "ㅣ[i]"가 오면 치경구개 비음([ȵ])이 된다.

종성에서 자음이 후행할 때는 후행 자음의 조음 위치를 모방하려는 경향이 있다. 예를들어 후행 자음이 연구개음일 경우 ㄴ도 연구개음화하는 식이다.

3. 자형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서 ㄴ은 혀가 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떴다.

4. 단독 용법

4.1. 축약어 'ㄴ'

4.1.1. '' 의 줄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ㄴ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옛한글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주로 게임상에서 자주 쓰이는 '노(no)'의 준말로 다급한 상황에서 거부의 의사를 드러낼 때 사용된다. 초성체 중 하나로 반대 뜻인 '' 옆에 자리 잡고 있는 게 장점이자 단점. "네(yes)"의 의미가 아니다.

일반적으로는 하나만 쓰기보다는 두 번 이상 반복하는 용법이 널리 쓰인다. 그런데 하나만 쓰면 어쩐지 쿨한 느낌을 주며 경우에 따라 예의가 없어 보이기도 한다. 친한 친구끼리 간단하게 말할 때에나 'ㄴ'을 1개 쓰고 보통은 2개 쓴다.

읽을 때에는 주로 '느'나 '노'라고 하는 편이지만 '니은'이라고 하기도 한다. '○○'를 안 하겠다는 뜻을 강조할 때 [○○ 니은] 식으로 말하곤 한다.[2]

4.1.2. ''의 줄임, 동사 과거형/형용사 현재형 어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댓글 기호 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ㄴ(댓글 기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1] 한국어 화자들 중에서도 간혹 이 발음을 할 때 혀가 꼬이는 사람들이 있다. 본인이 이런 경우라면, 너무 혀끝이 치조융선보다 앞에 닿아있거나 뒤로 향해있지는 않은지 점검해보자. 전자는 스페인어/이탈리아어에 있는 치비음, 후자는 후치경 비음에 가까워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2] 이런 용법은 영어에서 No <명사>와 유사하다.[3] (ㅃ)(ㅎㅉㄸㅍㅆ)(ㅂㅁㄹㅌㅇㅊㄲ)(ㅈㅋㄷ)(ㅅㄱㄴ) 순.[4] 종성에선 ㅀ이다.[5] 아울러 글자 '느'가 표기하는 음성 /느/는 한국어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음절이기도 하다. 약 3% 가량을 차지한다. '느'와는 무관하지만 국어의 399개 초성+중성 음절을 조사했을 때 전체 53만여 음절의 25%를 10개의 음절이, 50%를 26개의 음절이, 75%를 58개의 음절이, 그리고 95%를 138개의 음절이 차지했다. 또한 66개의 음절은 단 한 번도 출현하지 않았다. /느/ 다음으로는 /이/, /다/, /가/, /지/, /나/, /아/, /마/, /그/, /고/, /자/, /하/, /서/, /시/, /리/, /나/, /니/, /저/, /어/, /허/, /수/, /사/, /며/, /르/, /드/, /여/ 등이 자주 쓰이고 있다(변성완 2003:739).[6] 변성완(2003), 한국어의 음절빈도와 단음절 어음표의 음절분포,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두경부외과학, 46(9), 737-741.#

파일:CC-white.svg이 문서는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분류:로그 누락 문서]]를 달아 주세요.

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