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20:51:18

ㅄ계 합용병서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 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
[ 옛한글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
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각자
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
병서
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


1. 개요2. 발음
2.1. ㅴ2.2. ㅵ2.3. ᄤ2.4. ᄥ2.5. ᄦ2.6. ꥲ
3. 용례

1. 개요

ㅄ계 합용병서란 ㅄ[1]과 ㄱ, ㄷ 등 다른 자음이 결합한 문자를 말한다. 현대인의 입장에서 보면 3개의 글자가 나열된 글자는 굉장히 이질적으로 느껴질 것이다. 해당 초성으로 시작하는 단어들 중 일부는 오늘날 '때리다', '깨다' 등 공격적인 의미를 지닌 어휘들로 정착한 경우도 있는데, 해당 경우에서의 ㅄ은 동사 '부수다'와 어원을 공유하는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기원적으로는 정말로 3개의 음을 모두 발음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ㅅ계 합용병서가 실제로는 된소리였을 것이라는 주장 중에서도 ㅄ계 합용병서의 ㅂ만큼은 발음되었을 것으로 보는 주장도 있다. 이후 17세기 무렵 된소리로의 음운 변화가 진행되면서 비슷한 계열의 ㅂ계와 함께 ㅅ계로 합류되었고, 다시 20세기 초반 ㅅ계 합용병서 대신 겹자음을 채택하며 현재에 이른다.

2. 발음

모음과 함께 소리내는 것은 마지막 자음이다.

2.1.

<colbgcolor=#ddd,#222> 이름 비읍시옷기역
분류 합용병서
음성 <colbgcolor=#e7e7e7,#181818> 어두 p(b̥)sɡ
어중 bsɡ
[clearfix]

2.2.

<colbgcolor=#ddd,#222> 이름 비읍시옷디귿
분류 합용병서
음성 <colbgcolor=#e7e7e7,#181818> 어두 p(b̥)sd
어중 bsd
[clearfix]
ㅄ계 합용병서 중 유일하게 종성으로 들어갈 수 있는 자모다.

2.3.

<colbgcolor=#ddd,#222> 이름 비읍시옷비읍
분류 합용병서
음성 <colbgcolor=#e7e7e7,#181818> 어두 p(b̥)sb
어중 bsb
[clearfix]

2.4.

<colbgcolor=#ddd,#222> 이름 비읍쌍시옷
분류 합용병서
음성 <colbgcolor=#e7e7e7,#181818> 어두 p(b̥)s͈
어중 bs͈
[clearfix]

2.5.

<colbgcolor=#ddd,#222> 이름 비읍시옷지읒
분류 합용병서
음성[2] <colbgcolor=#e7e7e7,#181818> 어두 p(b̥)sd͡ʑ
어중 bsd͡ʑ
[clearfix]

2.6.

<colbgcolor=#ddd,#222> 이름 비읍시옷티읕
분류 합용병서
음성 <colbgcolor=#e7e7e7,#181818> 어두 p(b̥)stʰ
어중 bstʰ
[clearfix]

3. 용례


[1] 이 글자는 현재 종성으로만 사용하지만, 과거에는 초성에도 쓰였다.[2] ㅄ계 합용 병서가 있을 당시에는 ㅈ을 d͡z로 발음했을 것이다.[3] 일단 중세 한국어에서 시간을 나타내기 위해 'ᄣᅢ'라는 표현을 즐겨 썼다는 사실 자체는 확실하나, 십이지시까지 순우리말 명칭으로 불렸을지가 확실하지 않다는 것이다.

분류